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5.03.03 09:00

이창호-바둑-그랬구나

조회 수 245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바둑의 최강자 이창호 9단은 8세 때부터 바둑 외길을 걸었다. 온종일 바둑만 생각하고 잠잘 때도 바둑만 생각했다. "바둑은 나에게 요술 거울이었으며 나는 그 속으로 끝없이 걸어들어갔다"고 그는 어린 시절을 회고한다. 이리하여 이창호는 정밀도가 극히 뛰어난 '바둑 기계'가 되었다.

그런 이창호 9단이 올해 들어 두 달간 1승5패라는 치욕의 전적을 기록했다. 이창호라는 컴퓨터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이냐며 사람들은 궁금해 했다.

이창호는 몇 년 전부터 책에 푹 빠져들어 서치(書痴)라는 별명을 새로 얻었다. 그는 세상을 알고 싶어 고서에서 현재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책을 읽으며 밤을 꼬박 새우기도 했다. 폭탄주도 마셔봤다. 이창호가 바둑판 361로 밖으로 걸어나간 것이다.

인생을 알면 승부가 약해진다. 승부는 무심하고 비정하다. 그러나 진심을 다해 인생을 생각하면 유심하고 유정해진다. 이로 인해 고도의 집중력이 단 1, 2%만 분산되더라도 간발의 차로 강적에게 무릎을 꿇게 된다.

그래도 이창호는 책읽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는 걱정하는 기자에게 "잃는 것이 있다면 얻는 것도 있지 않겠어요"라고 반문했다. 잊히지 않는 한 장면이 있다. 최고의 스타로 떠오른 이창호가 어느 날 한국기원 한쪽 구석에서 허름한 중년남자와 바둑을 두고 있었다. 이창호가 살인적 대국 횟수에 시달리던 시절이기에 그와 태평하게 바둑을 두고있는 낯선 남자는 더 대단해 보였고 직원들도 누구일까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알고 보니 그는 아무도 아니었다. 그냥 이창호와 바둑을 두고 싶어 돈 한푼 안들고 무작정 찾아온 사람이었다. 그러나 이창호는 "노"라고 말하지 않았다. 고통스러운 대국이었지만 편안하게 두었다.

그 광경은 잔잔한 감동으로 내 기억 속에 남아 있다. 그 장면은 17세에 세계를 제패한 이창호가 만들어진 바둑기계가 아니라 빌 게이츠 말대로 놀라운 인간임을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세상에 자기 분야와 자기의 능력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고장난 기계 같은 전문가들은 숱하다.

1승5패라는 최악의 부진 속에서 기적의 5연승을 거두며 농심배 국가대항전에서 우승한 이창호의 모습이 그래서 더 값지게 다가온다."

박치문 바둑 전문기자

2005.03.02 18:19 입력 / 2005.03.03 08:01 수정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4 엘리아데 읽기 모임 없나요? 4 김정량 2010.06.12 1686
783 [해외는 지금] 오바마, 트위터·페이스북으로 국민과 통하다 이홍윤 2010.06.13 1700
782 대한의학회 신경해부학 통합강좌 기초과정 3 김미선 2010.06.13 1979
781 삼계탕에 대한 묵념...!? 13 이연순 2010.06.14 1980
780 출판사에서 온 편지 3 이병록 2010.06.14 1888
779 과학의 눈으로 보는 세상 6 김영철 2010.06.15 1845
778 논리는 꿈을 현실로 만드는 힘 3 이중훈 2010.06.15 1900
777 백북스의 마음자리 (채근담 제54장) 2 이홍윤 2010.06.16 1788
776 마음에 바르는 약. 3 이연순 2010.06.19 1818
775 충왕전 이중훈 2010.06.20 2113
774 다중지성의정원 3분학기 강좌를 소개합니다. 6월 28일 개강 ! 다지원 2010.06.21 1717
773 '산소' 강의 들으러 가려는데... 6 노복미 2010.06.22 2075
772 백북스 정기모임 오늘(22일,화) 입니다 !! 1 송윤호 2010.06.22 1845
771 이성(理性)과 신앙(信仰)에대한 강연을 건의합니다. 육형빈 2010.06.24 1876
770 백선엽 장군 1 이중훈 2010.06.26 1786
769 트위터 안하시나요^^ 2 김상철 2010.06.27 1892
768 나 자신의 자폐/또는 아스퍼거 경향 지수 측정하기 1 지석연 2010.06.29 2125
767 창조성=복잡성? 지수는? 2 남대호 2010.06.30 1744
766 작가 박범신과 함께하는 <나마스테 데이트>에 초대합니다! 북사랑 2010.06.30 1827
765 보다-쿤스트독 인문학 아카데미_미술의 안과 밖 백다현 2010.07.01 17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