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10.03.06 22:18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조회 수 28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옛 지층과 거기에 파묻힌 화석 탐사에 노고를 아끼지 않는데다가 알아듣기 쉽고 유려한 글을 쓸 줄 아는 고생물학자에게 찬사를 보낸다. 생명의 역사를 다루는 그의 능력은 감탄을 자아내고 생명의 계통이나 지구환경변화에 대하여는 의견이 분분한 여러 가설들을 편협되지 않게 설명해주는데서 감명받는다. 

 사실 이 글을 남기는 것은 책을 읽은 후 하나의 느낌을 적어두고 싶어서이다.  이런 느낌은 개인적이고  편협하기까지 해서 책의 저자와 대조된다. 
 생물은 어떻게 생겨났든, 그것은 생존과 번식을 한다. 
 생존과 번식은 환경과 그 변화에 적합할 때만 이루어진다.
 생물 각각의 기관들과 부속물- 껍데기, 눈, 코, 턱, 이빨, 가시, 소화기관 등-은 그것들이 생겨날 당시와 그 이후의 환경에서 효용이 있으면(그것을 가진 생물의 생존율을 높여주면) 진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퇴화한다. 
 뇌는 각각의 기관들을 (일종의)통합하는 기능을 한다. 뇌 또한 환경 안에서 개체의 생존과 번식에 효용이 있으므로 진화되었다.
 결국 뇌의 생물학적 기본 기능은 각 기관의 통합에 있고 그런 통합은 거의 자율적으로(인식이나 생각없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인간에게 뇌가 있기만 하면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생존과 번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이란 뇌 기능의 과잉에서 생기는 잉여생산물인가.
 휴머니즘이란 감정의 과잉에서 오는 잉여생산물의 다른 이름인가.

 인간에게 사회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어쩌면 생각따윈 필요없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사회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인간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인간 사회가 타 종과의 생존투쟁에서 그럭저럭 이겨나가기 시작하면서, 또는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인간의 뇌는 종 내의 번식투쟁(성 선택)에서 승리할 이점을 찾는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이다.

 최초의 인식이란 자기인식일 것이다. 그리고 타인에게 보여지는 나를 생각하고 타인과 나를 비교해서 성 선택의 유리한 유전 요소들이 번성할 것이다.


  1. [문학일기 1] 칠레의 밤 / 로베르토 볼라뇨/ 열린책들

  2. No Image 31Aug
    by 류지은
    2010/08/31 by 류지은
    Views 1945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 독서감상문 대회가 열립니다.

  3. 데이비드 케이 존스턴저 "프리런치"

  4. 산소같은 여자라구? 그럼, 전자를 조심하라구!

  5.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6. 책 가지뻗기 -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살아있는 글쓰기

  7.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8. '내 짝꿍 최영대'를 읽고

  9.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10. 엄마를 부탁해

  11. [더글러스 애덤스] '영혼의 길고 암울한 티타임'

  12. '정 성'

  13. [보살핌], 2008, 사이언스 북스

  14.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들]을 읽고

  15. No Image 16Dec
    by 최유현
    2009/12/16 by 최유현
    Views 2297 

    누리야 누리야를 읽고...

  16. 우동 한 그릇을 읽고....

  17.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있다>를 읽어가면서

  18. 기억을 찾아서

  19.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20. No Image 16Nov
    by 이중훈
    2009/11/16 by 이중훈
    Views 2240 

    <북배틀>, 김명철 지음, 왓북, 2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