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3.02.21 09:00

인도로 가는 또 다른 문

조회 수 26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 목 : 인도에 대하여
저 자 : 이지수
출판사  : 통나무
출판년도: 2002년
참 간만에 마음에 드는 책을 보았다. 인도알기에 등록된 많지 않은 책중에서 읽는 이의 고통을 고려한 작가는 많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고통이란 정신적 혼란함을 말한다. 5,000년의 역사를 한눈에 통달하기가 쉽지 않고, 정돈되지 못한 문헌은 마치 그것이 인도려니, 하고 그냥 넘어가곤 하였다. 그러나 잘 정리된 목차는 마치 맛있는 음식의 풀 코스를 밟아가는 느낌이었고, 또 하나의 갈증을 해결해 주는 청량제라고 해도 과연이 아니다.

오늘날 인도가 우리에게 의미하는 모습은 과거를 돌아보고 세롭게 미래를 설정하려는 하나의 질서를 말한다. 이는 같은 아시아적 현실과 일찌기 인도가 말한 철학의 밑거름이 정신적 토양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이상학적 사유 방법은 괴물같은 존재로 부각된다.  현실과 괴리된 철학적 별리는 순종과 거역의 지름길에서 택일을 요구하고 있다. 정복자가 지니는 승리의 미덕은 패자의 고통으로 남았고, 오늘 9억의 인도는 이런 산고을 겪었고, 그 아픔의 연기는 아직도 피어 오른다. 이런 인도를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고, 아무런 준비없이 맞이하기엔 너무도 난망스럽다.

서구 열강의 인도에 대한 열정은 적게는 이백년 길게는 오백년에 이른다.
우스운 이야기로 "범어(梵語 sanskrit)을 배우려면 영국으로 가라, 인도 철학을 배우려면 독일로 가라"라는 말이 있다. 이는 그들의 세월의 깊이를 증거한다. 철학과 이념의 바탕이 "절대자에 대한 절대적 순종"으로 부터 시작된 서구적 개념을 뿌리채 뒤 흔드는 인도에 대한 도전역사는 땅이 지니는 영토의 정복적 개념만 존재한것은 아니지 않았을까.  

학창시절 어느 이른 봄 노 교수는 인도알기에 대한 준비과정으로  여러권의 책을 소개하셨다. 대부분의 책이 일본 원서였기에, 여기저기서 나오는 것은 한숨 뿐이었다. 이런 과정을 지나 우리의 인도 알기노력은 조금씩 지면을 넓혔다. 굳이 표현을 하자면 침대에서 읽던 책이 책상으로 옮겨야 할 만큼 새월의 깊이가 깊어졌다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공지 2120번 출력하기 좋게 요약 4 이병록 2008.01.27 2048
343 공지 20시간 홈베이스 복귀 화보... 2 송윤호 2004.03.06 2140
342 공지 20대 후반 (윽!), 나의 시간 속도는 시속 5km. 7 윤보미 2008.04.18 2003
341 2030사랑방~ 김영이 2009.06.19 2003
340 홍보 2019년 문화공간「숨도」운영자 공모 file 봉봉 2018.10.16 111
339 공지 2018년 생명윤리관련 정책연구과제 자유공모 안내(~4/6) file nibp 2018.03.27 72
338 공지 2016년 한국정신과학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정 꿈꾸는다이아 2016.05.18 1775
337 홍보 2016년 1학기 서산철학강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file gotmilk 2016.04.11 1955
336 공지 2015년 한국정신과학학회 추계 학술대회 일정 꿈꾸는다이아 2015.10.22 1425
335 2014년 한국 화이트헤드 학회 춘계 학술제 미선 2014.05.23 1556
334 2014 Yuri's night Korea 안내 임석희 2014.03.20 1454
333 201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4 한정규 2013.01.01 1452
332 2013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임석희 2013.02.10 1661
331 2012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봄강좌 개강 1 느티나무지기 2012.02.07 1387
330 2012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겨울강좌 개강 느티나무지기 2011.12.13 1955
329 2012년 5월 25일, 백북스 데이 8 김형태 2012.05.09 1390
328 2012.9.27에 화성에 착륙한 큐리오시티 영상 1 고원용 2013.02.11 1756
327 2011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봄강좌 개강 느티나무지기 2011.02.17 1484
326 2011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봄강좌 개강 느티나무지기 2011.02.25 1353
325 2011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가을강좌 개강 느티나무지기 2011.08.03 16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