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33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산칼럼] 우려되는 학습기피증 .. 韓駿相 <연세대 교육학 교수>

게재일: 2002-09-16  
한국경제신문  
      
태풍 루사가 할퀴고 간 지역이 신음하고 있다.

하늘은 높아지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 계절을 부르는 초대치고는 너무 혹독했다.

크고 작은 물 손님(태풍)들이 매년 이맘 때에는 어김없이 찾아오는데도 수해방지 대책은 늘 뒷북만 친다고 아우성이다.

'치수(治水)는 국가관리의 기본'이라는 것을 잊어버린 탓이다.

'여력이 있으면 틈틈이 준비하며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말라'는 공자의 말씀이 이번에도 허사가 됐다.

우리 국민들처럼 평생학습을 소홀히 하는 나라도 없을 성 싶다.

35세 이상의 성인 가운데 평생학습기관에서 자기개발을 시도하는 비율은 고작 3%다.

이는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속하는 수치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 국민들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평균 20%를 웃돈다.

그런데 우리 국민 40%는 '여가가 생기면 텔레비전이나 보겠다'는 반응이다.

앞으로는 직장마다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될 텐데,쉬는 날 국민들이 무엇을 하며 보내게 될 것인지 궁금하다.

'여가에 책을 읽는다'는 대학생은 10% 미만이고,대부분의 중·고교생들 또한 여가에 컴퓨터하며 보내겠다는 소식을 접하면 더욱 답답해진다.

이러면서 우리 교육의 '경쟁력'을 논하고,'삶의 질 향상'을 거론하니 헛헛하다.

우리 국민들은 '학습질환'을 앓고 있다고 본다.

초등학생은 물론 대학생들마저도 배우고 익히기를 체질적으로 게을리하고 있다는 증거가 한두개가 아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책을 읽고 배우기를 싫어한다.

이 같은 학습질환은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더욱 도지기 시작한다.

학습기피증을 이 사람 저 사람에게 옮겨놓는 세균이 바로 '대학입시'다.

학습질환에 전염되면서부터 사람들은 학교졸업을 자기학습에 대한 면죄부로 수용한다.

아예 졸업장을 학습기피를 위한 면허증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우리 청소년들은 물음표로 학교에 들어가서 마침표로 졸업을 한다.

하여간,어른 아이를 막론하고 우리 국민 중 약 30%정도가 '책 읽는 것이 싫을 뿐만 아니라 배우기가 습관이 되지 않아서 학습하기 괴롭다'는 반응을 보면 우리의 학습질환 증세는 아주 고질적이다.

이런 점에서는 기업인이나 공무원 혹은 전문직 종사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배우기와 읽기는 국가경쟁력의 온상이며 토대이기에,사회 곳곳이 '배움의 장'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지식기반의 학습사회가 되려면 기업도 사회도 모두 '배움의 교실'이 돼야 한다.

그렇지만 우리기업이나 공무원사회 교수사회는 서구사회의 학습조직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서구기업의 책임자들은 한달 평균 7백여쪽을 읽는다.

1년이면 20여권의 책을 읽고 소화해내는 독서 마니아들이 바로 그들이다.

우리의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석달에 평균 1백쪽정도를 들여다 보고 있다.

'책맹(冊盲)'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그래서 우리의 기업 간부들은 저들의 '파워 독서력'에 숨이 가쁘기만 하다.

이런 학습기피증은 대학사회도 예외가 아니다.

'책을 가장 읽지 않는 전문직종 중의 하나가 교수직'이라는 어느 여론조사의 지적에는 가슴이 뜨끔해진다.

언론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교수들 중 60%정도가 한햇동안 전공도서 이외의 책을 한권도 읽지 않는 실정이다.

전공영역이라고 해도 연간 평균 5권 이상을 읽지 않은 교수도 수두룩하다.

고위 행정보직자들일수록 책과 거리가 멀다는 대목에 이르면 한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보고서 저런 공문,이런 신문기사 저런 글들마저 읽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겠지만,교수로서 계면쩍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래서일까 '존경하는 교수가 없다'고 응답한 대학생들이 10명 중 7명이나 된다고 한다.

원래 천고마비의 계절은 독서의 계절이 아니다.

위험과 재난을 대비해야 하는 계절이다.

말이 살찌기 시작하면 북방 오랑캐들이 어김없이 우리 땅에 쳐들어 올 것인 즉 그에 잘 대비하라는 뜻에서 만들어진 고사성어가 바로 천고마비라는 말이기에 하는 소리이다.

천고마비 계절을 맞이하려면 그 다음의 절기맞이를 준비해둬야 한다.

제대로 된 사람에게 독서와 배우기는 천고마비 계절에만 하는 '이벤트'가 아니라 매일 밥 먹듯이 하는 '일상적인 일'이어야 한다.

john@yonsei.ac.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84 [중급반] 화이트헤드 철학 강좌 [7월29일(월) 개강] 미선 2013.07.18 1737
4083 초대합니다!!!가수 김태곤박사 와 함께 하는 매직 힐링콘서트와 영성스터디를 함께 file 김선숙 2013.07.17 1946
4082 이기두님만^^ 4 육형빈 2013.07.14 1827
4081 한 여름 오후의 영성스터디와 여흥을 함께! ( 한국정신과학학회) 김선숙 2013.07.11 1583
4080 서호주 영상 몇개 4 문경수 2013.07.09 1703
4079 한국 대학들의 학문쳬계는 낡은 19세기 틀임 -고쳐져야 ! 1 file 이정모 2013.06.26 1839
4078 미선님의 글에 대한 의문 5 이기두 2013.06.19 1864
4077 김원수교수 강연과 TEA TIME- 한국정신과학학회 6얼 월례회 file 김선숙 2013.06.11 1639
4076 뇌과학에게 인문학을 말하다 7 미선 2013.06.05 2103
4075 서호주 탐사프로그램 2 이갑주 2013.06.05 2090
4074 (사)한국정신과학학회 6월 5일 공부방 모임 file 김선숙 2013.06.04 1671
4073 소리에 대한 생각 2 이기두 2013.05.30 1806
4072 연료굴뚝에 의해 성장하는 은하에 관한 연구--<출처>KISTI 미래안 이기두 2013.05.28 1581
4071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 입문 강좌-총10회] 5월20일(월) 2 미선 2013.05.14 4962
4070 마음지상주의-일체유심조 불교-대체의학-기와 한의학 오행설 비판 11 미선 2013.05.10 3531
4069 (사)한국정신과학학회/한국심신치유학회 학술대회 file 김선숙 2013.05.10 2152
4068 261차백북스 선정도서 "인류의 발자국" 고원용 2013.05.08 1994
4067 5월11일(토) 한국화이트헤드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 1 file 미선 2013.05.03 1816
4066 [참여연대 5.18기념특강]상처 입은 치유자, 5월의 사람들 느티나무지기 2013.05.03 1580
4065 [현장스케치] 작가 박범신과 함께 내고향 논산길 걷기 4 조수윤 2013.05.03 17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