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17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윗과 골리앗 (말콤
글래드웰 지음
)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진다. 특히 1위만 의미 있는 사회가 되고 있다.
1위 기업이 산업의 이윤을 독점하고, 사회에서도 1등만이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
“Winner takes all” 이라는 말은 상식이 되었고, 따라서 2위도 패자이다.
 
전통적인 시각에서는 거인과 싸워 이기기 힘들다는 것이 상식이다.
쉬운 예로 총격전의
수학
이 있다. 9명의 적색분대와 6명의 청색분대가 교전을 한다명중률은 양
쪽 모두 평균 1/3 로 가정한다첫 교전을 치른 후, 양쪽의 숫자는 적색분대 7, 청색분대 3명이 된
초기에는 적색분대가
1.5
배 우위였으나 한 번의 교전 후에는 2배 이상의 우위를 점하게 된다. 
 
그러니 거인이 신경 쓰지 않는 니치 마켓을 노려라. 정면 승부는 위험하다.
 
그러나 말콤 글래드웰은 거인과 정면으로 맞서 이길 수 있다고 강변한다.
 
지난 200년간 강대국와
약소국의 전쟁을 집계해 보면
, 강대국이 원하는 정규전으로 싸울 경우 약소국의 승률은 28.5% (생각보다 높다!) 이지만, 약소국의 원하는 게릴라전으로 싸운 경우는 63.6%로 승
률이
급증
한다. (p35~36)
 
거인의 강점을 약점으로 바꾸고,
언더독의 약점을 강점으로 바꿀 수 있으면, 오히려 약소국의 승산이 높다는 얘기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은 전형적인 사례이다.
골리앗은 갑옷으로 온 몸을 두르고, 상대방의 방패를 부숴 버릴 수 있는 무시무시한 창과 칼을 들고
싸움에 임했다.
전사들의 싸움은 당연히 칼과 창으로 할 것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이런 싸움에서는
전사의 힘과
갑옷
, 무기가 승부를 좌우한다. 그래서 골리앗은 소년 다윗을
보았을 때 코웃음 쳤을 것
이다.
그러나 다윗은 생각이 달랐다. 골리앗의 덩치와 중무장한
병기를 약점으로 만들어 버릴 수 
있는
피드 전략
들고 나왔다
. 골리앗의 칼과 창이 위력을 발휘하는 근접전을 피하고 멀리서 빨리 달리
, 물매 돌로 기습을 했던 것이다. 다윗은 애초부터 칼과 창으로 정면 승부할 생각이 없었다. 다윗
은 전통적 의미에서의 전사가
아니라 양치기 목동이었던 것이다
.
 
패자는 승부가 끝난 다음에 결정된다.
승부를 체념하면 패자이지만, 지금은
경기 초반이고 앞으로 경기를 뒤집을 시간은 충분하며
, 목숨이 붙어 있는 한, 역전의 기회가 있음을 잊지 않는 사람은 패자가 아니다.
 
현재 약자의 위치는 약점이 아니다. 약점은 마음 먹기에 따라 강점으로 바꿀 수 있다.
 
읽는 재능이 없다면 듣는 재능이 생기게 된다. 도시를 폭격한다면 죽음과 파괴가 남지만, 포탄이 멀
리 빗나간 사람들의
공동체를 낳게 된다
. 어머니나 아버지가 없어진다면 고통과 절망의 원인이 될
있다. 그러나 열 명 중 한 명은 절망에서 빠져 나와 불굴의 힘을 얻게 된다. 엘라
계곡에서 거인과 
치기를 본다면 당산의 눈은 칼과 방패, 그리고 번쩍이는 갑옷을 입은 남자에게 끌릴
것이다
. 그러
세상의 아름다움과 가치 중, 수많은
것들은 우리가 상상한 것보다 더 많은 힘과 목적의식을 가진 
치기로부터 나온다.” (p324)

여러 면에서 약자의 어려움에 처한 나에게 말콤 글래드웰이 최고의
선물을 주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6 공지 도시 풍수 - 최창조 2 양경화 2007.04.11 2478
435 공지 도시 풍수를 읽고 1 이병설 2007.04.12 2285
434 공지 탐독(221) -이정우- (AGORA) 2 이재우 2007.04.12 3201
433 공지 최창조님의 '도시풍수'를 읽고 노승엽 2007.04.13 2391
432 공지 '도시 풍수'를 읽고 2 강민균 2007.04.14 2884
431 공지 10대들의 뇌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 바버라 스트로치 4 양경화 2007.04.15 2719
430 공지 도시풍수 (조선일보 4.14일자 발췌) 1 최윤배 2007.04.15 2276
429 공지 [21] 짐 콜린스,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이동훤 2007.04.17 2393
428 공지 역사속에서 걸어나온 사람들 1 정현경 2007.04.20 2589
427 공지 [22] 에릭 뉴트. '미래 속으로' 2 이동훤 2007.04.25 2338
426 공지 FAB -닐 거센펠드 2 양경화 2007.04.26 2342
425 공지 ‘에델만’이라는 산을 오르며... 5 엄준호 2007.04.27 2727
424 공지 부의 미래(222) -앨빈 토플러- (청림출판) 3 이재우 2007.04.30 2531
423 공지 면역의 의미론(223) -타다 토미오(황상익)- (한울) 1 이재우 2007.05.01 2498
422 공지 [23] 틱낫한, '화' 3 이동훤 2007.05.01 2584
421 공지 '우주의 구조'를 읽고 4 엄준호 2007.05.02 4039
420 공지 신경심리학입문을 넘어 3 문경수 2007.05.05 2667
419 공지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224) -사이토 다카시(황혜숙)- (루비박스) 5 이재우 2007.05.10 3393
418 공지 생명, 40억년의 비밀 - 리처드 포티 5 양경화 2007.05.12 3461
417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5 엄준호 2007.05.14 3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