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7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선(禪) 원류의 발자국을 따라가 본 이야기
제목 : 중국선불교 답사기
지은이 : 이은윤
출판사 :자작나무
출판년도: 1997년
평소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일상 속에서 자주 쓰이는 불교적 술어를 나열한다면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지만 , 특히 화두(話頭)란 말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는 말 그대로 해석한다면 '말의 시작' 또는 '풀 수 없는 명제'등의 강제적 의미의 해석을 동원할 수 있다. 그러나 원래 선(禪)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한 이 단어의 의미는 아무런 뜻이 없는 일종의 어조사에 지나지 않는다. 언어적 표현 목적이 아닌 단지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입된 언어라는 뜻이 강하다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고 하겠다. 서두에 장황하게 화두에 대한 해석을 늘어놓는 이유는 바로 이 화두에 대한 언어적 생명력을 느끼지 못한다면 이 책을 읽은 후 뭔가 매우 허전함만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의 선맥을 찾기 위해서 중국 선에 대한 해석은 반드시 도입 및 해석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은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음에도 동안 부분적 접근만 허용되었다.
이는 한국선 불교에 대한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한 고육지책일 수도 있다고 하겠으나, 진일보를 위한 전체적 해석이 필요하다.
그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 책의 저자는 많지 않은 시간동안 약 80여 선종 사찰만 찾아다니며, 선적에 나오는 역사적 흔적을 사실적으로 증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소위 동북아의 선불교의 거두로 잘 알려지고 있는 임제종의 종조, 임제 의현의 생애추적 그리고 마조의 실존적 증명, 필연적 화두 수행법 등은 그의 손끝을 거치면서 더욱 우리에게 새롭게 다가왔다.

이 책의 제목은 중국 선불교의 답사기이다. 그러나 일반적 답사기란 여행자의 주관적 시각을 통한 객관적 표현을 말한다. 이는 유모 미술평론가의 미학적 언어구사와 시각적 화려함으로부터 시작된 답사기 홍수 속에 시대적 유행을 따르기 위한 방편으로 도입하였을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첫 페이지를 넘기면서 이 책은 일반적 답사기가 아님을 금방 깨닫게 된다.
동안 수없이 등장하였던 선가의 괴물 같은 존재, 즉 공안, 화두에 대한 일목요연한 해석은 수년 전부터 새롭게 등장한 이론불교의 한 축을 맡고 있다고 하겠다. 중국 선불교의 대표적 표현은 오가칠종(五家七宗)으로 말한다. 이는 초조 달마 이후 약 천 여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나름대로 체계적 선 수행 풍토와 이론이 정립된다. 이 과정에서 공안과 화두가 수행방편으로 등장하였다. 논리적인 방법으로 해석될 수 없는 어떤 명제에 대한 이성적 판단이 배제된 신 해석 방법의 등장이 선가의 풍토였고, 스승과 제자, 또는 노파와 젊은 선객 등 드라마 같은 사실적 일화는 오늘의 우리에게 시사하는바가 더욱 더 크다. 이 책은 일련의 이런 과정을 친절하게도(?) 자세한 해석을 곁들여 놓고 있다. 이는 보는 이의 각도에 따라 효용론을 주장할 수 있으나, 선 불교 교과서적 입장으로 해석한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이 책은 중국대표선사들의 행적과 시대적 선불교의 흐름, 즉 발전과정을 눈여겨보게 하는 나침반 역할로 보는 것이 눈과 머리의 혼란함을 막는 방법중의 하나일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2011-01-26; 서울지부 선정도서 [인지과학혁명] 강연 파일 ppt-pdf 1 file 이정모 2011.01.30 1793
323 2011 수학아카데미 진행이 궁금합니다 2 김선희 2011.02.05 1746
322 2011 세계뇌주간 행사 안내 1 file 한정규 2011.03.01 1537
321 2010년9월11일 진해 사랑방-경주 기림사 & 석굴암 탐방 3 김상철 2010.09.12 2728
320 2010년6월8일 진해 사랑방 1 file 김상철 2010.06.09 2107
319 2010년 서울 뇌과학 회계 보고 2 file 강혜정 2010.04.13 1949
318 2010년 9월 주제 : 눈으로 읽는 그림 마음으로 읽는 그림 file 르네 2010.08.19 1611
317 2010년 1~2월 백북스 공식 회계보고 1 관리자 2010.03.03 1694
316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독서감상문대회」참가 안내 file 류지은 2010.09.19 2122
315 2010 세계 뇌주간 1 file 한정규 2010.03.05 1854
314 200회 정기모임을 축하드립니다. 14 임석희 2010.10.26 1763
313 200회 정기 모임 최종 안내 9 송윤호 2010.10.22 2016
312 2009인천세계도시축전 개최 4 file 박종민 2009.08.05 1698
311 2009대한민국과학축전 일산 KINTEX에서 개최 file 박종민 2009.07.25 1726
310 2009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수학, 과학교육분과] 발표후기 박종민 2009.07.16 2560
309 공지 2009년이 세계 천문의 해라고 합니다. 문경수 2007.12.26 1245
308 2009년6월18일 박문호 박사님 & 백북스 기사 4 문경목 2009.06.18 1751
307 공지 2009년 서울 모임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9 김홍섭 2008.12.03 1734
306 공지 20090321 제 4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강혜정 2009.03.05 1461
305 2009 중고등학생 북극연구체험단 모집 및 신청 안내 7 이어진 2009.06.18 19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