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6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이문열 지음)



시와 소설은
다르다
. 시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이야기이고 소설은 남의 이야기이다시는 작가의
주관적 경험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고
, 소설은 남의 경험을 마치 자기 경험인 것처럼 풀어낸다. 그런 점에서 시인은 순수하지만 소설가는 뻔뻔하다.



소설가가 뻔뻔해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소설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독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살짝 주입시킬 수 있는데
, 노골적으로 드러내면 반감을 갖게 되니, 문학적 장치를 이용하여 은근슬쩍 자신의 생각을 밀어 넣어야 한다마치 자신은
독자들의 흥미를 위해 이야기를 풀어 내고 있을 뿐이라는 투이지만
, 사실 감추어진 목적은 (아둔한) 독자들을 가르치는 데 있다.



우리나라 현대
소설가 중에
이문열만큼 독자를 가르치는 데서 노골적인
작가가 또 있을까
?



이문열의 소설을
읽으며 청소년
, 청년기를 보낸 나는 그를 매우 존경한다대륙의 한
보면서 잊혀졌던 백제의 영광에 대해, 그리고 역사는 어차피 해석인데,
이왕이면 진취적으로 하는 것이 좋지 않느냐는 주장에는 통쾌함을 느껴 술을 마셨다
사람의 아들’, ‘칼레파타칼라를 읽으며 무엇이 옳은 것인지 헷갈려서 또 술을 마셨다(이문열의 글에 묘사된 것처럼 술집의 방을 걸음을 옮길
수 없을 정도로 술병으로 가득 채우기 위해, 오직 그게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해 친구들과 술을 마신 적도
있었다. 물론 실패했고, 방을 가득 채우려다가는 죽을 것
같아 탁자의 짧은 면, 한쪽을 채우는 것으로 목표를 낮추고 도망쳐 나왔다. 그리고 또 선생을 존경하게 되었다.!)



직장생활을 시작하고부터는
소설을 한 동안 보지 못했지만
,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나서 맨 처음 집어 든 것도 역시 이문열의 작품, ‘삼국지 평역이었다서른이 넘어
읽는 삼국지에서 왜 그리 감동을 느끼고 빠져 들었는지
, 소설을 읽는 동안 회사업무보다 소설에 정신이
팔렸었다
. 다행히 며칠 지나지 않아 다 읽어 치웠는데, 마지막
책장을 덮기가 왜 그리 아쉽던지
……



그러나 이문열의
작품은 여러 번 반복해서 읽기에는 거북하다
가르침은 한
두 번이면 그뿐
, 반복되는 가르침은 사족이고 잔소리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 이 책은 이문열의 작품 중에서 조금은 이질적이다.



가르치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사라져 잊혀지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을 수묵화처럼
담백하게 그려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깐깐하기로 소문난 노교수가 수업 중에 잠시 지난 추억을 회고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할까
?



수업에 대한
부담을 내려 놓고, 존경하는 노교수의 추억을 듣는 시간, 공책을
빼곡히 채우며 배우는 것도 좋지만, 가끔은 이런 시간이 더 즐겁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6 공지 몰입의 즐거움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2 정현경 2007.05.31 3800
1395 자연과학 "아윈슈타인이 직접 쓴 물리이야기"를 읽고 6 표태수 2009.07.01 3798
1394 공지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포리스 카터 윤석련 2003.06.25 3798
1393 공지 제인 구달의 <희망의 밥상>을 읽고 김춘호 2007.02.13 3747
1392 공지 '불편한 진실'을 읽고 2 엄준호 2007.08.05 3739
1391 공지 탐독-이정우 2 장현도 2008.05.21 3734
1390 공지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장현도 2008.05.02 3710
1389 공지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임성빈 2005.10.27 3710
1388 공지 괴짜 경제학 1 김미순 2008.01.11 3691
1387 공지 [59] 자오선 여행 (쳇 레이모) 3 서윤경 2008.12.21 3677
1386 공지 개밥바라기 별 박경희 2008.11.13 3648
1385 공지 부여족의 이동과 기원 고깔모자를 쓴 단군 이병록 2007.01.01 3619
1384 공지 호텔왕 힐튼 자서전을 읽고.. (45th) 송근호 2007.06.25 3608
1383 기타 태양과 별자리 이야기 - 시대정신을 읽고 신동찬 2009.09.26 3606
1382 공지 박완서 산문집 [두부] 소개 : 한겨거레신문 전재 현영석 2002.12.15 3580
1381 자연과학 뇌 생각의 출현 - 박문호 6 손진경 2009.07.19 3569
1380 자연과학 최초의 3분 1 조태윤 2009.02.13 3569
1379 문학예술 폼페이 3 조태윤 2009.02.03 3533
1378 공지 1월달의 나의 독서목록 안유선 2003.06.25 3528
1377 인문사회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있다>를 읽어가면서 신영호 2009.11.28 3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