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4.07.22 09:00

[기사]번호이동성과 노마디즘

조회 수 193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회에 노마디즘 트랜드가 많이 퍼저 있군요..

번호이동성과 노마디즘

세계 최고의 구리 매장지역은 어디일까. 지하자원에 대해 식견이 있는 사람이라면 ‘칠레’라고 대답할 것이다. 교과서적으론 정답이지만, 정보사회론의 주창자인 다니엘 벨은 이 질문에 전혀 다른 답을 내놓는다. ‘뉴욕’이다. 물론 이때 구리는 천연매장이 아닌 인공 매설된 광케이블이다. 다른 질문을 던져보자. 현대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정보통신 분야의 발명은? 필자는 서슴없이 컴퓨터의 개인화(PC)와 휴대전화의 보급을 떠올린다. 앞의 사건인 PC는 네트워크(N)세대를 출현시켰고, 뒤의 사건은 모바일(M)세대를 창조했다. 그리고 이 두 가지는 새롭게 결합하고 있다. 기술적 결합인 PDA는 미약한 성과에 그쳤지만, 서비스의 통합인 유•무선 포털은 그야말로 전쟁이란 표현조차 지나치지 않을 만큼 치열하다. 한편 이동통신의 대중화는 공간으로부터의 신체의 자유를 확장하면서 테이크 아웃 문화를 도입해 음•식료 사업의 변화를 가져왔다. 바야흐로 유목민의 장점이 다시 부각되는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rmad•자동차와 최첨단 정보통신기기를 가지고 시공간을 넘나드는 21세기형 신인류)’의 시대인 것이다.

그런데 기술 사용자인 소비자의 자유와 해방을 간절히 희구하면서도 특정 브랜드와 번호로부터의 해방은 절대 원치 않는 세력들이 있으니, 이들은 바로 기술과 서비스의 공급자들이다. 쉽게 말해 이동통신 사업자, 단말기 제조업체, 인터넷 포털회사 들이다. ‘포털’이란 의미 자체가 “우리 사이트를 통해서만 인터넷 공간을 드나드세요”란 말인 걸 보면, 애초에 디지털 유목민들을 붙잡아두고 싶다는 의지의 사업화인 셈이다. 이제 이동통신 사업자 간에 유목민의 정착화를 위한 영토 전쟁이 시작되어 초반전이 진행되고 있다. 바로 번호이동성 전쟁이 그것이다. SK텔레콤은 네이트를 통해 검색엔진 라이코스와 싸이월드를 인수합병하면서 유•무선 포털의 기선을 제압했고, 최근 KTF는 다음과 손을 잡고 대응전선을 구축했다. 번호이동성 정책의 결과 이동통신 삼국지의 지도가 어떻게 바뀔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시차제를 적용하면서 초기에는 KTF의 약진이 나타났고, 이제 SKT의 반격이 시작된 셈이지만 한쪽의 우세를 점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미국의 사례에서는 번호이동성 적용의 결과 선두 기업인 버라이존이 과반에 가까운 47%의 사용자를 장악한 것으로 나타나, 아무래도 시장 선점자의 효과가 큰 것 아니냐는 견해가 우세한 편이다. 수치적 결과의 예측은 어렵지만 예측 가능한 성공변수의 조합은 생각보다 쉽다. 첫째, 서비스 제공의 우위. 둘째, 가격 요인. 마지막으로 최종결정은 전적으로 소비자 마음이다. 앞서 말한 노마디즘 트렌드에 근거한다면 소비자를 얽어매려는 것보다는 이들을 자유롭게 하면서 스스로 선택해 찾아오게 하는 유연한 철학의 비즈니스화가 필요하다. 이들을 잡고 싶다면 역설적이지만 노마드들을 더더욱 자유롭게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상생하는 유일한 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4 공지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7 임성혁 2007.10.30 2270
983 같이 식사하시죠 11 박용태 2009.05.14 2271
982 공지 “때로는 마음의 필림에만 담아두고 싶은 풍경이 있다”--- 미치오--- 박문호 2005.08.21 2273
981 자연과학 중력파 검출 성공 이중훈 2016.02.12 2273
980 공지 27일 선정 도서 "2막"(명진출판) 1 정유현 2004.01.15 2274
979 공지 벌써 71회 라니.. 2 황현숙 2005.06.01 2274
978 공지 우연한 기회에.. 1 권현분 2004.08.03 2275
977 공지 [뇌과학과 동서 정신의학의 만남] 심포지움 이정모의 발표자료 파일 연결 4 이정모 2009.02.05 2275
976 [번역 책 소개]: 수잔 케인 (지음). 콰이어트 . 2012. 알에이치코리아 2 이정모 2012.07.05 2275
975 공지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오중탁 2003.07.19 2276
974 공지 울산시계 현영석 2005.02.25 2276
973 冊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96 임다정 2011.02.18 2276
972 공지 졸업 전 읽으면 좋은 도서 추천 부탁 드립니다.⌒⌒ 5 김수지 2007.07.06 2277
971 ScienceTimes 김우재 박사의 미르(miR) 이야기 - 다시 권합니다 6 고원용 2009.05.19 2277
970 공지 57차 독서모임 11.10 수요일 현영석 2004.10.23 2279
969 공지 서울국제도서박람회를 다녀와서(in coex)..... 6 송근호 2007.06.09 2279
968 공지 생물학 관련 책 추천드립니다 3 박문호 2008.04.21 2280
967 교실밖 수학여행 이중훈 2009.04.06 2281
966 진해 사랑방'10.05.04 결과 보고<사진 첨부> 2 file 김상철 2010.05.07 2281
965 공지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1 문경수 2004.05.28 22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