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1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동아일보 선정 올해의 책 『노마디즘』 |

동아일보 책의향기 김형찬 기자 | 2002-12-21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서울 시내의 한 세미나실에서 현대 프랑스 철학자인 질 들뢰즈의 저서 『천의 고원』을 읽으며 함께 이야기한 강의의 기록이다. 3년에 걸친 강의를 녹음해 글로 풀고 교열을 거친 후 본래 강의를 했던 저자가 그 원고를 1년 동안 다시 손질했다. 원고지 6000여장, 책으로는 1500여쪽. 보기만 해도 ‘무거운’ 책이지만 이국의 난해한 철학을 우리의 삶 속에서 소화해 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주목했다.

『천의 고원』을 텍스트로 이용하기는 했지만 문학 예술 철학 역사학 등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들뢰즈의 철학을 저자 자신의 삶과 이 시대 한국사회의 현실 속에 끌어들여 사유하며 풀어냈다. “철학은 삶의 문제, 새로운 삶의 방식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저자 자신의 말에 충실하다.

1980년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던 저자는 1990년대부터 다가갔던 탈근대적 사유의 궤적을 마르크스주의와 다시 결합하며 들뢰즈를 통해 정리해 냈다. 80년대에 한국사회에서 자아와 타자의 대립과 투쟁으로 해석됐던 사회적 관계는 이제 언제 어디서나 새로운 관계를 맺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창조적 생산을 이뤄 내는 다양한 ‘배치(排置·Agencement)’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세상 모든 것은 고정된 개체가 아니라 어떤 관계망 속에 놓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규정된다는 것이다.

“노마디즘은 한곳에 머물지 않는 사유하는 자의 모습”이라고 설파하는 저자의 강의록은 들뢰즈의 철학과 저자의 사유, 독자의 책읽기를 하나의 역동적 관계망으로 연결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4 공지 우리 (토론을 하고 나서) 조근희 2002.07.04 4234
943 공지 우리 대전 같은 책 읽기 선정도서 4 강신철 2008.11.14 1606
942 공지 우리 독서모임 신문 방송 소개 현영석 2003.02.06 2573
941 우리 삶속의 정념들을 어떻게 사유해야 할 것인가, 정념의 해부학! 1 다지원 2010.09.21 1766
940 우리 아기 3 이중훈 2009.07.26 1735
939 공지 우리 아들 문호연 잘 크고 있습니다. ^^ 13 file 박혜영 2008.11.07 1764
938 공지 우리 클럽 관련 기사 (대전일보) 4 송윤호 2007.07.31 2050
937 공지 우리 클럽 박성일 운영위원님 기사 ^^ 1 송윤호 2007.09.04 1366
936 공지 우리 클럽의 홈페이지....!^^ 김민호 2002.07.02 4626
935 우리나라 과학계에 매우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는 듯합니다. 4 이병찬 2010.03.23 1978
934 우리나라의 동물원 이기두 2013.12.27 1435
933 공지 우리는 한 식구니까 11 강신철 2007.04.11 1945
932 우리대전 같은 책 읽기 3 file 강신철 2010.09.01 1842
931 공지 우리대전 같은책 읽기(토론회 모집) 강신철 2008.12.13 2216
930 공지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란? 구용본 2003.05.24 2589
929 공지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란? 이선영 2003.05.24 2530
928 공지 우리에게 필요한 단 한권의 책을 만들자면? 4 전재영 2008.11.23 1649
927 공지 우리클럽 1주년 축하~ *^^* 8 송윤호 2003.06.03 2436
926 공지 우물과 마음의 깊이 1 윤석련 2003.05.19 2742
925 우석훈 교수 강연 참석자 선물 1 강신철 2010.11.06 17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