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46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중나선_제임스 왓슨 지음, 최돈찬 옮김


과학자들은 어떻게 생활할까?

더욱이 노벨상을 수상한 천재적인 과학자들은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이 특별하지 않을까?

연구에 몰입하며 몇 날 며칠이고 식음을 전폐하고 밤을 지새우며 연구하지 않을까?

연애하는 것보다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특이한 존재들은 아닐까?

 

이 책 이중나선 DNA 구조를 밝혀낸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한 제임스 왓슨이 주인공 입장에서 연구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어 마치 책을 읽는 내가 연구 과정에 동참하고 잇는 듯한아니 최소한 그들의 친한 친구나 가족이 되어 연구과정을 옆에서 지켜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이 책에는 왓슨 이외에 여러 주인공들이 나온다.

 

먼저 노벨상 공동수상지이며연장자로써 사실상 연구를 주도했던 프랜시스 크릭,

왓슨 자신보다 뛰어났기에 여러 면에서 조언을 구하고 무엇보다 크릭의 마음에 들기 위해 노력했던 모습이 그대로 진솔하게 묘사되어 있다.

연구 말미에 이중나선 모형을 만들어 크릭을 놀라게 하고염기배열이 서로 상보적임을 모형을 통해 증명하지 않았다면 아마 노벨상의 주인공은 크릭이고 왓슨은 조수가 되었을 것 같다.

 

다음으로 역시 노벨상 공동수상자인 모리스 윌킨스

인근 대학에서 DNA 연구를 먼저 시작했고 크릭과 왓슨이 DNA 연구를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던 선배 과학자.

윌킨스는 그 자신의 연구업적보다는 또 한 명의 주인공인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여성 연구자와의 적대적 관계로 더 유명했다윌킨스 입장에서 자신의 조수 연구자로 받아 들였는데로잘린드 프랭클린은 전혀 그럴 마음이 없었으니 속상할 만도 했다그러나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여성이기 이전에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뛰어난 과학자였다.

 

로잘린드 프랭클린,

자의식이 강한 여성 과학자. X선을 이용하여 DNA 영상을 찍어 왓슨과 크릭이 DNA 구조를 밝히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초기에는 윌킨스 뿐만 아니라 크릭과 왓슨과도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나중에 이중나선 모형을 본 후에는 서로의 실력을 인정하고 화해하고 협력하게 된다그러나 아쉽게도 노벨상 수상이 결정되기 전, 1958 37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다. 왓슨은 프랭클린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담아 책의 후기에 그녀의 공로를 동료로서 애정을 담아 특별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에서 연구하던 라이너스 폴링.

대화학자이며일부 단백질의 구조가 나선형임을 주장하여크릭과 왓슨에게 나선형 모델의 존재를 알려준 인물아마 크릭과 왓슨이 성공하지 못했다면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라이너스 폴링이 밝혀 냈을 것 같다.

 

서로가 학문적 성취를 놓고 벌인 경쟁관계였지만 서로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참고하는 모습. 그리고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고 서로를 축하해주는 장면은 참으로 보기 좋다.


  1. No Image 26Sep
    by 김세영
    2013/09/26 by 김세영
    Views 1542 

    개-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2. No Image 13Oct
    by 김세영
    2013/10/13 by 김세영
    Views 1516 

    마종기와 루시드 폴의 시,시가(詩歌),산문,소설 그리고 서한집(書翰集)

  3. No Image 20Oct
    by 김동일
    2013/10/20 by 김동일
    Views 1728 

    안티프래질 antifragile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

  4. No Image 17Dec
    by 김동일
    2013/12/17 by 김동일
    Views 1786 

    방문객_정현종 시집 '광휘의 속삭임"중에서

  5. No Image 02Jan
    by 이태용
    2014/01/02 by 이태용
    Views 1187 

    오늘의 인물과 역사 2 19

  6. No Image 03Jan
    by 김동일
    2014/01/03 by 김동일
    Views 1532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주경철 지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7. No Image 01Feb
    by 김동일
    2014/02/01 by 김동일
    Views 1753 

    다윗과 골리앗 (말콤 글래드웰 지음)

  8.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 요약정리

  9. No Image 05Feb
    by 박용태
    2014/02/05 by 박용태
    Views 2600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2

  10.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3

  11. No Image 11Mar
    by 김금성
    2014/03/11 by 김금성
    Views 1296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김금성

  12. No Image 11Mar
    by 임소연
    2014/03/11 by 임소연
    Views 1204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임소연

  13. No Image 11Mar
    by 김금성
    2014/03/11 by 김금성
    Views 1398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이근완

  14. No Image 11Mar
    by 이근완
    2014/03/11 by 이근완
    Views 1329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권영옥

  15.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박순필

  16. No Image 14Mar
    by 송민령
    2014/03/14 by 송민령
    Views 1341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17. 엄지족 만세!

  18. No Image 02Apr
    by 김동일
    2014/04/02 by 김동일
    Views 1623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이문열 지음)

  19. No Image 25Apr
    by 임민수
    2014/04/25 by 임민수
    Views 2304 

    플라톤의 네 대화편을 읽고

  20. No Image 28Jul
    by 김동일
    2014/07/28 by 김동일
    Views 4628 

    이중나선_제임스 왓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