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31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남도 답사를 다녀와서

소쇄원

중종 때 사람인 양산보가 설계하고 지었다는 소쇄원은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다. 양산보는 조광조 밑에서 학문을 닦았는데 기묘사화가 일어나 유배된 스승을 따라 능주에 갔다가 조광조가 사약을 받고 죽자 고향으로 돌아와 이 소쇄원을 짓고 평생을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고 한다.
소쇄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두터운 대나무밭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따뜻한 오후였음에도 대나무 밭 가운데로 들어서니 날카로운 바람소리에 한기를 느꼈다. 입구부터가 심상치 않아 그 안에 전개될 정원의 모습에 기대를 갖게 한다. 계곡을 따라 여기저기 조성해 놓은 작은 연못들이 눈길을 멈추게 한다. 형형색색의 단풍든 나뭇잎들이 물위에 한가로이 떠다니는 모습이 옛 선비들의 느긋함을 간직하고 있는 듯 하다.
들어서자 바로 대봉대가 반갑게 나를 맞이한다. 사백여년의 세월을 지켜왔을 초가지붕의 작은 누각을 보노라니 어렸을 적 원두막에서 수박, 참외를 맨주먹으로 부숴먹던 시원한 맛이 입안에 감친다. 양산보는 문객들과 이 정자에서 무얼 했을까? 막걸리로 잔을 채우며 농을 주고 받았을까?
대봉대를 끼고 돌아 담길을 따라가면 오곡문이 보인다. 담끝은 헐어져 있고 담밑으로는 돌을 고여 아이들이 드나들만한 큰 구멍이 나있어 여기에 왜 담을 쌓았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어른도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드나들 수 있는 구멍을 남겨놓고 담을 쌓은 이유가 무엇인가? 하긴 지금이야 가물어 수량이 적어 구멍이 크겠지만 비가 많이 와서 수량이 늘어나면 구멍 가득히 물이 들어올테니 둑을 쌓을 요량이 아닌 담에야 물길을 막을 수는 없었겠지. 그리고 보니 저 담은 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쌓은 담이 아니라 안과 밖을 구분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골짜기에서 불어올 삭풍을 막기 위한 병풍의 구실을 했을 거라는 내 나름의 해석을 해본다.
오곡문으로 끌려 들어온 냇물은 일부가 나무 홈통을 통과하여 대봉대 옆에 작은 못으로 흘러든다. 이 작은 못에서 넘친 물은 원래 흘러내리던 계곡물과 합류하여 큰 못으로 흘러들도록 설계해 놓았다. 관수의 지혜가 이 작은 정원에도 적용되었던 모양이다. 자연에 최소한의 인공을 가미해 한 폭의 수채화를 그리려 했던 양산보의 섬세함이 읽혀지는 대목이다.
대봉대에서 마주 보이는 계곡 건너편에는 광풍각이 서있고 그 뒤쪽으로 서너계단 위에 제월당이 정원을 내려다 보고 있다. 외나무 다리를 건너 제월당에 이르니 현교수님이 마루끝에 걸쳐 앉아 풍경을 음미하고 계신다. 현교수님과 마주 앉아 옛 선비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한담을 주고받으니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사백 이삼십년을 거슬러 올라 양산보의 문객이 된 듯하다. 일순 이 아름다운 정취를 담은 시 한수라도 읊어놓아야 문객 노릇을 할 수 있겠다는 의무감이 생겼지만, 문장이 짧음을 한탄하고 어색함에 문지방이나 쓰다듬는 것으로 대하는 수밖에 없었다.
제월당은 정면 세 칸, 측면 한 칸짜리 목조건물로 왼쪽에 방 한 칸이 있고 오른쪽에 마루를 놓아 사방을 한 눈에 내려다볼 수 있게 꾸며 놓았다. 이 제월당의 현판은 우암 송시열이 썼다고 한다. 이 제월당은 주인의 생활공간으로 쓰였고 턱 앞에 서있는 광풍각은 사랑방 격으로 손님들이 묵던 곳이었다 한다. 광풍각은 좌우 3칸 건물로 아궁이에 불을 때서 난방을 하였고 남향으로 계곡물에 인접하여 지은 팔작지붕의 목조 건물이다. 물소리를 베개삼아 죽림의 바람을 덮고 술취한 선비들이 대자로 누워 이 광풍각에서 광란의 밤을 보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며 나도 한번 그 자리에 대자로 누워 물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았다.
이 소쇄원에는 송순, 고경명, 정철, 기대승, 송시열과 같은 당대의 문인들이 드나들었다고 한다. 도연명의 무릉도원을 그리며 양산보가 손수 설계하고 가꾼 정원이 지금까지 크게 훼손되지 않고 보관되어 우리에게 전해진데 대한 감사의 마음을 간직하고 대숲에서 들려옴직한 선비들의 시 읊는 소리를 뒤로 한 채 소쇄원을 내려왔다.

  • ?
    문경수 2004.11.12 09:00
    교수님에 느낌이 소쇄원을 닮은 듯 합니다. 세세한거 같으면서도 거스르지 않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4 공지 100북스크럽, 크럽하우스 그리고 독서대학 3 현영석 2008.01.08 1870
1983 공지 [뉴욕] 4. 구겐하임, 휘트니, 프릭 미술관 6 이정원 2007.11.08 1870
1982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우주생물학 기획강연 1 문경수 2013.01.28 1870
1981 공지 '입자물리학'관련 좋은 사이트 소개 3 엄준호 2007.10.06 1872
1980 공지 148회 독서토론회 사진 - 그림같은 세상 5 이정원 2008.08.27 1872
1979 (도서 소개 ) 놀라운 인체백과 1 이관용 2010.06.12 1872
1978 백북스 정기모임 일정과 장소 확인바랍니다 3 강신철 2010.09.03 1872
1977 공지 오늘도 생각합니다^^ 2 김혜진 2006.02.27 1873
1976 공지 [카이스트 강연] 뇌와 창조성 5 문경수 2007.11.08 1873
1975 공지 [심포지움] '뇌과학과 동서정신의학 통섭' 접수 중 19 임말희 2009.01.05 1873
1974 공지 책을 읽어야 하는 10가지 이유 1 김보영 2009.03.12 1873
1973 퇴계 공부법 이중훈 2010.02.08 1873
1972 [책] 너무 늦기 전에 알아야 할, 물건 이야기 (김영사, 2011년) 변정구 2011.07.22 1873
1971 공지 이태백이 놀던 달빛에 취해봅시다 3 전재영 2008.05.18 1874
1970 활쏘기의 선 이중훈 2009.04.03 1874
1969 <자연의 신성한 깊이>를 읽다가 4 문건민 2010.04.01 1874
1968 궁극적 재부팅 - "새로운 과학이 몰려온다" 강연 동영상 3 고원용 2009.07.04 1875
1967 [신간 소개] 뇌와 삶의 의미...폴 새가드 지음, 김미선 옮김 6 변정구 2011.07.10 1875
1966 가입인사 가입인사 드립니다 이상재 2016.02.01 1875
1965 공지 강신철 교수님 해임 반대 서명 운동에 동참해 주세요 2 송나리 2006.08.17 18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