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33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독서 산책] 디지털 도서관도 사람냄새 나게…

                                                        표정훈 <출판 칼럼니스트>

뉴캐슬 문학.철학회(The Newcastle Literary & Philosophical Society). 이름만 보아서는 영국 뉴캐슬 지역의 문학 및 철학 연구자들의 학술 단체로 간주하기 쉽다.

그러나 이곳은 15만권의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이다. 일반 도서 이외에 시작장애인을 위한 오디오북과 대형 활자도서도 소장하고 있으며, 19세기 영국의 희귀본 잡지 콜렉션으로도 유명하다.

이곳이 문학.철학회라는 명칭을 지니게 된 것은 1793년 윌리엄 터너 목사의 주도로 시작된 뉴캐슬 지역 지식인들의 토론 모임이 그 출발이었기 때문이다.

토론을 위해 필요한 책을 조금씩 갖추어 나간 끝에 1798년부터 사서를 두어 정기적으로 도서 목록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후 지역 도서관 역할에 주안점을 두게 되었고, 1820년에 '영연방 지역에서의 노예제 폐지를 위한 뉴캐슬협회'가 이곳에서 결성되는 등 사회 운동의 중심지 역할도 했다.

오늘날에는 문학.철학.역사.예술 등을 주제로 하는 초청 강연,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강좌 프로그램, 점심 시간 콘서트, 토론회 등 다양한 활동을 벌인다.

음악 관련 도서 자료와 LP 레코드를 비롯한 음반을 갖춘 음악실도 있다. 단순한 도서관이 아니라 뉴캐슬 지역의 문화 사랑방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이 운영하는 일종의 사회 단체에 해당하기 때문에, 회원들로부터 받는 회비로 운영된다.

얼마 전 문화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내놓은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과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은 눈부시기 그지없다.

2011년까지 2조5천억원을 투입하여 도서관 시설과 자료를 확충하고 도서관을 네트워크화하는 것은 물론, 공공도서관 자료 구입비를 예산의 20%까지 확대한다고 한다.

특히 모바일 도서관 청사진이 눈길을 끈다. 2006년까지 10여개 기초자치단체를 '밀레니엄 도서관 시범지구'로 지정, 해당 지역 도서관들의 목록 공유, 공동 대출 및 반납은 물론 모바일 무선 랜서비스, 자동 대출반납 등의 첨단 환경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 눈부신 청사진의 그림자 몇가지만 지적하자. 첫째, 전문성을 갖춘 사서 인력을 양성.확보하고 사서에 대한 처우를 대폭 개선하며, 그들의 직무 안정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공공도서관을 행정기구로 간주하는 일부 당국자들의 그릇된 인식에 뜻있는 사서들은 절망한다. 뉴캐슬 문학.철학회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사서 인력을 확보한 다음부터의 일이었다.

"통신망으로 정보를 검색하면서 답답함을 느끼는가? 제발 도서관으로 가라. 원하는 것을 찾는 데에 도움을 주는 살아 있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미국의 천문학자.정보통신 전문가이자 작가로 '허풍떠는 인터넷'(세종서적)의 저자인 클리포드 스톨의 말이다.

둘째, 일종의 정보기술(IT) 만능주의의 위험성이다. 최신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 친화적인 도서관 환경을 조성할 필요는 있다. 그러나 도서관 관련 투자의 우선 순위에 대한 깊은 고민이 있었는지 의문이다.

이 의문과 관련, 1997년에 출간된 '디지털 도서관 꿈인가, 광기인가, 현실인가'(김정근 편, 민음사)의 문제 의식은 아직까지 유효하다. 도서관을 '생각의 속도'로 진화시키려는 성급함은 '생각의 내용'이 빠진 껍데기 진화의 위험을 안고 있다.

'빌 게이츠@생생각의 속도'(청림출판)의 저자 빌 게이츠는 이렇게 말하지 않았는가. "오늘날 나를 있게 한 것은 동네의 공공도서관이었다." 2백여년에 걸쳐 느리게 진화한 뉴캐슬 문학.철학회는 도태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이 지역 주민의 참여 공간.문화 공간이 되기 위한 방안이다. 뉴캐슬 문학.철학회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도서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도서관도 주 5일 근무제 확산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뉴캐슬 문학.철학회가 출범할 즈음에 활동한 영국의 극작가이자 정치가 리처드 셰리든(1751~1816)이 이렇게 말했다는 것이 우연만은 아닌 듯 싶다. "마을의 도서관은 지식의 상록수와 같다."


출처 : 인터넷 중앙일보(www.joins.com)  2002.08.23 15:51 입력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84 [중급반] 화이트헤드 철학 강좌 [7월29일(월) 개강] 미선 2013.07.18 1737
4083 초대합니다!!!가수 김태곤박사 와 함께 하는 매직 힐링콘서트와 영성스터디를 함께 file 김선숙 2013.07.17 1946
4082 이기두님만^^ 4 육형빈 2013.07.14 1827
4081 한 여름 오후의 영성스터디와 여흥을 함께! ( 한국정신과학학회) 김선숙 2013.07.11 1583
4080 서호주 영상 몇개 4 문경수 2013.07.09 1703
4079 한국 대학들의 학문쳬계는 낡은 19세기 틀임 -고쳐져야 ! 1 file 이정모 2013.06.26 1839
4078 미선님의 글에 대한 의문 5 이기두 2013.06.19 1864
4077 김원수교수 강연과 TEA TIME- 한국정신과학학회 6얼 월례회 file 김선숙 2013.06.11 1639
4076 뇌과학에게 인문학을 말하다 7 미선 2013.06.05 2103
4075 서호주 탐사프로그램 2 이갑주 2013.06.05 2090
4074 (사)한국정신과학학회 6월 5일 공부방 모임 file 김선숙 2013.06.04 1671
4073 소리에 대한 생각 2 이기두 2013.05.30 1806
4072 연료굴뚝에 의해 성장하는 은하에 관한 연구--<출처>KISTI 미래안 이기두 2013.05.28 1580
4071 [화이트헤드 철학 기초 입문 강좌-총10회] 5월20일(월) 2 미선 2013.05.14 4962
4070 마음지상주의-일체유심조 불교-대체의학-기와 한의학 오행설 비판 11 미선 2013.05.10 3531
4069 (사)한국정신과학학회/한국심신치유학회 학술대회 file 김선숙 2013.05.10 2151
4068 261차백북스 선정도서 "인류의 발자국" 고원용 2013.05.08 1994
4067 5월11일(토) 한국화이트헤드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 1 file 미선 2013.05.03 1816
4066 [참여연대 5.18기념특강]상처 입은 치유자, 5월의 사람들 느티나무지기 2013.05.03 1580
4065 [현장스케치] 작가 박범신과 함께 내고향 논산길 걷기 4 조수윤 2013.05.03 17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