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4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부] "대학4년간 100권은 읽어야지"

                           '100권 독서클럽' 화요모임 17번째

25일 오전 7시 대전시 유성구 구성동 「벤처카페 아고라」. 제법 쌀쌀한 이른 시간임에도 10여명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반가운 얼굴로 인사를 주고받은 뒤 일제히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한국역사연구회)란 책을 꺼내 놓았다. 곧 공동저자의 한명으로 이날 모임에 초청된 한남대 최이돈 교수가 앞에 나서 책의 내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다. 이어 신문고, 과거, 봉건제도 등에 대한 질의 응답과 토론이 벌어지면서 어느덧 2시간이 금새 흘렀고 아침 식사를 마칠 때까지 많은 얘기가 계속 오갔다.

이날 행사는 「100권 독서클럽」 오프라인(offline) 회원들의 17번째 모임. 격주로 화요일마다 2주동안 미리 정해진 책을 읽은 뒤 만나 갖는 토론회이다. 다음 3월 11일 모임은 「달라이라마의 행복론」(류시화역)으로 정해졌다. 회원들은 이렇게 해서 지금까지 「항우와 유방」을 비롯, 「최신 EU론」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오만한 제국」 「만년샤쓰」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었다.

독서클럽이 만들어진 것은 한남대 현영석(玄永錫·51) 경영학부 교수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대덕밸리내 한 기업체 관계자가 요즘 대학생들은 문제해결 및 상황 대응능력이 부족하다고 하더군요. 생각 끝에 책을 읽도록 해야겠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독서를 많이 한 사람은 세상을 보는 눈의 폭과 깊이가 다르니까요.』

그는 학생들에게 약 2주에 한권씩 4년동안 책 100권만 읽힌다면 훗날 어디서든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나름대로 계산했다. 곧 학교 게시판을 통해 독서클럽에 대해 알렸다. 동료 교수와 제자 등 한남대 중심으로 지난해 6월 독서클럽이 출발했다.

클럽의 운영방식은 철저히 자유이다. 가입이나 탈퇴, 모임 참석이나 불참 등 누구도 관여하는 사람이 없다. 또 회장이나 회비도 없다. 하지만 타 대학 학생·벤처기업 직원·주부·연구원 등 소문을 들은 사람들이 계속 동참, 오프라인 회원이 처음 20여명에서 60여명으로 늘었다.

한남대 김민호(金珉浩·25·한남대 4학년)씨는 『클럽활동 전에는 일년동안 읽은 책이 3~4권에 불과했는데 지금은 한달에 3권』이라며 『동기유발, 책 선정 등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독서클럽은 지난해 8월 인터넷 홈페이지(www.100booksclub.com)를 개설했다. 독후감을 올려 관리할 수 있는 회원 개개인의 「독서방」을 비롯, 추천도서 게시·토론회 중계 등 각종 독서 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이곳은 온·오프라인 회원 모두의 무대로 현재 전국에서 270여명이 활동중이다. 독서클럽측은 앞으로 회원들이 독서방에 독후감 100개를 기록하면 「100권 독서클럽 인증서」를 수여할 계획. 또 저자를 초청해 강연회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처음부터 줄곧 오프라인 모임에 참석해온 송윤호(宋允鎬·26·한남대)씨는 『조금만 일찍 일어나 2시간만 투자하면 책 한권을 읽은 후의 성과가 훨씬 풍부해져 좋다』며 많은 이의 동참을 권했다.

( 任度赫기자 dhim@chosun.com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4 공지 [135회 독서토론회]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현장 스케치 2 문경목 2008.02.23 1417
703 공지 [134회 독서토론회] '고대문명교류사' 현장 스케치 4 문경목 2008.01.25 1623
702 공지 [133회 독서토론회] '상대성 이론' 현장 스케치 5 박혜영 2008.01.19 1583
701 공지 [132회 독서토론회] '이보디보' 현장 스케치 3 박혜영 2008.01.10 2075
700 공지 [130회 독서토론회]'만들어진 신'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12.03 1825
699 공지 [129회 독서토론회]'열하광인' 현장 스케치 8 박혜영 2007.11.20 2058
698 공지 [127회 독서토론회]' 세계 소설 문학의 흐름'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10.13 2026
697 [12/15(일) 오후5시] 『위험한 언어』 출간을 계기로 본 에스페란토 운동의 전망 ― 자멘호프 탄생 154주년 기념 집담회에 초대합니다! 갈무리 2013.12.10 1325
696 공지 [12.14] 뇌과학연구회 세미나 공지 이정원 2007.12.08 1219
695 공지 [12.11] 독서토론회 공지<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1 이정원 2007.12.09 1661
694 공지 [11월 정기산행] 사진스케치 13 문경목 2007.11.08 2413
693 공지 [118회 독서 토론]'말랑말랑한 힘 '스케치 현장 8 박혜영 2007.05.26 2437
692 공지 [117회 독서토론]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현장 스케치 4 박혜영 2007.05.15 2419
691 공지 [111회 독서토론] ‘나비와 전사’현장 스케치 14 박혜영 2007.02.15 2481
690 [11/4목]박문호박사님초청 '뇌과학3강' 안내 우경아 2010.11.03 1768
689 [11/13토] 여성학자 박혜란 ("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 저자) 강연, 오후 2시 노은도서관 안설아 2010.11.12 2173
688 공지 [11.16.운영회의] 백북스. 도약을 위한 준비. 4 윤보미 2008.11.17 1690
687 [10월9일개강] 네그리/하트의 『제국』 읽기!(총괄강의 조정환) 다지원 2011.10.03 1655
686 [10월4일개강] 랑시에르의 [역사의 이름들]!<랑시에르와 '주체화의 역사'>(안준범) 다지원 2011.09.24 1588
685 [10월10일개강] 야성의 철학자 스피노자! <스피노자와 우리>(조현진) 다지원 2011.09.24 1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