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112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것은 일정한 형식 없이 느낀 점을 마구 쓴 것이다. 
 신체의 변형과 연장의 지각으로부터 시작하는 스피노자의 공리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자기 몸과 몸이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모든 감각에 우선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현재를 사는 인간 모두에게 결여되지 않은 보편적인 능력이라는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게 되었다. 

 언어의 한계에 있어서 '느낌'이란 말이 세분화되지 않아 몸과 그 변형과 그것을 반영하는 신경과 그 전달과정과 뇌의 호르몬, 전기 자극, 뉴런 활성화, 뇌 세포의 활성화와 그것들로부터 비롯되는 뇌에서의 기억의 저장과 옛 기억과의 합성, 변형과정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느낌'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느낌이 차지하는 단계가 어디인지 명확하지 않게 되었다. 
 통증은 느낌일까. 신체의 자극 없이도 느낄 수 없을까. 단지 기억만으로도 느낄 수 있는 사람들, 심지어 볼 수 도, 들을 수도 있는 사람들... 그들은 미친것이 아니다. 

 뇌는 사람마다 다르다. 뇌는 우리 신체의 모든 감각기관을 동원해서 실제 세계를 반영하여 머리속에 다른 세계를 만들어낸다. 이로써 세계는 사람 수 만큼 많아진다. 

 언어의 한계가 세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처럼, 신체 감각기관의 한계가 세계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신체의 감각기관과 뇌의 처리기관은 세상의 모든 것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다. 그것은 진화의 과정을 거치는 생물체에게 사치이고 비효율적이다. 그런것에 에너지를 투자하는 생물체는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인간의 입장에서 조화란 허울좋은 자기 합리화이다. 인간에게 밟혀 소리없이 죽어 없어지는 개미들처럼 인간도 그렇게 밟혀 죽는것을 두고 마땅히 조화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인간에게 부조화가 무엇인지는 훨씬 더 명확하다. 돈과 자원때문에 무기를 사용하여 다른 인간을 죽이면서도 그것은 정의와 세계 평화를 위한 것이라고 떠드는 것이 부조화다. 

 인간의 뇌에 있어서 조화란 자기 보존을 위한 자기 합리화다. 뇌는 자기 보존을 위하여 세계를 서슴없이 왜곡하여 반영하거나 반영한 정보를 왜곡한다. 이 과정은 인식되는 차원의 것이 아니다. 

 새로이 입력되는 자극이 없다면 뇌가 만든 세계에서는 환상과 실재를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어쩌면 신체를 한계상황까지 몰아가는 구도자들이 환상을 보는 이유도 이런 데에 있을 것이다.
  • ?
    연탄이정원 2010.03.22 02:26
    오늘 배달되어 올 책입니다. 두근 두근^^
  • ?
    강문식 2010.03.22 02:26
    라마찬드란 TED 강의: 문명을 형성해 온 뉴런들

    http://www.ted.com/talks/lang/kor/vs_ramachandran_the_neurons_that_shaped_civilization.html
  • ?
    서지미 2010.03.22 02:26
    강문식선생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미러뉴런>을 이렇게 설명듣게 되는군요.
  • ?
    신동찬 2010.03.22 02:26
    ^^ 미러뉴런 강의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공지 블루오션전략35th (Blue ocean strategy) file 송근호 2005.08.30 3287
95 공지 이기적 유전자 - 밈에 대한 짧은 생각 신동찬 2009.02.28 3298
94 공지 수난이대 2 박종두 2003.09.20 3305
93 공지 [44] 피에르 레비, '지식의 나무' 1 이동훤 2008.12.23 3306
92 공지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정훈 2003.06.25 3311
91 공지 눈오는 날 본 책 고재명 2003.06.25 3312
90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역 3 최유미 2010.12.12 3325
89 공지 마르코폴로의 동방견문록 - 김호동 역주 1 양경화 2007.08.24 3330
88 공지 집으로 가는 길 - 이스마엘 베아 2 양경화 2007.12.05 3335
87 공지 '믿음의 엔진'을 읽고 임성혁 2008.11.19 3345
86 공지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 이유미 4 양경화 2007.05.20 3352
85 자연과학 콘서트를 제목에 활용한 책들 정만서 2011.07.04 3352
84 공지 인디언 이야기.............. 3 송윤호 2002.10.18 3361
83 공지 도덕의 기원에 관한 생물학적 고찰 5 엄준호 2006.12.17 3370
82 공지 '지구의 삶과 죽음', '공생자 행성', '기후의 반란' 1 고원용 2008.12.06 3389
81 공지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224) -사이토 다카시(황혜숙)- (루비박스) 5 이재우 2007.05.10 3392
80 공지 바이오테크 시대 강신철 2003.06.25 3397
79 공지 울 오빠가 참 안쓰러울때 임수빈 2003.06.25 3401
78 공지 뇌의 마음 -월터 프리먼- 1 이재우 2008.09.01 3406
77 공지 이기적 유전자 1 강민석 2008.02.13 34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