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11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연학자 이브 파갈레와 함께 우주 여행을 올 여름 휴가대신 다녀 왔다.

              우주에 나가 보니  ' 내 생각이 옳다' 할 것이 없음을 깨닫는다.  생겼다  사라지고

              또 생겼다 사라지고, 계속해서 재활용되는 우주.   그를 따라 다니며 머리에 그리고

              마음에 불이 켜졌다 꺼졌다 하는 요동의 순간을 글로 남기기엔 내 기억력이 짧고

              붓끝이 무디다.   그래서 기분이 좋아던 부분 부분을 그대로 옮겨 다른 이들과 나누고 싶다.






             

         나는 누구인가? ... 소립자와 힘의 일시적이고 자의적인 결합, 물질과 에너지의 덧없는 추이......

        나는 허다한 원자들의 수혜자일 뿐, 그 원자들은 이미 다른 생명이나 사물을 구성했고 앞으로도 나 아닌

         다른 것들을 구성할 것이다. 나는 이미 골백번도 더 활용되었던 분자들의 구성물에 대한 용익권자에

        지나지 않는다. 언젠가 우주라는 상점에서 나라는 상품이 망가지고, 썩고, 재활용되고, 재구성되면 그

        분자들은 다시 새롭게 쓰일 것이다.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 인간이라는 종은 아무것도 아니다. 우주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인간이 사라져도 북극성 주위에는 아무 변화도 없을 것이요, 안드로메다 은하는 무사하고 평안하리

            라. '나비 효과'도 지구와  그 변두리 너머까지 작용하지 않는다!


            운명도 없고 신의 손도 없다. 신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계획하지 않았다. 인류의 미래는
 
            오로지 우리가 이미 내린 결정, 내리고 있는 결정, 앞으로 내릴 결정에 달린 문제다. 우리가 우주의

             힘을 배겨낼 수 있는 한에서 말이다.


             우주.

          수십억 개의 천체.... 그만큼이나 많은 수수께끼!

         인간은 보통 크기의 별 주위를 도는 작은 행성의 우둘투둘한 표면에 붙어사는 낱알 한 톨만 한 

         존재이다.   우주 전체가 인간의 것인 양하는 사람들은 지금도 많다. 별들이 우리 좋으라고 빛나는 줄

          아는 사람, 심지어  별을 보고 개인의 운명을 점치는 사람도 여전히 많다.



        

         생명이 지구에 출현한 것도 또 다른 미스터리다. 그러나 그 출현은 경이로울지언정 기적이 아니다.

     생명은     기적처럼 보이지만 그보다는 충동에 더 가깝다. 일종의 욕구, 경향이랄까. 생명은 물질이 복합

     되고 조직화되려는 내재적 성향, 엔트로피가 떨어져 죽음에 이르지 않게끔 맞서 싸우려는 성향에서 비롯

     되었다. 양자 진공은 진동으로 가득하다. 우주끈들은 일종의 음악처럼 작용한다. 파장이 퍼져 나간다.

     소립자들이 모여 원자가 되고, 원자들은 다시 단순 분자가 되며, 이 단순 분자들은 서로 결합하고 기다란

     사슬을 이룬다.



        탄생과 죽음의 복잡다단한 과정 속에서 호모 사피엔스의 출련을 '필연'으로 보게 할 만한 요소는

      아무것도 없다. 그 무엇도 풍악을 울리며 인류의 출현을 예고하지 않았다.



           인간은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 인간 자신을 제외하면, 그 어떤 종에게도 없어서는 안 도리 존재가

        되지 못한다. 절대적 우연성이라는 개념만이 현실에 들어맞는다. 인류에게는 딱히 운명도 없고, 소임도

        없고, 두드러진 역할도 없고, 어떤 특권적 지위도 없다



      지금으로부터 137억 년전에 은하들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우리도 이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별의 아이들이다. 우리는 우리의 종에 호모사피엔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호모스텔라리스 (Homo stellaris)' 라고 이름 붙일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 이름도 건방져 보이기

      는 마찬가지이지만!


      우주는 우리 눈에 '중력 렌즈'를 씌워 천제들의 실제 거리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는 재주도 있다.

      루프양자중력이론의 장점은 4차원만을 요하면서도 우주 기원의 독창성을 절묘하게 이해한다는 점이다.

       이 모형에 따르자면 물질과 우주는 끊임없이 튀어 오른다.

      '플랑크 벽'도 더 이상 반드시 넘을 수 없는 것만은 아니다.....




                            겉뜨기 한 코 

                            안뜨기 한 코

                            우주는 할머니의 뜨개질






  

                           참고문헌 : 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 이브 파칼레/ 이세진 옮김/ 해나무 출판사




 
  • ?
    정남수 2012.08.23 17:43
    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고,
    저는 그저 우주먼지였을 뿐이고...후후후

    허무하게 읽힐 수도 있고
    겸손하자 받아 들일 수도 있을 듯하네요. ^^;;

    잘 읽었습니다~
  • ?
    임석희 2012.08.23 17:43
    doing... 이라...
    감사합니다.
  • ?
    이시경 2012.08.23 17:43
    최유미 선생님
    사시는곳이 혹시 뉴욕이신가요?
    어느 137억년 강의에서
    성함을 들은 기억이 나서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6 경제학 카페 019 (2-2편) 3 한창희 2012.01.27 1497
1355 인문사회 [307회차] 모델링 강연을 듣고 12이진우 2015.05.31 1497
1354 자연과학 중력파 1 박용태 2016.05.12 1498
1353 공지 [8]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서윤경 2005.02.17 1499
1352 공지 4.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정청미 2005.09.24 1499
1351 공지 How to pass exam 23th 송근호 2005.05.09 1506
1350 인문사회 [308차 강연] 그림자 여행을 듣고 경정12전재국 2015.06.09 1509
1349 공지 달라이라마의 행복론-류시화 file 유지만 2004.09.30 1514
1348 공지 5. 미운오리새끼의 출근 -매트 노가드 지음 정청미 2005.10.03 1514
1347 경제학 카페 019 (2-1편) 내용이 길어 두편으로 나눔. 한창희 2012.01.27 1514
1346 공지 나무 남기원 2005.03.10 1516
1345 마종기와 루시드 폴의 시,시가(詩歌),산문,소설 그리고 서한집(書翰集) 김세영 2013.10.13 1516
1344 인문사회 엄지족 만세! 임석희 2014.03.16 1516
1343 공지 [5]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전시륜) 서윤경 2005.02.17 1517
1342 공지 기도 고윤의 2005.01.27 1518
1341 공지 [14] 한 남자의 그림사랑 서윤경 2005.02.21 1518
1340 공지 26. 앵무새죽이기 정청미 2006.10.14 1519
1339 공지 사다리 걷어차기 이대근 2005.04.01 1521
1338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박순필 1 박순필 2014.03.11 1522
1337 공지 나무-베르나르베르베르 정청미 2004.07.24 15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