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33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훈민정음>은 유라시아 동방의 극점에 나타난 에크리튀르의 기적이다.


  말이란 무엇인가, 문자란 무엇인가, 인간에게 있어 문자란 무엇이고 에크리튀르란, <지知=앎>이란 무엇인가 ― 이런한 <보편>으로 이끌어 주는 희유한 기적이다."


"  이리하여 <정음>은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 그리고 악센트라는 네 가지 요소로 해석하고 각각에 <형태>를 부여하는 사분법(tetrachotomy)의 경지에까지 도달하게 된다. 15세기 정음학의 이러한 인식은 15세기 중국 음운학의 이분법을 능가한 것은 물론이고 거의 20세기 언어학의 지평에 이른 것이었다."


이런 말을 한국인이 썼다면 국수주의자라는 말을 들었을 수도 있겠지만 "한글의 탄생"은 일본인이 쓴 책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야 새로운 문자로 글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엄청난 일이었는지를 이해했습니다. 한글 창제를 반대한 최만리는 당연한 일을 했습니다. "세종"이 무모한 일을 시작했던 것입니다.



"  <에크리튀르 ecriture> = <쓰는 것> <쓰여진 것> <쓰여진 지知>


  당시 에크리튀르의 모든 것은 한자한문이었다. <지>의 모든 것이 한자한문에서 성립되었다. 그것이 세계의 전부였다. 그러한 한자한문의 세계에, 아무도 본 적 없는 <정음>이 우뚝 서 있는 것, 이것이 15세기 조선에서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이 출발했을 때의 구도이다.


  임금은 최고 권력자이니 <혁명>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걸까? 아니다. 세종 임금이 <정음 에크리튀르 혁명>으로 투쟁한 상대는 왕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막강한 상대였다. 그것은 역사가 쓰여지기 시작한 이래로 오늘날까지를 꿰뚫는 <한자한문 에크리튀르>였다. 투쟁의 상대는 바로 역사이며 세계였다. <지>의 모든 것이었다. 역사서, 즉 쓰여진 역사를 펴 보면 알 수 있듯이 거대한 에크리튀르의 역사 앞에서 임금은 시호로 불리고 쓰여지는 몇 글자의 고유명사에 지나지 않는다."


임금의 권력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습니다. '한글'을 사용한 사람들이 없었으면 새로운 문자는 곧 잊혀졌을 것입니다. 그러나, 말하던 언어를 글로 쓰는 너무나 훌륭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널리 퍼졌습니다. 국가의 공식 문서에만 사용하지 않았을 뿐, 퇴계가 유학을 토론할 때도 한글을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이 문자로 8000만명이 한국어를 쓰고 있고 "찌아찌아어"처럼 다른 언어를 쓰는 데에도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문자>라는 기적, 유라시아 동방의 극점에 나타난 에크리튀르의 기적을 이해하고 싶으신 분들은 이 책을 꼭 읽어 보십시오. '한글'이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이 책은, 일본 3대 신문 중 하나인 마이니치 신문사와 아시아 조사회가 주최하는 '아시아태평양상' 대상을 2010년에 수상했습니다. 외국 문자의 가치를 설명한 일본어 책에 그해의 최고 저술상을 주고, 그 책을 베스트셀러로 읽은 일본 사회의 지知의 깊이에도 경의를 표합니다.


고원용

  • ?
    현영석 2012.08.06 06:32
    "외국 문자의 가치를 설명한 일본어 책에 그해의 최고 저술상을 주고, 그 책을 베스트셀러로 읽은 일본 사회의 지知의 깊이에도 경의를 표합니다"

    참 좋은 서평입니다. 이 책 당장 부문해야 겠습니다
    우리사회가 지의 깊이를 더욱 깊게 하는데 백북스도 함께 공헌하기를 기대합니다
  • ?
    이병록 2012.08.06 06:32
    한글 예찬론자로서 구미가 확 당기는 내용입니다.
    이제 한글을 오염시키는 낱말 토씨 등을 씻어 내야겠죠?
  • ?
    정남수 2012.08.06 06:32
    와!
    일본인이 쓴 한글의 탄생!
    반드시 챙겨 읽어야겠습니다.

    독후감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6 공지 '지구의 삶과 죽음', '공생자 행성', '기후의 반란' 1 고원용 2008.12.06 3388
1355 공지 바이오테크 시대 강신철 2003.06.25 3380
1354 공지 도덕의 기원에 관한 생물학적 고찰 5 엄준호 2006.12.17 3370
1353 공지 인디언 이야기.............. 3 송윤호 2002.10.18 3359
1352 공지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 이유미 4 양경화 2007.05.20 3352
1351 자연과학 콘서트를 제목에 활용한 책들 정만서 2011.07.04 3347
1350 공지 '믿음의 엔진'을 읽고 임성혁 2008.11.19 3344
1349 공지 집으로 가는 길 - 이스마엘 베아 2 양경화 2007.12.05 3332
1348 공지 마르코폴로의 동방견문록 - 김호동 역주 1 양경화 2007.08.24 3328
1347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역 3 최유미 2010.12.12 3320
1346 공지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정훈 2003.06.25 3309
1345 공지 눈오는 날 본 책 고재명 2003.06.25 3309
1344 공지 [44] 피에르 레비, '지식의 나무' 1 이동훤 2008.12.23 3300
1343 공지 이기적 유전자 - 밈에 대한 짧은 생각 신동찬 2009.02.28 3296
1342 공지 수난이대 2 박종두 2003.09.20 3296
1341 공지 블루오션전략35th (Blue ocean strategy) file 송근호 2005.08.30 3287
1340 공지 교사가 본 '깨진 유리창의 법칙' 2 이나라 2008.03.29 3281
1339 공지 [57] 착한인생 당신에게 배웁니다 (박경철 지음) 1 서윤경 2008.11.11 3275
1338 기타 오만과편견-제인 오스틴 1 이수영 2009.06.15 3257
1337 청춘의 독서 028 1 한창희 2012.01.30 32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