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31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도 답사를 다녀와서

소쇄원

중종 때 사람인 양산보가 설계하고 지었다는 소쇄원은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다. 양산보는 조광조 밑에서 학문을 닦았는데 기묘사화가 일어나 유배된 스승을 따라 능주에 갔다가 조광조가 사약을 받고 죽자 고향으로 돌아와 이 소쇄원을 짓고 평생을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고 한다.
소쇄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두터운 대나무밭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따뜻한 오후였음에도 대나무 밭 가운데로 들어서니 날카로운 바람소리에 한기를 느꼈다. 입구부터가 심상치 않아 그 안에 전개될 정원의 모습에 기대를 갖게 한다. 계곡을 따라 여기저기 조성해 놓은 작은 연못들이 눈길을 멈추게 한다. 형형색색의 단풍든 나뭇잎들이 물위에 한가로이 떠다니는 모습이 옛 선비들의 느긋함을 간직하고 있는 듯 하다.
들어서자 바로 대봉대가 반갑게 나를 맞이한다. 사백여년의 세월을 지켜왔을 초가지붕의 작은 누각을 보노라니 어렸을 적 원두막에서 수박, 참외를 맨주먹으로 부숴먹던 시원한 맛이 입안에 감친다. 양산보는 문객들과 이 정자에서 무얼 했을까? 막걸리로 잔을 채우며 농을 주고 받았을까?
대봉대를 끼고 돌아 담길을 따라가면 오곡문이 보인다. 담끝은 헐어져 있고 담밑으로는 돌을 고여 아이들이 드나들만한 큰 구멍이 나있어 여기에 왜 담을 쌓았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어른도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드나들 수 있는 구멍을 남겨놓고 담을 쌓은 이유가 무엇인가? 하긴 지금이야 가물어 수량이 적어 구멍이 크겠지만 비가 많이 와서 수량이 늘어나면 구멍 가득히 물이 들어올테니 둑을 쌓을 요량이 아닌 담에야 물길을 막을 수는 없었겠지. 그리고 보니 저 담은 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쌓은 담이 아니라 안과 밖을 구분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골짜기에서 불어올 삭풍을 막기 위한 병풍의 구실을 했을 거라는 내 나름의 해석을 해본다.
오곡문으로 끌려 들어온 냇물은 일부가 나무 홈통을 통과하여 대봉대 옆에 작은 못으로 흘러든다. 이 작은 못에서 넘친 물은 원래 흘러내리던 계곡물과 합류하여 큰 못으로 흘러들도록 설계해 놓았다. 관수의 지혜가 이 작은 정원에도 적용되었던 모양이다. 자연에 최소한의 인공을 가미해 한 폭의 수채화를 그리려 했던 양산보의 섬세함이 읽혀지는 대목이다.
대봉대에서 마주 보이는 계곡 건너편에는 광풍각이 서있고 그 뒤쪽으로 서너계단 위에 제월당이 정원을 내려다 보고 있다. 외나무 다리를 건너 제월당에 이르니 현교수님이 마루끝에 걸쳐 앉아 풍경을 음미하고 계신다. 현교수님과 마주 앉아 옛 선비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한담을 주고받으니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사백 이삼십년을 거슬러 올라 양산보의 문객이 된 듯하다. 일순 이 아름다운 정취를 담은 시 한수라도 읊어놓아야 문객 노릇을 할 수 있겠다는 의무감이 생겼지만, 문장이 짧음을 한탄하고 어색함에 문지방이나 쓰다듬는 것으로 대하는 수밖에 없었다.
제월당은 정면 세 칸, 측면 한 칸짜리 목조건물로 왼쪽에 방 한 칸이 있고 오른쪽에 마루를 놓아 사방을 한 눈에 내려다볼 수 있게 꾸며 놓았다. 이 제월당의 현판은 우암 송시열이 썼다고 한다. 이 제월당은 주인의 생활공간으로 쓰였고 턱 앞에 서있는 광풍각은 사랑방 격으로 손님들이 묵던 곳이었다 한다. 광풍각은 좌우 3칸 건물로 아궁이에 불을 때서 난방을 하였고 남향으로 계곡물에 인접하여 지은 팔작지붕의 목조 건물이다. 물소리를 베개삼아 죽림의 바람을 덮고 술취한 선비들이 대자로 누워 이 광풍각에서 광란의 밤을 보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며 나도 한번 그 자리에 대자로 누워 물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았다.
이 소쇄원에는 송순, 고경명, 정철, 기대승, 송시열과 같은 당대의 문인들이 드나들었다고 한다. 도연명의 무릉도원을 그리며 양산보가 손수 설계하고 가꾼 정원이 지금까지 크게 훼손되지 않고 보관되어 우리에게 전해진데 대한 감사의 마음을 간직하고 대숲에서 들려옴직한 선비들의 시 읊는 소리를 뒤로 한 채 소쇄원을 내려왔다.

  • ?
    문경수 2004.11.12 09:00
    교수님에 느낌이 소쇄원을 닮은 듯 합니다. 세세한거 같으면서도 거스르지 않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64 가입인사 가입인사 드려요~~ 3 윤석관 2009.05.08 2338
863 혹시 미러뉴론 ppt 자료 구할 수 있을까요? 9 홍민경 2010.04.01 2338
862 공지 홈피..깔끔한대요~~ ^^ 이광노 2003.07.05 2339
861 일기.. 또는 편지. 11 윤보미 2009.12.11 2339
860 공지 백운 서당..손기원 훈장님! 윤석련 2003.07.04 2340
859 공지 梨花에 月白하고... 배꽃에 취했는가, 달빛에 취했는가 온지당 행사 후기 9 류우정 2008.04.20 2340
858 공지 낚시 좋아하십니까? 한창희 2003.06.11 2341
857 공지 도정일 교수, 책 사회, 그리고 도서관 1 문경목 2007.10.11 2341
856 공지 올바른 게시판 글쓰기 4 강신철 2008.03.02 2341
855 공지 [알림] 3월 두 번째 모임 책 <-- 변경 4월 첫째모임 송윤호 2003.02.19 2342
854 공지 [축하] 100권 독서클럽의 새로운 홈페이지 오픈 송윤호 2003.07.02 2342
853 공지 얼마나 책을 읽어야... 2 강신철 2005.02.25 2342
852 공지 아름다운 이야기 황희석 2003.08.23 2343
851 공지 56회 모임 인물전~!!! *^^* 3 송윤호 2004.10.28 2344
850 공지 비오는날...시 한편 3 전재영 2008.05.28 2345
849 뇌과학으로 풀어 본 영화 인셉션 9 이중훈 2010.08.04 2346
848 공지 한 여름밤의 산책 오중탁 2003.07.08 2348
847 공지 <font color=blue><b>[공지] 36차 오프모임 및 송년회 안내 1 송윤호 2003.12.16 2348
846 공지 봄날 밤 1 현영석 2007.05.27 2348
845 공지 100books, 에델만을 만나다 8 이정원 2008.05.16 23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