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는 언제부터인지 과거의 일어난 사건을 오늘을 사는 현재의  시각으로  보는것에 익숙해져있다.

   고구려가 나당 연합군에 패하지 않았다면 , 신라가 아닌 고구려가 통일을 이루었다면 작금의 중국이

저지르고 있는 동북공정은 달라졌을텐데, 고려군과 몽골군 연합으로 이루어진 일본 정벌군이 일본을 쓸어버

렸다면 , 일본에게 주권을 빼았기지 않았더라면, 정조대왕이 단 20년이라도 더 살아주었더라면,..... 등등 

그리고 지금은 이럴진데 , 그때는 왜 그러했는지 알수가 없거나 아쉬움이 100배 이고 안타까움이 더 할때

 '만약 '이라는  가정법을 쓸때 강하게 나타난다.



      사건이 일어난 당시의 사람들과 사회보다는 현 시점에서 그들을 보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중점을 둔다. 이제는 상식이 되어버린  ' 역사는 반복된다' 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역사

  조명은 다른 시각에서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우리가 조명을 위한 조명을 하다보면 그들이 살았던 

  진정한  모습을 오해내지는 왜곡하는 우를 범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것이 지금의 시각으로 보는 역사가

  아닌  역사가 이루어지는 그 현장에서 직접 사건을 볼 수있는 안목을 키워야하는 이유이다.


   책의 어느 부분보다 나를 사로 잡았던 서문을 좀 길긴 하지만  이곳에 그대로 옮긴다.




 


          "한때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던 적이 있다. 여인네를 연상시킨다는 곡선부터
  
미묘한 녹색, 독특한 그릇 모양에 이끌려 박물관에 들르면 청자가 있는 곳을 먼저 찾곤 했다.
  
그런데 그런 청자에 대한 생각이 크게 바뀌게 되었다. 신안 앞바다에서 건져 올린 중국의 
  
청자를 보는 순간, 우리의 청자와 너무도 다른 색깔과 세련된 기형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때부터 두 청자를 비교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우선 색깔의 차이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
   까? 
중국의 청자 중에는 정말 비가 온 후에 맑게 갠 하늘 같은 푸른색을 띠고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고려의 청자는 녹색에 가까운 것이 많고 하늘색에 가까운 것은 색이 맑지 않다.


      중국의 청자는 놀라울 정도로 그릇의 두께가 얇다. 고려의 청자는 두껍고 묵직하게 보인다.
 
중국의 청자든 고려의 청자든 그것들이 만들어진 당시에는 골동품이 아니라 상품이었다.
  상품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중국 청자의 가치가 더 높다. 기형이 정형화되어 있어서 대량 생산이
  가능했을 것이고, 색이 고와서 고객의 눈길을 끌기도 했을 것이다. 



   거기에 비하면 ,
고려의 청자는 중국의 청자 수입을 막기 위해서 이른바 ' 수입대체상품' 으로
  고려가  자체
  개발에 착수한 것이다. 그러나 중국 청자처럼 만들 수는 없었다.  당연히 중국은
  도자기를 
전 세계 시장에 수출하였고, 고려 청자는 그렇게 유통되지 못했다.


 


      그런 시대로부터 1000년 가까이 지난 지금은 어떨까?  골동품이 된 청자의 경우는 희소성이
  
가장 중요하다.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면 희귀한 것일수록 가격이 비싸다. 중국의 도자
  기는 대량 생산되어 전 세계에 팔려 나갔기 때문에 세계 어는 박물관에 가든 쉽게
볼 수 있다. 
  신안 해저에서만 1만 2000점의 중국 도자기가 인양되었다. 그와 달리 
고려의 청자는 대체로
  고려 국내에서만 유통되었기 때문에 중국의 도자기에 비하면 그 수가
적을 수밖에 없다.  따라
  서 골동품으로서는 고려의 청자가 월등히 유리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1000년 전에 고려의 청자가 중국의 청자보다 가치가 높았던 것은 아니다.
  
그건 우리들이 살고 있는 시대의 생각을 과거로 끌고 간 것일 뿐이다.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생각을 과거로 그대로 이끌고 가는 것이야말로 역사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을 방해한다."



 


    -    고대 왕국의 풍경, 그리고 새로운 시선, 이근우/ 인물과 사상사, 2006


   
  • ?
    이후형 2010.12.19 09:50
    제대로된 판단을 할수 있도록해주는 글이다. 감사합니다. 우주마음에 감사합니다.
  • ?
    이정희 2010.12.19 09:50
    이성적이고 합리적 사고가 사건을 좋은 방향으로 가는 건 아니지요
    사건마다의 배경 보이지 않는 것들 그래서 그런 조건들이 얼마나 많은지 영향력은..
    첫 마디에 만약이라..
    사건이 바뀔까 유리한 시각으로..

    언젠가 영화가 떠오른다 제목은 기억에 없고
    어떤 남자가 고속화 도로에서 지방도로 인것 같아 사고가 났다 아주 작은 사고가
    그런데 그영화는 시간을 돌릴 수 있는 영화였다....
    계속 계속 시간을 돌려 잘 해보려 했고 잘 했지만
    또 다른 복병에 의해 대형사고로... 그렇게..더 큰 사고로
    오늘의 잣대로 과거를 잴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자연과학 305회차 후기 : 이명현의 별 헤는 밤 - 이명현 박사 file 신보람 2015.04.19 1058
1275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file 신보람 2015.05.04 1287
1274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김병용 2015.05.06 980
1273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홍덕화 2015.05.03 1094
1272 공지 31. 뇌(하) - 베르나르 베르베르 정청미 2007.01.08 1767
1271 공지 3년후 당신의 미래 고윤의 2005.01.27 1602
1270 공지 3월7일 조준희 2004.03.07 1554
1269 공지 3천배...원성스님 윤석련 2003.06.25 3135
1268 공지 4.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정청미 2005.09.24 1499
1267 공지 40대, 초조함을 버리고 전력투구하라(060204) 최병관 2006.02.05 2144
1266 공지 40대에 다시 쓰는 내 인생 이력서 6 현영석 2002.10.21 7263
1265 공지 4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060430) 최병관 2006.04.30 2889
1264 경영경제 4개의 통장 file 최윤배 2009.10.11 3439
1263 공지 5. 미운오리새끼의 출근 -매트 노가드 지음 정청미 2005.10.03 1514
1262 공지 500년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손기원 2003.06.25 2071
1261 인문사회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1 조태윤 2009.11.16 3139
1260 공지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송근호 2004.03.05 1570
1259 공지 5차원 독서법과 학문의 5단계를 읽고 26th file 송근호 2005.05.18 1781
1258 공지 6. 내 마음 그리스도의 집 -로버트 멍어 정청미 2005.10.03 2004
1257 공지 6가지 인간형 박동신 2004.10.23 16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