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65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간의 두뇌, 학습, 감성, 의식에 관하여 이토록 완성도 높은 책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았더라면, 그 중간 과정의 개별 연구에 대한 책을 읽고서 그토록 서투르게 독후감- 말 그대로 독서 후 느낌-을 쓰지는 않았을 텐데하는 후회를 하게 만든다. 

 인간의 뇌는 죽을 때까지도 학습을 통해 새로운 시냅스를 형성하고 개인의 경험을 확장하고 통합할 수 있다는 사실에 크게 고무되고 마땅이 인간은 죽을때까지 학습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자연선택을 땜장이처럼 근처에 존재하는 재료들의 무작위로 취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하는 기관을 만들 수 있음은, 기존의 시냅스와 통로들을 활용하여 또 다른 경로를 꾸미거나 연결시켜서 새로운 시냅스를 발달시키고 새로운 지혜에 이르는 학습과정에 대비된다.

 장기기억에 유전적 요소가 개입한다는 사실에서는 후생유전학이라 불리는 분야에 새로운 관심을 갖게 만든다. 한 개체의 생활 환경이 유전적 요소의 켜고 끔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의 결과는 다시 유전정보에 저장될 것이고 그것이 생식을 담당하는 유전자에까지 변화를 미친다면 한 개체의 단 한 세대의 경험이 후손의 유전자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 같다.

 한 개인의 인생이 그 분야의 과학사에서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 그 상호간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개인의 인생 이야기를 듣는 재미도 쏠쏠하다.

 사람은 확실이 자신의 관심분야에서 일하는 일류의 사람에게 다가가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정신병의 치료에서 약물의 부작용처럼 정신분석이나 상담치료에서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은 매우 흥미롭다. 
 인지치료는 특정한 과잉불안에 대한 학습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것은 불안을 느끼는 대상이 그렇게나 위험하지 않다는 사실을 학습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그런 과정은 시냅스에서의 전달물질에 관여하는 약물의 기능과 상통한다.
  • ?
    박경 2011.01.26 17:03
    지난 주 뇌과학 강의에서 장기기억은 궁극적으로 조절단백질이 유전자를 발현시켜 새로운 시냅스 형성한다는 내용이 생각납니다. 저도 이 책을 꼭 읽어 보고 싶군요
  • ?
    신동찬 2011.01.26 17:03
    과학과는 먼 직업에 있지만 이런 지식에 관심이 가는것에 저 자신도 신기할 따름입니다. 인생에서 첫번째로 접하는 경험이란 거의 예외없이 강한 정서적 자극을 동반합니다. 그 단 한번의 경험으로도 새로운 시냅스는 비슷한 맥락, 배경, 감정을 동반하는 뇌의 부위에 새로운 시냅스를 연결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첫 경험은 그토록 오래도록 사람들의 기억속에 자리잡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경험은 학습을 통한 둔감화와 비슷하게 작용하여 정서적 반응을 감소시킬 것입니다. 비슷한 이야기로 강한 확신을 동반하는 첫 번째 자신의 신념, 가설, 주장 등은 차후에 미심적더라도 폐기하지 못하고 강한 애착이나 믿음을 간직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공지 생산적 책읽기 50 file 조동환 2006.02.05 1588
1275 공지 논리속의 철학 논리밖의 철학 노미희 2006.05.19 1590
1274 공지 여행의 책 - 살아있는 책과의 대화 그리고 내면의 여행. file 배소영 2005.01.31 1591
1273 공지 경영 경제 인생 강좌 45편 file 조동환 2006.02.05 1591
1272 공지 아직도 가야 할 길 file 정희정 2006.07.28 1591
1271 공지 불손하고 건방지게 미술 읽기(윤영남) 노란잎 2006.02.05 1592
1270 공지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고윤의 2005.01.27 1593
1269 공지 "철 도 원" 박종두 2004.02.08 1595
1268 공지 성공하는 한국인의 7가지 습관 이대근 2005.03.30 1595
1267 공지 그대 향해 달려가리라 조동환 2006.02.05 1598
1266 공지 연어,연금술사 읽었다! 이성숙 2005.01.21 1599
1265 공지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 file 정희정 2005.07.21 1599
1264 공지 소유의 종말을 읽고.. (17 th)"The Age of Access" file 송근호 2005.04.10 1600
1263 공지 001 Straight from the Gut (끝없는 도전과 용기) 4 김창수 2004.11.03 1601
1262 공지 오월의 신부 남기원 2005.05.20 1601
1261 공지 진화 임성빈 2005.10.27 1601
1260 공지 13. 마시멜로 이야기-호아킴 데 포사다, 엘런 싱어 정청미 2006.05.02 1601
1259 공지 22. 살아있는 동안 해야 할 49가지 이야기 정청미 2006.10.05 1601
1258 운명이다 029 1 한창희 2012.01.31 1601
1257 공지 너만의 명작을 그려라 정청미 2004.03.09 16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