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6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이문열 지음)



시와 소설은
다르다
. 시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이야기이고 소설은 남의 이야기이다시는 작가의
주관적 경험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고
, 소설은 남의 경험을 마치 자기 경험인 것처럼 풀어낸다. 그런 점에서 시인은 순수하지만 소설가는 뻔뻔하다.



소설가가 뻔뻔해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소설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독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살짝 주입시킬 수 있는데
, 노골적으로 드러내면 반감을 갖게 되니, 문학적 장치를 이용하여 은근슬쩍 자신의 생각을 밀어 넣어야 한다마치 자신은
독자들의 흥미를 위해 이야기를 풀어 내고 있을 뿐이라는 투이지만
, 사실 감추어진 목적은 (아둔한) 독자들을 가르치는 데 있다.



우리나라 현대
소설가 중에
이문열만큼 독자를 가르치는 데서 노골적인
작가가 또 있을까
?



이문열의 소설을
읽으며 청소년
, 청년기를 보낸 나는 그를 매우 존경한다대륙의 한
보면서 잊혀졌던 백제의 영광에 대해, 그리고 역사는 어차피 해석인데,
이왕이면 진취적으로 하는 것이 좋지 않느냐는 주장에는 통쾌함을 느껴 술을 마셨다
사람의 아들’, ‘칼레파타칼라를 읽으며 무엇이 옳은 것인지 헷갈려서 또 술을 마셨다(이문열의 글에 묘사된 것처럼 술집의 방을 걸음을 옮길
수 없을 정도로 술병으로 가득 채우기 위해, 오직 그게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해 친구들과 술을 마신 적도
있었다. 물론 실패했고, 방을 가득 채우려다가는 죽을 것
같아 탁자의 짧은 면, 한쪽을 채우는 것으로 목표를 낮추고 도망쳐 나왔다. 그리고 또 선생을 존경하게 되었다.!)



직장생활을 시작하고부터는
소설을 한 동안 보지 못했지만
,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나서 맨 처음 집어 든 것도 역시 이문열의 작품, ‘삼국지 평역이었다서른이 넘어
읽는 삼국지에서 왜 그리 감동을 느끼고 빠져 들었는지
, 소설을 읽는 동안 회사업무보다 소설에 정신이
팔렸었다
. 다행히 며칠 지나지 않아 다 읽어 치웠는데, 마지막
책장을 덮기가 왜 그리 아쉽던지
……



그러나 이문열의
작품은 여러 번 반복해서 읽기에는 거북하다
가르침은 한
두 번이면 그뿐
, 반복되는 가르침은 사족이고 잔소리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 이 책은 이문열의 작품 중에서 조금은 이질적이다.



가르치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사라져 잊혀지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을 수묵화처럼
담백하게 그려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깐깐하기로 소문난 노교수가 수업 중에 잠시 지난 추억을 회고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할까
?



수업에 대한
부담을 내려 놓고, 존경하는 노교수의 추억을 듣는 시간, 공책을
빼곡히 채우며 배우는 것도 좋지만, 가끔은 이런 시간이 더 즐겁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공지 좋은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짐콜린스] 1 이혜영 2003.06.25 2155
75 공지 오늘 김지순 2003.06.25 2119
74 공지 한국의 부자들 윤창원 2003.06.25 2208
73 공지 미래속으로 (에릭 뉴트 저) 윤대문 2003.06.25 2213
72 공지 바보들은 항상 결심만 한다 - Pat McLagan 4 강신철 2003.05.01 4954
71 공지 변경 김영환 2003.06.25 2299
70 공지 유용주 그러나 나는 살아가리라 김지순 2003.06.25 2128
69 공지 박완서의 두부 김지순 2003.06.25 2337
68 공지 은희경 행복한 사람은 시계를 보지 않는다 김지순 2003.06.25 2299
67 공지 정상에서 만납시다 (지그지글러 저) 윤대문 2003.06.25 2262
66 공지 긴자 마담이 하는 이야기 성공하는 남자의 화술 김영환 2003.06.25 2473
65 공지 빵장수 야곱 3 강신철 2003.04.20 4399
64 공지 구도회 윤석련 2003.06.25 2279
63 공지 잘 찍은 사진 한장 이선영 2003.06.25 2076
62 공지 야생초 편지 이선영 2003.06.25 2100
61 공지 비영리민간단체의 경영 김영환 2003.06.25 2178
60 공지 그러셨었구나 윤석련 2003.06.25 2019
59 공지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김영환 2003.06.25 2316
58 공지 바이오테크 시대 강신철 2003.06.25 3366
57 공지 The One Page Proposal 박현희 2003.06.25 23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