자유게시판

공지
2005.03.03 09:00

이창호-바둑-그랬구나

조회 수 245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바둑의 최강자 이창호 9단은 8세 때부터 바둑 외길을 걸었다. 온종일 바둑만 생각하고 잠잘 때도 바둑만 생각했다. "바둑은 나에게 요술 거울이었으며 나는 그 속으로 끝없이 걸어들어갔다"고 그는 어린 시절을 회고한다. 이리하여 이창호는 정밀도가 극히 뛰어난 '바둑 기계'가 되었다.

그런 이창호 9단이 올해 들어 두 달간 1승5패라는 치욕의 전적을 기록했다. 이창호라는 컴퓨터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이냐며 사람들은 궁금해 했다.

이창호는 몇 년 전부터 책에 푹 빠져들어 서치(書痴)라는 별명을 새로 얻었다. 그는 세상을 알고 싶어 고서에서 현재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책을 읽으며 밤을 꼬박 새우기도 했다. 폭탄주도 마셔봤다. 이창호가 바둑판 361로 밖으로 걸어나간 것이다.

인생을 알면 승부가 약해진다. 승부는 무심하고 비정하다. 그러나 진심을 다해 인생을 생각하면 유심하고 유정해진다. 이로 인해 고도의 집중력이 단 1, 2%만 분산되더라도 간발의 차로 강적에게 무릎을 꿇게 된다.

그래도 이창호는 책읽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는 걱정하는 기자에게 "잃는 것이 있다면 얻는 것도 있지 않겠어요"라고 반문했다. 잊히지 않는 한 장면이 있다. 최고의 스타로 떠오른 이창호가 어느 날 한국기원 한쪽 구석에서 허름한 중년남자와 바둑을 두고 있었다. 이창호가 살인적 대국 횟수에 시달리던 시절이기에 그와 태평하게 바둑을 두고있는 낯선 남자는 더 대단해 보였고 직원들도 누구일까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알고 보니 그는 아무도 아니었다. 그냥 이창호와 바둑을 두고 싶어 돈 한푼 안들고 무작정 찾아온 사람이었다. 그러나 이창호는 "노"라고 말하지 않았다. 고통스러운 대국이었지만 편안하게 두었다.

그 광경은 잔잔한 감동으로 내 기억 속에 남아 있다. 그 장면은 17세에 세계를 제패한 이창호가 만들어진 바둑기계가 아니라 빌 게이츠 말대로 놀라운 인간임을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세상에 자기 분야와 자기의 능력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고장난 기계 같은 전문가들은 숱하다.

1승5패라는 최악의 부진 속에서 기적의 5연승을 거두며 농심배 국가대항전에서 우승한 이창호의 모습이 그래서 더 값지게 다가온다."

박치문 바둑 전문기자

2005.03.02 18:19 입력 / 2005.03.03 08:01 수정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4 [6/29 개강] 질 들뢰즈의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강독 (강사 허경) 다지원 2012.05.31 1135
3563 공지 [6월 산행공지] 6월 3일 일요일 오후 2시 3 송나리 2007.05.31 1541
3562 공지 [7월 산행공지] 7월 1일 일요일 오후 2시 3 송나리 2007.06.27 1639
3561 홍보 [8/1 개강] 글을 쓰고 싶다면! - 보기와 읽기 그리고 쓰기 엑스플렉스 2016.07.21 167
3560 공지 [8월 1일 충청투데이] 이일우 소장님 금요논단 (백북스 소개有) 2 윤보미 2008.08.01 1270
3559 공지 [8월 1일 충청투데이] 이종상화백 '독도 일편단심' 화제 윤보미 2008.08.01 1203
3558 공지 [8월 2일] 산행스케치 5 윤보미 2008.08.04 1508
3557 공지 [8월 2일] 자원봉사자 모집합니다. ^-^ 6 윤보미 2008.08.01 1435
3556 [Artist Talk] 백승우 작가편 “가상현실-허구적 유토피아” 백다현 2010.10.28 1845
3555 [EBS 인문학 특강] 서강대 최진석 교수님의 '현대 철학자, 노자' 두번째 강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박보영 2013.02.28 2245
3554 [EBS 인문학 특강] 서강대 최진석 교수님의 '현대 철학자, 노자' 세번째 강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박보영 2013.03.12 2005
3553 [meiotic drive] t haplotype in Mus musculus (mouse) 변정구 2011.06.10 91609
3552 [New Scientist 2010] '산소' '미토콘드리아'를 쓴 닉 레인의 산소에 대한 글 2 고원용 2010.03.14 2170
3551 공지 [NHK동영상]우주...(우주배경복사,초신성,세페이드, 등등) 1 임성혁 2008.02.26 1277
3550 공지 [re] (추가)옥순원 선생님 책 소개 문경목 2008.01.07 1404
3549 공지 [re] 4월 19일 온지당, '이화에 월백하고' 행사 간략 안내 1 문경목 2008.04.11 1296
3548 공지 [re] 4월 19일 온지당, '이화에 월백하고' 행사안내 문경목 2008.04.11 3279
3547 공지 [re] 5월 산행 스케치 3 송나리 2007.05.07 2135
3546 공지 [re] 9월 6일 뇌과학박문호 박사님강연_compact 출력용 ppt file 김민정 2008.09.09 2090
3545 [re] <뇌, 생각의 출현> 올해의 책 투표 1 file 김세영 2008.12.20 15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