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653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간의 두뇌, 학습, 감성, 의식에 관하여 이토록 완성도 높은 책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았더라면, 그 중간 과정의 개별 연구에 대한 책을 읽고서 그토록 서투르게 독후감- 말 그대로 독서 후 느낌-을 쓰지는 않았을 텐데하는 후회를 하게 만든다. 

 인간의 뇌는 죽을 때까지도 학습을 통해 새로운 시냅스를 형성하고 개인의 경험을 확장하고 통합할 수 있다는 사실에 크게 고무되고 마땅이 인간은 죽을때까지 학습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자연선택을 땜장이처럼 근처에 존재하는 재료들의 무작위로 취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하는 기관을 만들 수 있음은, 기존의 시냅스와 통로들을 활용하여 또 다른 경로를 꾸미거나 연결시켜서 새로운 시냅스를 발달시키고 새로운 지혜에 이르는 학습과정에 대비된다.

 장기기억에 유전적 요소가 개입한다는 사실에서는 후생유전학이라 불리는 분야에 새로운 관심을 갖게 만든다. 한 개체의 생활 환경이 유전적 요소의 켜고 끔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의 결과는 다시 유전정보에 저장될 것이고 그것이 생식을 담당하는 유전자에까지 변화를 미친다면 한 개체의 단 한 세대의 경험이 후손의 유전자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 같다.

 한 개인의 인생이 그 분야의 과학사에서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 그 상호간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개인의 인생 이야기를 듣는 재미도 쏠쏠하다.

 사람은 확실이 자신의 관심분야에서 일하는 일류의 사람에게 다가가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정신병의 치료에서 약물의 부작용처럼 정신분석이나 상담치료에서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은 매우 흥미롭다. 
 인지치료는 특정한 과잉불안에 대한 학습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것은 불안을 느끼는 대상이 그렇게나 위험하지 않다는 사실을 학습함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그런 과정은 시냅스에서의 전달물질에 관여하는 약물의 기능과 상통한다.
  • ?
    박경 2011.01.26 17:03
    지난 주 뇌과학 강의에서 장기기억은 궁극적으로 조절단백질이 유전자를 발현시켜 새로운 시냅스 형성한다는 내용이 생각납니다. 저도 이 책을 꼭 읽어 보고 싶군요
  • ?
    신동찬 2011.01.26 17:03
    과학과는 먼 직업에 있지만 이런 지식에 관심이 가는것에 저 자신도 신기할 따름입니다. 인생에서 첫번째로 접하는 경험이란 거의 예외없이 강한 정서적 자극을 동반합니다. 그 단 한번의 경험으로도 새로운 시냅스는 비슷한 맥락, 배경, 감정을 동반하는 뇌의 부위에 새로운 시냅스를 연결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첫 경험은 그토록 오래도록 사람들의 기억속에 자리잡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경험은 학습을 통한 둔감화와 비슷하게 작용하여 정서적 반응을 감소시킬 것입니다. 비슷한 이야기로 강한 확신을 동반하는 첫 번째 자신의 신념, 가설, 주장 등은 차후에 미심적더라도 폐기하지 못하고 강한 애착이나 믿음을 간직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책 가지뻗기 -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살아있는 글쓰기 3 지석연 2010.04.26 2539
175 공지 책 읽는 소리 2 박동신 2004.09.22 1691
174 공지 책, 세상을 훔치다 김미순 2006.12.15 2051
173 공지 책과 영화-오만과 편견, 그리고 브리짓존스 고명한 2006.09.30 2180
172 공지 책속에 담겨 있는 지혜를 캐기 위한 방법 이재철 2006.11.07 1858
171 공지 책에게 경제를 묻다 김미순 2006.12.15 1995
170 책에서 답찾기- If의 심리학 4 윤보미 2009.05.01 2293
169 공지 천개의 공감 1 김미순 2007.12.18 2871
168 공지 천국의 책방 열씨미 2003.06.25 2217
167 공지 천사와 악마 -댄브라운 서희정 2006.03.15 1410
166 공지 철학 삶을 만나다 김미 2006.12.25 2140
165 공지 철학을 위한 물리학 손기원 2003.06.25 2191
164 공지 청바지 돌려입기.... 심지영 2003.06.25 2403
163 청춘의 독서 028 1 한창희 2012.01.30 3255
162 공지 체 게바라 - 죽어서도 말하는 영웅 1 file 강신철 2005.02.04 1606
161 체 게바라 평전 005 2 한창희 2004.07.21 2024
160 공지 체스터필드, 최고의 인생 file 신유진 2007.01.28 1888
159 공지 초신성 1987A와 별의 성장-2008-06 1 조동환 2008.02.04 2514
158 공지 촘스키, 세상의 물음에 답하다 신원식 2006.08.05 1696
157 공지 최고 경영자 예수 file 유운재 2004.08.05 16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