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6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이문열 지음)



시와 소설은
다르다
. 시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이야기이고 소설은 남의 이야기이다시는 작가의
주관적 경험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고
, 소설은 남의 경험을 마치 자기 경험인 것처럼 풀어낸다. 그런 점에서 시인은 순수하지만 소설가는 뻔뻔하다.



소설가가 뻔뻔해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소설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독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살짝 주입시킬 수 있는데
, 노골적으로 드러내면 반감을 갖게 되니, 문학적 장치를 이용하여 은근슬쩍 자신의 생각을 밀어 넣어야 한다마치 자신은
독자들의 흥미를 위해 이야기를 풀어 내고 있을 뿐이라는 투이지만
, 사실 감추어진 목적은 (아둔한) 독자들을 가르치는 데 있다.



우리나라 현대
소설가 중에
이문열만큼 독자를 가르치는 데서 노골적인
작가가 또 있을까
?



이문열의 소설을
읽으며 청소년
, 청년기를 보낸 나는 그를 매우 존경한다대륙의 한
보면서 잊혀졌던 백제의 영광에 대해, 그리고 역사는 어차피 해석인데,
이왕이면 진취적으로 하는 것이 좋지 않느냐는 주장에는 통쾌함을 느껴 술을 마셨다
사람의 아들’, ‘칼레파타칼라를 읽으며 무엇이 옳은 것인지 헷갈려서 또 술을 마셨다(이문열의 글에 묘사된 것처럼 술집의 방을 걸음을 옮길
수 없을 정도로 술병으로 가득 채우기 위해, 오직 그게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해 친구들과 술을 마신 적도
있었다. 물론 실패했고, 방을 가득 채우려다가는 죽을 것
같아 탁자의 짧은 면, 한쪽을 채우는 것으로 목표를 낮추고 도망쳐 나왔다. 그리고 또 선생을 존경하게 되었다.!)



직장생활을 시작하고부터는
소설을 한 동안 보지 못했지만
,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나서 맨 처음 집어 든 것도 역시 이문열의 작품, ‘삼국지 평역이었다서른이 넘어
읽는 삼국지에서 왜 그리 감동을 느끼고 빠져 들었는지
, 소설을 읽는 동안 회사업무보다 소설에 정신이
팔렸었다
. 다행히 며칠 지나지 않아 다 읽어 치웠는데, 마지막
책장을 덮기가 왜 그리 아쉽던지
……



그러나 이문열의
작품은 여러 번 반복해서 읽기에는 거북하다
가르침은 한
두 번이면 그뿐
, 반복되는 가르침은 사족이고 잔소리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 이 책은 이문열의 작품 중에서 조금은 이질적이다.



가르치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사라져 잊혀지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을 수묵화처럼
담백하게 그려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깐깐하기로 소문난 노교수가 수업 중에 잠시 지난 추억을 회고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할까
?



수업에 대한
부담을 내려 놓고, 존경하는 노교수의 추억을 듣는 시간, 공책을
빼곡히 채우며 배우는 것도 좋지만, 가끔은 이런 시간이 더 즐겁다


  1. 개-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Date2013.09.26 By김세영 Views1542
    Read More
  2. 마종기와 루시드 폴의 시,시가(詩歌),산문,소설 그리고 서한집(書翰集)

    Date2013.10.13 By김세영 Views1516
    Read More
  3. 안티프래질 antifragile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

    Date2013.10.20 By김동일 Views1728
    Read More
  4. 방문객_정현종 시집 '광휘의 속삭임"중에서

    Date2013.12.17 By김동일 Views1786
    Read More
  5. 오늘의 인물과 역사 2 19

    Date2014.01.02 By이태용 Views1187
    Read More
  6.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주경철 지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Date2014.01.03 By김동일 Views1532
    Read More
  7. 다윗과 골리앗 (말콤 글래드웰 지음)

    Date2014.02.01 By김동일 Views1753
    Read More
  8.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 요약정리

    Date2014.02.03 By박용태 Views4387
    Read More
  9.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2

    Date2014.02.05 By박용태 Views2600
    Read More
  10.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3

    Date2014.02.05 By박용태 Views2174
    Read More
  11.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김금성

    Date2014.03.11 By김금성 Views1296
    Read More
  12.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임소연

    Date2014.03.11 By임소연 Views1204
    Read More
  13.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이근완

    Date2014.03.11 By김금성 Views1398
    Read More
  14.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권영옥

    Date2014.03.11 By이근완 Views1329
    Read More
  15.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박순필

    Date2014.03.11 By박순필 Views1522
    Read More
  16.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Date2014.03.14 By송민령 Views1341
    Read More
  17. 엄지족 만세!

    Date2014.03.16 Category인문사회 By임석희 Views1516
    Read More
  18.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이문열 지음)

    Date2014.04.02 By김동일 Views1623
    Read More
  19. 플라톤의 네 대화편을 읽고

    Date2014.04.25 By임민수 Views2304
    Read More
  20. 이중나선_제임스 왓슨

    Date2014.07.28 By김동일 Views462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