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112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것은 일정한 형식 없이 느낀 점을 마구 쓴 것이다. 
 신체의 변형과 연장의 지각으로부터 시작하는 스피노자의 공리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자기 몸과 몸이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모든 감각에 우선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현재를 사는 인간 모두에게 결여되지 않은 보편적인 능력이라는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게 되었다. 

 언어의 한계에 있어서 '느낌'이란 말이 세분화되지 않아 몸과 그 변형과 그것을 반영하는 신경과 그 전달과정과 뇌의 호르몬, 전기 자극, 뉴런 활성화, 뇌 세포의 활성화와 그것들로부터 비롯되는 뇌에서의 기억의 저장과 옛 기억과의 합성, 변형과정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느낌'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느낌이 차지하는 단계가 어디인지 명확하지 않게 되었다. 
 통증은 느낌일까. 신체의 자극 없이도 느낄 수 없을까. 단지 기억만으로도 느낄 수 있는 사람들, 심지어 볼 수 도, 들을 수도 있는 사람들... 그들은 미친것이 아니다. 

 뇌는 사람마다 다르다. 뇌는 우리 신체의 모든 감각기관을 동원해서 실제 세계를 반영하여 머리속에 다른 세계를 만들어낸다. 이로써 세계는 사람 수 만큼 많아진다. 

 언어의 한계가 세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처럼, 신체 감각기관의 한계가 세계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신체의 감각기관과 뇌의 처리기관은 세상의 모든 것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다. 그것은 진화의 과정을 거치는 생물체에게 사치이고 비효율적이다. 그런것에 에너지를 투자하는 생물체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인간의 입장에서 조화란 허울좋은 자기 합리화이다. 인간에게 밟혀 소리없이 죽어 없어지는 개미들처럼 인간도 그렇게 밟혀 죽는것을 두고 마땅히 조화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인간에게 부조화가 무엇인지는 훨씬 더 명확하다. 돈과 자원때문에 무기를 사용하여 다른 인간을 죽이면서도 그것은 정의와 세계 평화를 위한 것이라고 떠드는 것이 부조화다. 

 인간의 뇌에 있어서 조화란 자기 보존을 위한 자기 합리화다. 뇌는 자기 보존을 위하여 세계를 서슴없이 왜곡하여 반영하거나 반영한 정보를 왜곡한다. 이 과정은 인식되는 차원의 것이 아니다. 

 새로이 입력되는 자극이 없다면 뇌가 만든 세계에서는 환상과 실재를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어쩌면 신체를 한계상황까지 몰아가는 구도자들이 환상을 보는 이유도 이런 데에 있을 것이다.
  • ?
    연탄이정원 2010.03.22 02:26
    오늘 배달되어 올 책입니다. 두근 두근^^
  • ?
    강문식 2010.03.22 02:26
    라마찬드란 TED 강의: 문명을 형성해 온 뉴런들

    http://www.ted.com/talks/lang/kor/vs_ramachandran_the_neurons_that_shaped_civilization.html
  • ?
    서지미 2010.03.22 02:26
    강문식선생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미러뉴런>을 이렇게 설명듣게 되는군요.
  • ?
    신동찬 2010.03.22 02:26
    ^^ 미러뉴런 강의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공지 표해록 - 최부 저, 김찬순 역 2 양경화 2008.01.03 2658
95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 / 가스가 마사히토/살림출 2 최유미 2012.01.09 2827
94 공지 풀리지 않은 세계의 불가사의 신원식 2005.04.11 1684
93 공지 풀하우스 1 임성빈 2005.10.27 2229
92 경영경제 풍요한 사회_존 갤브레이스 carrara 2015.12.22 1926
91 공지 프랑스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의 감동 file 김세영 2006.02.05 2228
90 공지 프랭클린 자서전 정청미 2004.07.24 1406
89 경영경제 프로페셔널의 조건 -피터 드러커- 2 이재우 2009.07.01 3074
88 공지 프리젠테이션 오!프리젠테이션[한정신지음/감영사]-요약- 1 박영준 2003.08.22 1988
87 공지 프린키피아의 천재 강신철 2005.01.31 1817
86 공지 플라이, 대디, 플라이(060509) 최병관 2006.05.08 7642
85 플라톤의 네 대화편을 읽고 임민수 2014.04.25 2306
84 공지 플루토스의 선물 file 정희정 2007.02.09 1948
83 공지 피라니아 이야기 file 정희정 2006.10.05 1759
82 공지 피천득 시인의 시집을 읽고 (47th) 1 송근호 2007.06.26 3024
81 공지 피터 드러커 마지막 통찰-2008-05 조동환 2008.01.31 2714
80 공지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 / 류시화 (★★★★) file 송윤종 2003.11.19 1803
79 공지 하늘에서 온 편지 최문정 2003.06.25 2280
78 공지 하루의 허무함~ 박상돈 2003.06.25 2288
77 공지 하워즈 휴즈의 제국을 제국.. 28# 송근호 2005.05.20 18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