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10.03.06 22:18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조회 수 28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옛 지층과 거기에 파묻힌 화석 탐사에 노고를 아끼지 않는데다가 알아듣기 쉽고 유려한 글을 쓸 줄 아는 고생물학자에게 찬사를 보낸다. 생명의 역사를 다루는 그의 능력은 감탄을 자아내고 생명의 계통이나 지구환경변화에 대하여는 의견이 분분한 여러 가설들을 편협되지 않게 설명해주는데서 감명받는다. 

 사실 이 글을 남기는 것은 책을 읽은 후 하나의 느낌을 적어두고 싶어서이다.  이런 느낌은 개인적이고  편협하기까지 해서 책의 저자와 대조된다. 
 생물은 어떻게 생겨났든, 그것은 생존과 번식을 한다. 
 생존과 번식은 환경과 그 변화에 적합할 때만 이루어진다.
 생물 각각의 기관들과 부속물- 껍데기, 눈, 코, 턱, 이빨, 가시, 소화기관 등-은 그것들이 생겨날 당시와 그 이후의 환경에서 효용이 있으면(그것을 가진 생물의 생존율을 높여주면) 진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퇴화한다. 
 뇌는 각각의 기관들을 (일종의)통합하는 기능을 한다. 뇌 또한 환경 안에서 개체의 생존과 번식에 효용이 있으므로 진화되었다.
 결국 뇌의 생물학적 기본 기능은 각 기관의 통합에 있고 그런 통합은 거의 자율적으로(인식이나 생각없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인간에게 뇌가 있기만 하면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생존과 번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이란 뇌 기능의 과잉에서 생기는 잉여생산물인가.
 휴머니즘이란 감정의 과잉에서 오는 잉여생산물의 다른 이름인가.

 인간에게 사회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어쩌면 생각따윈 필요없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사회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인간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인간 사회가 타 종과의 생존투쟁에서 그럭저럭 이겨나가기 시작하면서, 또는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인간의 뇌는 종 내의 번식투쟁(성 선택)에서 승리할 이점을 찾는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이다.

 최초의 인식이란 자기인식일 것이다. 그리고 타인에게 보여지는 나를 생각하고 타인과 나를 비교해서 성 선택의 유리한 유전 요소들이 번성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공지 도덕교육의 파시즘 1 윤성중 2007.10.11 2828
215 공지 색채 심리 1 이혜영 2003.07.15 2833
214 기타 '내 짝꿍 최영대'를 읽고 조예진 2010.03.07 2839
213 공지 On the Road - 박준 2 양경화 2007.06.06 2846
212 젊은 혁명가의 초상/ 최태환.박혜강 지음/ 공동체 2 최유미 2011.04.05 2855
»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신동찬 2010.03.06 2858
210 공지 고독한 한국인 김미순 2008.01.20 2861
209 공지 [34] 마키아벨리, '군주론' 1 이동훤 2008.02.11 2862
208 공지 생각의 벽 -요로 다케시(김순호)- (고려문화사) 2 이재우 2007.07.31 2868
207 공지 천개의 공감 1 김미순 2007.12.18 2871
206 공지 "뇌가 나의 마음을 만든다"를 읽고 4 엄준호 2007.01.22 2875
205 공지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2 양경화 2007.10.20 2877
204 공지 생명, 최초의 30억년 - 앤드류 H.놀 2 양경화 2007.06.20 2879
203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 템플 그랜딘 3 손진경 2009.07.09 2883
202 공지 '도시 풍수'를 읽고 2 강민균 2007.04.14 2884
201 공지 4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060430) 최병관 2006.04.30 2889
200 공지 이유 있는 아름다움 - 지상현 1 양경화 2007.07.06 2894
199 공지 위선과 착각 윤성중 2007.09.14 2895
198 공지 악역을 맡은자의 슬픔.. 오주학 2003.06.25 2900
197 공지 [37]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2 이동훤 2008.03.13 29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