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08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마음에 대한 우리의 이해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무엇일까. 최근의 뇌과학이나 인지과학에서는 마음은 신체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마음이 신체화 되었다’고 표현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정신활동을 위해서는 ‘뇌’가 필요하며, 뇌를 형성시킨 신체가 부수적으로 필요로 함을 말한다. 몸과 두뇌에 제약받지 않는 정신, 순수하고도 자유로운 영혼이란 없다는 것이다.


  몸에서 자유로운 정신이란 없다는 이 주장은 매우 도전적이다. 말 그대로라면 고상하다고 배웠었던 이성의 세계에 균열을 내어야 한다. 철학과 종교의 역사에 찬물을 끼얹는 느낌이다. 몇 가지 질문이 다시 고개를 든다. 육체와 영혼사이의 긴장과 괴리는 인간성의 조건이 될 수 없다는 건가? 육체적 본성에서 원죄의 씨앗을 보았던 어거스틴이 틀린건가? 이승에서의 육신의 종말은 영혼도 함께 끝나는 것임을 의미하는가? ... 그래서 접근이 어렵기도 했을뿐더러 결론을 유보했던 질문이다. 질문을 한켠에 품고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차분히 다시 읽었다. 저자 로돌프 R. 이나스 의 얼음장 같이 차가운 물에 정신이 퍼뜩든다. 그의 차분한 설명과 절제된 문장에 탄복하며 책을 한권 넘기니 ‘우아한 이성’의 세계가 따듯한 심장근처로 내려온 듯한 느낌이다. ‘이성이여 정신차리고 천상의 세계에서 내려오라’는 손짓에 내 골통속 마음을 움직였다. 물론 어려운 몇가지 질문은 여전히 진행중이지만, 하나는 확실해졌다. 과학과 충돌하지 않는 선에서 해답을 찾아야 겠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의 의하면, 인간의 정신활동은 진화발달단계인 호모사피엔스에 이르러서 갑작스레 출현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몸의 출현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몸의 감각과 운동능력의 향상과 함께 발전되어 왔다. 보고, 듣고, 깜짝놀라 도망가는 신체의 반응과정은 마음의 중간과정이었다. 시각, 청각, 후각, 촉각의 말초신경계가 보내는 신호에 의지해 살아가는 작은동물은 마음이 없는 천한 미물이 아니었다. 그들의 감각과 움직임은 전기적 회로로서 뇌안에 유전되고 축적되어 ‘마음’을 숙성시켜나갔다. 감각을 유발한 외부로부터의 자극은 감정이라는 증폭단계를 거쳐 운동을 유발하였다. 운동은 내면화되었고, 신경회로로서 축적되었고, 그것이 정신활동을 유발하게 되었다. 환경은 감각을 통해 내부로 들어오고 운동을 통해 내면화 되었다. 그리하여 인간은 700그람의 질량과 14와트의 어두침침한 전력으로 자기 존재의 근원과 전체를 돌아보는 ‘마음’을 누리게 되었다. 고차원적 이성적 활동인 ‘정신’의 시작은 운동하는 생명체의 탄생인 7억년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인간의 이성적 사고가 아무리 위대하다 하더라도 근본적으로는 자유롭지 않다. 인간의 가능한 개념체계들과 가능한 이성형태들은 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나’라는 추상적 실체는 세상에 홀로 사는 유아론자는 될 수 없다. 왜냐하면 ‘내’가 진화에 의해 만들어진 방식이 바로 외부 세계의 성질을 내면화 화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마음을 진화적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의 생명을 둘러싼 생명의 연대성이 더욱 공고해진다. 그간의 생태학적 관점은 인간이 그를 둘러싼 물질순환적 환경의 일부로서 살아가는 생태계의 일원임을 자각해야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마음을 진화적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생태적 관점을 더욱 공고하게 해준다. 환경과 소통하고 순환하는 몸의 물질대사를 넘어서 ‘마음’도 그 안에서 태동하고 형성되어 왔으니까.


  머리로는 이렇게 이해해도 한편으로 쫌 기분상한 건 있다. 마음이 탐.진.치의 유혹에 항상 놀아나는 몸뚱이에서 비롯된다니 그렇다. 그래서 할매의 생전에 늘상 하시던 말씀, “호랭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똑바래 챙기면 되어~~”란 말을 곱씹으며 스스로를 위로해 본다. 정신을 놓면 몸뚱이가 호랭이 밥되는 건 분명하다. 정신이 살아야 몸이 산다. 정신이 먼저다.

  • profile
    김형태 2012.05.15 06:52
    이낙원 회원님의 멋진 후기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이 책은, 제가 백북스와 인연을 맺은 소중한 책이기도 합니다.
    저의 밑줄긋기 리뷰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booklog.kyobobook.co.kr/rlqjs/322172

    저는 아직도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 profile
    김형태 2012.05.15 06:52
    이낙원 회원님 고맙습니다. ^^ 절판된 책들의 요약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고맙습니다.
  • ?
    정남수 2012.05.15 06:52
    두 분의 독후감과 북로그를 여러번 읽었는데,
    아~ 아직 제 머리로는 입력이 잘 안됩니다.ㅎㅎ
    시간이 지나서 다시 또 읽어보려구요.ㅎㅎ
    나중에 직접 뵐 기회가 생기면 도움요청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6 공지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2 신지선 2006.10.31 1525
1335 공지 기획 천제가 된 홍대리 file 방지선 2004.11.18 1526
1334 공지 7막 7장 그리고 그 이후.... 2 file 송근호 2004.11.11 1527
1333 공지 지난날... 송나리 2005.02.07 1528
1332 공지 생활의 발견 - 지금 이 순간 바로 내 곁에 행복이 있다 강신철 2005.02.15 1528
1331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주경철 지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김동일 2014.01.03 1532
1330 공지 선물-스펜서존슨 송은경 2005.10.17 1536
1329 공지 수레바퀴 밑에서 주월랑 2005.01.23 1537
1328 공지 인생을 바꾸는 웃음... file 방지선 2005.02.01 1537
1327 공지 [13] 과학콘서트 (정재승) 서윤경 2005.02.21 1538
1326 공지 [11] 몰입의 즐거움(미하이 칙센터미하이) 서윤경 2005.02.17 1540
1325 개-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김세영 2013.09.26 1542
1324 공지 성녀와 마녀-박경리 1 이지영 2004.12.04 1543
1323 공지 미래기업의 조건 신원식 2005.10.04 1543
1322 공지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file 정희정 2006.08.01 1543
1321 공지 생산적 책읽기-안상헌 송은경 2005.10.11 1546
1320 공지 인생이란 무엇인가 1 송봉찬 2004.05.08 1547
1319 공지 아버지 심유정 2004.11.26 1547
1318 공지 살아있는 동안 꼭 해야할 49가지 고윤의 2005.01.27 1548
1317 공지 그남자 그여자 1.2 file 정희정 2005.07.03 15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