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3.02.21 09:00

인도로 가는 또 다른 문

조회 수 26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 목 : 인도에 대하여
저 자 : 이지수
출판사  : 통나무
출판년도: 2002년
참 간만에 마음에 드는 책을 보았다. 인도알기에 등록된 많지 않은 책중에서 읽는 이의 고통을 고려한 작가는 많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고통이란 정신적 혼란함을 말한다. 5,000년의 역사를 한눈에 통달하기가 쉽지 않고, 정돈되지 못한 문헌은 마치 그것이 인도려니, 하고 그냥 넘어가곤 하였다. 그러나 잘 정리된 목차는 마치 맛있는 음식의 풀 코스를 밟아가는 느낌이었고, 또 하나의 갈증을 해결해 주는 청량제라고 해도 과연이 아니다.

오늘날 인도가 우리에게 의미하는 모습은 과거를 돌아보고 세롭게 미래를 설정하려는 하나의 질서를 말한다. 이는 같은 아시아적 현실과 일찌기 인도가 말한 철학의 밑거름이 정신적 토양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이상학적 사유 방법은 괴물같은 존재로 부각된다.  현실과 괴리된 철학적 별리는 순종과 거역의 지름길에서 택일을 요구하고 있다. 정복자가 지니는 승리의 미덕은 패자의 고통으로 남았고, 오늘 9억의 인도는 이런 산고을 겪었고, 그 아픔의 연기는 아직도 피어 오른다. 이런 인도를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고, 아무런 준비없이 맞이하기엔 너무도 난망스럽다.

서구 열강의 인도에 대한 열정은 적게는 이백년 길게는 오백년에 이른다.
우스운 이야기로 "범어(梵語 sanskrit)을 배우려면 영국으로 가라, 인도 철학을 배우려면 독일로 가라"라는 말이 있다. 이는 그들의 세월의 깊이를 증거한다. 철학과 이념의 바탕이 "절대자에 대한 절대적 순종"으로 부터 시작된 서구적 개념을 뿌리채 뒤 흔드는 인도에 대한 도전역사는 땅이 지니는 영토의 정복적 개념만 존재한것은 아니지 않았을까.  

학창시절 어느 이른 봄 노 교수는 인도알기에 대한 준비과정으로  여러권의 책을 소개하셨다. 대부분의 책이 일본 원서였기에, 여기저기서 나오는 것은 한숨 뿐이었다. 이런 과정을 지나 우리의 인도 알기노력은 조금씩 지면을 넓혔다. 굳이 표현을 하자면 침대에서 읽던 책이 책상으로 옮겨야 할 만큼 새월의 깊이가 깊어졌다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84 공지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4 조예리 2008.08.07 1287
3983 공지 변명 3 전광준 2008.09.16 1287
3982 [새책] 에코페미니스트 마리아 미즈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02.11 1288
3981 공지 [NHK동영상]우주...(우주배경복사,초신성,세페이드, 등등) 1 임성혁 2008.02.26 1289
3980 공지 가입인사 합니다. 2 박윤미 2008.04.25 1289
3979 공지 작가 김운하와 함께 하는 <인문학 오디세이아> file 브라이언 2015.08.19 1289
3978 공지 가입인사 그리고 모임 후기 6 오선영 2008.09.09 1290
3977 [내일 낮2시 개강!] 스피노자와 그의 비판자 다지원 2012.03.31 1292
3976 맑스에게 기회를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김석민 2013.12.29 1292
3975 공지 독서 아르바이트생 모집 8 강신철 2008.03.13 1293
3974 가입인사드립니다~ 2 이태경 2011.05.12 1293
3973 공지 아버지의 마음 6 강신철 2008.03.30 1294
3972 공지 제 인생을 바꾼 모임^^ 9 이혜원 2008.09.09 1294
3971 공지 개학 날 빵빵한 가방. 7 윤보미 2008.03.04 1295
3970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3 김현수 2008.05.06 1295
3969 공지 첫 참석! 행복했습니다~ *^^* 6 이나영 2007.11.15 1296
3968 공지 [re] 4월 19일 온지당, '이화에 월백하고' 행사 간략 안내 1 문경목 2008.04.11 1296
3967 공지 가입 인사 드립니다. 4 이소영 2008.05.02 1296
3966 공지 엄마의 선물 8 박혜영 2008.02.12 1297
3965 공지 백북스 회원님들의 글을 보다가 문득 떠오른 시. 5 이해선 2008.04.14 12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