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565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티벳인,러시아인, 유태인,  필리핀, 아일랜드인, 가나인, 이디오피아,
        나이지리아,남미 ,영국,자마이카, 독일인,그리고 한국인.



          이들이 모두 같은 직장에서 일하는 나의 동료들이다.
       뉴욕의 심장부, 맨해탄이기 때문에 별 기이할 것도 없다.
오히려 한 가지 머리색만 보이는 서울의
       지하철이 이상한 느낌이 들때가 있다.


  
           아주 가끔 이 많은 다양성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궁금했었다. 내가 보는 그들은 나와 너무 다르고
          또 그들이 보는 나 또한 그들과 너무 다르다. 같은 현대인류라 해도 말이다.
           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중동지역과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자리 잡았던 우리의 조상들.



         피부색이 다르고 역사와 문화가 다르니 사고방식이나 가치관도 다르다. 정말 다르다. 간혹 도저히
       뛰어 넘을 수 없는 벽을 느낀다. 그들이 나를 바꿀수 없듯이 나도 그들을 바꿀수 없다.




       수많은 세대를 거치는 동안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고 목적성이 없는 자연선택이 이루어지고
        유전자에 화석을 남겼다 .
빅뱅이 우주배경복사라는 화석을 남겼듯이.






       인류의 발생 장소라고 알려진 아프리카를 떠나 인류가 어떤 경로로 지구 전대륙으로 이동했는지,
      돌연변이가 나타난 연대까지 측정할 수 있는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간의 Y염색체 변이형을 추적하
      여 밝혀내고 있는 책이 <최초의 남자> 이다. youtube에서 동명의 다큐도 볼 수 있다.
      그야말로 유전자 오딧세이이다.





          유전자 변이형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집단이 바로 가장 오래된 종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인류의 경우는 바로 아프리카 인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86 쪽






          인류의 조상은 아마도 몽골주름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왜냐하면 현재 지구
          상에서 멀리 떨어진 두 곳, 즉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주민에게서 몽골주름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할때, 이 특징이 두 지역에서 각기 독립적으로 발생했다고
          말하는 것보다는 이것이 인류의 조상 때부터 전해 내려오는 형질이며 다른 인종들이 이
          를 상실했다고 말하는 편이 훨씬 논리에 합당하기 때문이다.    - 120쪽










          <1만년의 폭발> 또한 유전자를 따라 떠나는 여행이다. 그러나 현대인류가 '혁명적 시기'로
           일컬어지는 1만년전에 겪은 문화적 그리고 생물학적 변화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저자가 밝혔듯
           '유전 역사학' 이다.




         인간의 진화가 오래 전에 멈추었다는 것이 지난 세기 사회과학의 일반 통념이었다. 이
         시기를 현대 인류가 아프리카를 빠져나와 지구 곳곳으로 퍼져나갔던 5만년 이전으로 본
         다..... 애석하게도 진화가 최근에 멈추었다는 것은 인간의 몸이 어디나 똑같다는 뜻이기
         도 한데, 이것은 엄연히 사실이 아니다. 분명 일반통념이 틀렸고, 인간의 진화는 계속되었
         다.        
- 7 쪽







          현대 인류에 앞서 아프리카를 떠났던 네안데르탈인을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그들과 짝짓기를 하지
          않았을거라고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저자는 다르게 해석한다. 그들과 짝짓기를 하지 않았을거라고
         주장하는 근거도 없으며 했을거라고 주장하지 못할 근거도 없다고. 
         오히려 구인류와 만나 그들과의 짝짓기를 통해 새로운 유전자 이입이 있었던 증거를 제시한다.







         재미있지 않은가?
         리차드 도킨스가  어느 책에서 말했듯 ,이미 일어난 범죄현장에 나가  남아 있는
        증거만으로 사건을 풀어야하는 탐정처럼, 과학적 증거를 가지고 지나간 역사적 사건을 추측해보는
        것. 그들이 몇 년 아니 . 몇십년을 걸려 해 놓은 연구결과를 그냥 앉아  읽고 있으니.( 그들이
       공들인 노동력에 우리가 책값으로 댓가를 지불한다고 해도 난 그들의 작업 덕분으로 지식이 쌓여간다
        는 의미에서 책을 쓰는 이들에게 항상 감사한다.) 자다 깨도 생각지 못하는 많은 지식들을 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뇌라는 저장소에 차곡차곡 쌓아 가는 것이 책읽는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최초의 남자 ( The journey of Man) /스펜서 웰스/황수연 역/사이언스 북스


                            1만년의 폭발 , 그레고리 코크란.헨리 하펜딩 지음/ 김명주 역/글항아리









  • ?
    김향수 2010.12.21 19:38
    아 이책은 박문호박사님이 추천하신 책이네요.
    대단하세요, 한 권씩 뚝딱 읽어내는 내공이 부럽습니다.

    독후감들 잘 보고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
    문영미 2010.12.21 19:38
    정말 좋은 책에 시간과 열정을 쏟고 계신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간결하면서도 호기심 생기게 하는 글쓰기도요.

    우선 책부터 사고 싶어 지네요.

    지난 일요일 1만년의 폭발에 대해서 박문호 박사님께서
    소개해 주셔서 더 익숙한 접근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두 분..
  • ?
    문병희 2010.12.21 19:38
    또 하나의 고민이 생깁니다. 읽어야 할 책의 목록이 생겼다는 것, 이것이
    행복한 고민의 시작으로 서서히 다가오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 ?
    이후형 2010.12.21 19:38
    지금도 진화하고 있심다...나는 나를 사랑합니다, 우주 마음에 감사드립니다.
  • ?
    이정희 2010.12.21 19:38
    책읽기 길이 생겼다는 느낌이 과학독서를 시작한지 1년이 지난 달 3월부터인 것 같다
    길이 생겼다.. 신기하다
  • ?
    신동찬 2010.12.21 19:38
    영화 X맨 처럼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현재 사는 사람들이 모두다 돌연변이 때문에 존재한다는 것, 한 지역에서 한 종족이 다른 종족을 대체하는 것은 그 지역에서 우월한 돌연변이 유전자 때문이고, 농경을 잘하는 것도, 어느 개체 수 이상의 집단생활을 하는 것도 그 생활 내에 존재하는 기생충, 전염병 같은 것에 대항할 수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기 때문이고 주장하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 ?
    신동찬 2010.12.21 19:38
    강아지의 길들여지는 성향들 처럼, 인간 또한 역사속에서 길들여져 속아내어지는 유전적 성향이 있을 것입니다. 명령에 복종하는 성향, 절대로 길들여지지 않는 성향, 지배하고 폭력적인 성향, 피해서 달아나고 은둔하는 성향, 이런 성향들은 각각의 유전자에 새겨져 있는 것이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제 보편적 사회 제도-사람들 두루 편안히 살게하는- 안에서 특별한 성향의 유전자는 차츰 설 자리를 잃고 다른 사람들이 행동하는 대로 따라하는 성향의 유전자가 많아져만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자연과학 305회차 후기 : 이명현의 별 헤는 밤 - 이명현 박사 file 신보람 2015.04.19 1058
1275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file 신보람 2015.05.04 1287
1274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김병용 2015.05.06 980
1273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홍덕화 2015.05.03 1094
1272 공지 31. 뇌(하) - 베르나르 베르베르 정청미 2007.01.08 1767
1271 공지 3년후 당신의 미래 고윤의 2005.01.27 1602
1270 공지 3월7일 조준희 2004.03.07 1554
1269 공지 3천배...원성스님 윤석련 2003.06.25 3135
1268 공지 4.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정청미 2005.09.24 1499
1267 공지 40대, 초조함을 버리고 전력투구하라(060204) 최병관 2006.02.05 2144
1266 공지 40대에 다시 쓰는 내 인생 이력서 6 현영석 2002.10.21 7263
1265 공지 4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060430) 최병관 2006.04.30 2889
1264 경영경제 4개의 통장 file 최윤배 2009.10.11 3439
1263 공지 5. 미운오리새끼의 출근 -매트 노가드 지음 정청미 2005.10.03 1514
1262 공지 500년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손기원 2003.06.25 2071
1261 인문사회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1 조태윤 2009.11.16 3139
1260 공지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송근호 2004.03.05 1570
1259 공지 5차원 독서법과 학문의 5단계를 읽고 26th file 송근호 2005.05.18 1781
1258 공지 6. 내 마음 그리스도의 집 -로버트 멍어 정청미 2005.10.03 2004
1257 공지 6가지 인간형 박동신 2004.10.23 16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