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5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딸아이가 6학년이다 보니 자식농사라는 게 그 무엇보다도
힘들구나 싶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한권씩 사둔 책들을
다시 들추어 보았습니다.
"서울대를 꿈꾸려면 공부방법과 습관을 정복하라"
"서울대보다 하버드를 겨냥하라"
(제목이 부모들의 욕심을 자극하는 기분이 들었지만)
교육의 한 단면이긴 하지만 전자의 책은 30, 40대분들이
공부하던 방식의 전형이 아닌가 생각이 되고 후자는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선진국형 전인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공부란게 공부하는 방법의 차이도 있겠지만 잘 시스템화 된
제도와 앞서가는 의식도 중요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선진국에서 유익했던 것이니 우리나라에도
좋을 것이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단적인 예로 전인교육을 한다면 예능과외까지 생겨나고
열린교육을 한다고하면서 상식적인 내용도 파악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태반이랍니다.
우리 아이만 보아도 분명 저희가 어릴때 보다
공부하는 시간이 훨씬 많습니다. 하지만 이 많은 시간의
투자가 과연 어떤 결과를 보일지 의문스럽기만 합니다.
(들리는 말로는 대학에서 수업을 마음대로 하지 못할정도의
학력저하가 있다고 합니다. )
과연 우리나라에 가장 이상적인 교육의 형태는 언제
찾을 수 있을까요?
그래도 한가지, 두책에서의 공통점을 찾으라면 열심히 노력하라는
것과 책을 많이 읽히라는 것입니다. 그 두가지가 저에게는 최고의
위안이 되고 있습니다.
정리가 안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 틱낫한 스님의 "힘"

  2. "미래 속으로" 발제 자료

  3. [참고] 25차 도서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4. [창가의 토토] 아이들의 틀

  5. [창가의 토토] 아이들의 틀

  6. 소주 한잔 했다고 하는 말이 아닐세...

  7. 꽃밭...정채봉

  8. '화'란 책에 대해

  9. 우물과 마음의 깊이

  10. 사람을 사랑하다 그것이 좌절이 되면

  11. 크기의 상대성

  12. 사랑하고, 감사하고, 지혜롭기 위한 공부

  13.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란?

  14. 우리에게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란?

  15. 저겨 0~~ 책 추천좀 해주세염 0~

  16. 저겨 0~~ 책 추천좀 해주세염 0~

  17. 저겨 0~~ 책 추천좀 해주세염 0~

  18. 매경 우리 크럽 소개기사 2003.5.24

  19. 좋은 글을 소개합니다.

  20. 좋은 글을 소개합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