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46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중나선_제임스 왓슨 지음, 최돈찬 옮김


과학자들은 어떻게 생활할까?

더욱이 노벨상을 수상한 천재적인 과학자들은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이 특별하지 않을까?

연구에 몰입하며 몇 날 며칠이고 식음을 전폐하고 밤을 지새우며 연구하지 않을까?

연애하는 것보다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특이한 존재들은 아닐까?

 

이 책 이중나선 DNA 구조를 밝혀낸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한 제임스 왓슨이 주인공 입장에서 연구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어 마치 책을 읽는 내가 연구 과정에 동참하고 잇는 듯한아니 최소한 그들의 친한 친구나 가족이 되어 연구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이 책에는 왓슨 이외에 여러 주인공들이 나온다.

 

먼저 노벨상 공동수상지이며연장자로써 사실상 연구를 주도했던 프랜시스 크릭,

왓슨 자신보다 뛰어났기에 여러 면에서 조언을 구하고 무엇보다 크릭의 마음에 들기 위해 노력했던 모습이 그대로 진솔하게 묘사되어 있다.

연구 말미에 이중나선 모형을 만들어 크릭을 놀라게 하고염기배열이 서로 상보적임을 모형을 통해 증명하지 않았다면 아마 노벨상의 주인공은 크릭이고 왓슨은 조수가 되었을 것 같다.

 

다음으로 역시 노벨상 공동수상자인 모리스 윌킨스

인근 대학에서 DNA 연구를 먼저 시작했고 크릭과 왓슨이 DNA 연구를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던 선배 과학자.

윌킨스는 그 자신의 연구업적보다는 또 한 명의 주인공인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여성 연구자와의 적대적 관계로 더 유명했다윌킨스 입장에서 자신의 조수 연구자로 받아 들였는데로잘린드 프랭클린은 전혀 그럴 마음이 없었으니 속상할 만도 했다그러나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여성이기 이전에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뛰어난 과학자였다.

 

로잘린드 프랭클린,

자의식이 강한 여성 과학자. X선을 이용하여 DNA 영상을 찍어 왓슨과 크릭이 DNA 구조를 밝히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초기에는 윌킨스 뿐만 아니라 크릭과 왓슨과도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나중에 이중나선 모형을 본 후에는 서로의 실력을 인정하고 화해하고 협력하게 된다그러나 아쉽게도 노벨상 수상이 결정되기 전, 1958 37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다. 왓슨은 프랭클린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담아 책의 후기에 그녀의 공로를 동료로서 애정을 담아 특별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에서 연구하던 라이너스 폴링.

대화학자이며일부 단백질의 구조가 나선형임을 주장하여크릭과 왓슨에게 나선형 모델의 존재를 알려준 인물아마 크릭과 왓슨이 성공하지 못했다면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라이너스 폴링이 밝혀 냈을 것 같다.

 

서로가 학문적 성취를 놓고 벌인 경쟁관계였지만 서로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참고하는 모습. 그리고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고 서로를 축하해주는 장면은 참으로 보기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공지 부자가 되는 뇌의 비밀 -유상우- (21세기북스) 3 이재우 2007.10.08 3411
75 경영경제 4개의 통장 file 최윤배 2009.10.11 3443
74 공지 뇌,생각의 출현과 나 5 이윤정 2008.12.12 3449
73 공지 <구들장의 독서일기1>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4 류우정 2008.05.09 3458
72 공지 생명, 40억년의 비밀 - 리처드 포티 5 양경화 2007.05.12 3460
71 공지 무한한 힘 나는 성공한다(1990) 1 권윤구 2003.05.29 3464
70 공지 이보디보 2 강민석 2008.02.13 3475
69 공지 '앎의 나무'를 읽고 5 엄준호 2007.06.07 3480
68 공지 자기암시(에밀쿠에) 채나연 2008.11.17 3480
67 미러링 피플 (mirroring people) 소개와 번역자에 대한 고마운 인사 8 김갑중 2009.09.17 3491
66 공지 [42] 제레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3 이동훤 2008.04.19 3496
65 공지 시간의 놀라운 발견, 슈테판 클라인 지음, 웅진지식하우스,2007 10 장현도 2008.04.28 3497
64 공지 최고경영자 예수 - Laurie Beth Jones 1 강신철 2003.06.09 3507
63 공지 스티븐 제이 굴드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2 이정원 2007.09.17 3513
62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5 엄준호 2007.05.14 3517
61 공지 '초파리의 기억'을 읽고 2 엄준호 2007.06.18 3525
60 공지 1월달의 나의 독서목록 안유선 2003.06.25 3528
59 인문사회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있다>를 읽어가면서 신영호 2009.11.28 3528
58 문학예술 폼페이 3 조태윤 2009.02.03 3533
57 자연과학 최초의 3분 1 조태윤 2009.02.13 3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