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11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것은 일정한 형식 없이 느낀 점을 마구 쓴 것이다. 
 신체의 변형과 연장의 지각으로부터 시작하는 스피노자의 공리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자기 몸과 몸이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모든 감각에 우선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현재를 사는 인간 모두에게 결여되지 않은 보편적인 능력이라는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게 되었다. 

 언어의 한계에 있어서 '느낌'이란 말이 세분화되지 않아 몸과 그 변형과 그것을 반영하는 신경과 그 전달과정과 뇌의 호르몬, 전기 자극, 뉴런 활성화, 뇌 세포의 활성화와 그것들로부터 비롯되는 뇌에서의 기억의 저장과 옛 기억과의 합성, 변형과정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느낌'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느낌이 차지하는 단계가 어디인지 명확하지 않게 되었다. 
 통증은 느낌일까. 신체의 자극 없이도 느낄 수 없을까. 단지 기억만으로도 느낄 수 있는 사람들, 심지어 볼 수 도, 들을 수도 있는 사람들... 그들은 미친것이 아니다. 

 뇌는 사람마다 다르다. 뇌는 우리 신체의 모든 감각기관을 동원해서 실제 세계를 반영하여 머리속에 다른 세계를 만들어낸다. 이로써 세계는 사람 수 만큼 많아진다. 

 언어의 한계가 세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처럼, 신체 감각기관의 한계가 세계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신체의 감각기관과 뇌의 처리기관은 세상의 모든 것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다. 그것은 진화의 과정을 거치는 생물체에게 사치이고 비효율적이다. 그런것에 에너지를 투자하는 생물체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인간의 입장에서 조화란 허울좋은 자기 합리화이다. 인간에게 밟혀 소리없이 죽어 없어지는 개미들처럼 인간도 그렇게 밟혀 죽는것을 두고 마땅히 조화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인간에게 부조화가 무엇인지는 훨씬 더 명확하다. 돈과 자원때문에 무기를 사용하여 다른 인간을 죽이면서도 그것은 정의와 세계 평화를 위한 것이라고 떠드는 것이 부조화다. 

 인간의 뇌에 있어서 조화란 자기 보존을 위한 자기 합리화다. 뇌는 자기 보존을 위하여 세계를 서슴없이 왜곡하여 반영하거나 반영한 정보를 왜곡한다. 이 과정은 인식되는 차원의 것이 아니다. 

 새로이 입력되는 자극이 없다면 뇌가 만든 세계에서는 환상과 실재를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어쩌면 신체를 한계상황까지 몰아가는 구도자들이 환상을 보는 이유도 이런 데에 있을 것이다.
  • ?
    연탄이정원 2010.03.22 02:26
    오늘 배달되어 올 책입니다. 두근 두근^^
  • ?
    강문식 2010.03.22 02:26
    라마찬드란 TED 강의: 문명을 형성해 온 뉴런들

    http://www.ted.com/talks/lang/kor/vs_ramachandran_the_neurons_that_shaped_civilization.html
  • ?
    서지미 2010.03.22 02:26
    강문식선생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미러뉴런>을 이렇게 설명듣게 되는군요.
  • ?
    신동찬 2010.03.22 02:26
    ^^ 미러뉴런 강의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6 공지 '초파리의 기억'을 읽고 2 엄준호 2007.06.18 3525
1375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5 엄준호 2007.05.14 3516
1374 공지 스티븐 제이 굴드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2 이정원 2007.09.17 3513
1373 공지 최고경영자 예수 - Laurie Beth Jones 1 강신철 2003.06.09 3507
1372 공지 시간의 놀라운 발견, 슈테판 클라인 지음, 웅진지식하우스,2007 10 장현도 2008.04.28 3497
1371 공지 [42] 제레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3 이동훤 2008.04.19 3496
1370 미러링 피플 (mirroring people) 소개와 번역자에 대한 고마운 인사 8 김갑중 2009.09.17 3490
1369 공지 자기암시(에밀쿠에) 채나연 2008.11.17 3480
1368 공지 '앎의 나무'를 읽고 5 엄준호 2007.06.07 3480
1367 공지 이보디보 2 강민석 2008.02.13 3471
1366 공지 무한한 힘 나는 성공한다(1990) 1 권윤구 2003.05.29 3464
1365 공지 생명, 40억년의 비밀 - 리처드 포티 5 양경화 2007.05.12 3460
1364 공지 <구들장의 독서일기1>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4 류우정 2008.05.09 3458
1363 공지 뇌,생각의 출현과 나 5 이윤정 2008.12.12 3449
1362 경영경제 4개의 통장 file 최윤배 2009.10.11 3439
1361 공지 부자가 되는 뇌의 비밀 -유상우- (21세기북스) 3 이재우 2007.10.08 3411
1360 공지 이기적 유전자 1 강민석 2008.02.13 3409
1359 공지 뇌의 마음 -월터 프리먼- 1 이재우 2008.09.01 3405
1358 공지 울 오빠가 참 안쓰러울때 임수빈 2003.06.25 3398
1357 공지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224) -사이토 다카시(황혜숙)- (루비박스) 5 이재우 2007.05.10 33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