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338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훈민정음>은 유라시아 동방의 극점에 나타난 에크리튀르의 기적이다.


  말이란 무엇인가, 문자란 무엇인가, 인간에게 있어 문자란 무엇이고 에크리튀르란, <지知=앎>이란 무엇인가 ― 이런한 <보편>으로 이끌어 주는 희유한 기적이다."


"  이리하여 <정음>은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 그리고 악센트라는 네 가지 요소로 해석하고 각각에 <형태>를 부여하는 사분법(tetrachotomy)의 경지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15세기 정음학의 이러한 인식은 15세기 중국 음운학의 이분법을 능가한 것은 물론이고 거의 20세기 언어학의 지평에 이른 것이었다."


이런 말을 한국인이 썼다면 국수주의자라는 말을 들었을 수도 있겠지만 "한글의 탄생"은 일본인이 쓴 책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새로운 문자로 글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엄청난 일이었는지를 이해했습니다.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는 당연한 일을 했습니다. "세종"이 무모한 일을 시작했던 것입니다.



"  <에크리튀르 ecriture> = <쓰는 것> <쓰여진 것> <쓰여진 지知>


  당시 에크리튀르의 모든 것은 한자한문이었다. <지>의 모든 것이 한자한문에서 성립되었다. 그것이 세계의 전부였다. 그러한 한자한문의 세계에, 아무도 본 적 없는 <정음>이 우뚝 서 있는 것, 이것이 15세기 조선에서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이 출발했을 때의 구도이다.


  임금은 최고 권력자이니 <혁명>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걸까? 아니다. 세종 임금이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으로 투쟁한 상대는 왕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막강한 상대였다. 그것은 역사가 쓰여지기 시작한 이래로 오늘날까지를 꿰뚫는 <한자한문 에크리튀르>였다. 투쟁의 상대는 바로 역사이며 세계였다. <지>의 모든 것이었다. 역사서, 즉 쓰여진 역사를 펴 보면 알 수 있듯이 거대한 에크리튀르의 역사 앞에서 임금은 시호로 불리고 쓰여지는 몇 글자의 고유명사에 지나지 않는다."


임금의 권력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습니다. '한글'을 사용한 사람들이 없었으면 새로운 문자는 곧 잊혀졌을 것입니다. 그러나, 말하던 언어를 글로 쓰는 너무나 훌륭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널리 퍼졌습니다. 국가의 공식 문서에만 사용하지 않았을 뿐, 퇴계가 유학을 토론할 때도 한글을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이 문자로 8000만명이 한국어를 쓰고 있고 "찌아찌아어"처럼 다른 언어를 쓰는 데에도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문자>라는 기적, 유라시아 동방의 극점에 나타난 에크리튀르의 기적을 이해하고 싶으신 분들은 이 책을 꼭 읽어 보십시오. '한글'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이 책은, 일본 3대 신문 중 하나인 마이니치 신문사와 아시아 조사회가 주최하는 '아시아태평양상' 대상을 2010년에 수상했습니다. 외국 문자의 가치를 설명한 일본어 책에 그해의 최고 저술상을 주고, 그 책을 베스트셀러로 읽은 일본 사회의 지知의 깊이에도 경의를 표합니다.


고원용

  • ?
    현영석 2012.08.06 06:32
    "외국 문자의 가치를 설명한 일본어 책에 그해의 최고 저술상을 주고, 그 책을 베스트셀러로 읽은 일본 사회의 지知의 깊이에도 경의를 표합니다"

    참 좋은 서평입니다. 이 책 당장 부문해야 겠습니다
    우리사회가 지의 깊이를 더욱 깊게 하는데 백북스도 함께 공헌하기를 기대합니다
  • ?
    이병록 2012.08.06 06:32
    한글 예찬론자로서 구미가 확 당기는 내용입니다.
    이제 한글을 오염시키는 낱말 토씨 등을 씻어 내야겠죠?
  • ?
    정남수 2012.08.06 06:32
    와!
    일본인이 쓴 한글의 탄생!
    반드시 챙겨 읽어야겠습니다.

    독후감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6 공지 행인 - 나쓰메 소세키 정현경 2007.02.12 2044
1395 공지 행운의 심리학 (Create your own luck) (요약) 고민정 2003.06.25 2255
1394 공지 행복한 마음 박동신 2004.08.29 1646
1393 공지 행복이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공지영) 1 file 이지연 2006.09.01 2050
1392 공지 행복을 나르는 집배원 file 정희정 2006.08.21 1756
1391 공지 행복 2 이재철 2006.09.08 1752
1390 공지 햇빛사냥(나의라임오렌지나무2) 여유진 2006.09.18 2135
1389 공지 해인사를 거닐다 장희원 2003.06.25 2032
1388 공지 해변의 카프카/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은주 2003.09.22 1888
1387 공지 해변의 카프카(하) file 정희정 2006.11.06 1955
1386 공지 해변의 카프카(상) file 정희정 2006.11.06 1943
1385 공지 해변의 카프카 김세영 2005.10.22 2148
1384 공지 해마 (이케가야 유지,이토이 시게사토) 3 윤현식 2008.08.22 3096
1383 공지 해마 박정혁 2004.02.02 1807
1382 공지 해결해 주는것은 단지 시간뿐이다. <녹색의 가르침> 김선주 2003.11.26 1725
1381 공지 항우와 유방(시바 료타료) 최수경 2003.06.25 2499
1380 공지 항우와 유방 1,2,3(224-1) -시바료타로(양억관)- (달궁) 1 이재우 2007.05.14 2934
1379 공지 항우와 유방 신운섭 2003.06.25 2432
1378 공지 한서이불과 논어병풍 2 윤석련 2003.09.06 1987
1377 공지 한나라 기행(시바 료타로) 4 양경화 2007.01.03 2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