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2010.02.03 03:07

'정 성'

조회 수 2234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본이 무너졌다.' '기본도 안 되어 있다.' 이런 말들이 난무하는 세상이다.
결과만을 중시하는 요즘의 시대에선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요즘같이 이렇게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에 '기본을 충실하게 지키며 살아가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아마도 극 소수에 불과할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다르다.
책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주고 싶었던 '기본의 충실'.
저자는 이런 말을 던졌다.
"돌아가는 듯해도 기본, 그것 하나 지켜내는 것으로 인생은 성공이다"라고.
요즘처럼 자기 이익만 챙기기 급급한 세상에, 저자는 왜 이런말을 했을까?
그것은 기본에 숱한 실패를 통해 깨달은 성공 키워드이자 어떠한 유혹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지켜낸 삶의 원칙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여러번 실패를 거듭하고도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연구하여, 지금은 죽 하나로
1200개 지점을 가진 CEO가 되었다. 그의 노력을 한 번에 다 알 순 없었지만, 책을 통해 그가
얼마나 기본에 충실하고 꾸준하게 노력했는지 엿볼 수 있었다.


여유라고든 눈꼽 많큼 없는 요즘 같은 이때,
이 책을 통해 잠시 멈춰서서 바쁘게 달려온 내 인생을 한 번쯤 뒤돌아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된 것 같다.

  • ?
    전광준 2010.02.03 03:07
    기본의 충실...이라는 말이 마음에 찔려옵니다. 보편적이고 이미 알고 있지만, 어느새 잊고 현실에 적당히 묻어 사는 제 모습을 돌아봅니다.
  • ?
    송은경 2010.02.03 03:07
    돌아가는 듯 하는 그 순간을 참아내지 못하고, 자연히 편안한 길을 찾았던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드네요.
    기본을 지키는 것, 참 당연한 말 같지만 실천하기는 힘든 말인것 같습니다...
  • ?
    정보라 2010.02.03 03:07
    기본의충실 하는 행위는 대한민국에서는 제일 힘든 행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 이브 파칼레 지음 3 최유미 2012.08.23 2111
95 죽음과 섹스 3 신동찬 2012.09.20 1987
94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전세계가 주목한 코넬대학교의 인류 유산 프로젝트) 2 신동찬 2012.09.21 1817
93 Gazzaniga 교수의 책, [뇌로부터의 자유] 관련 이정모의 생각 2 이정모 2012.09.22 2448
92 [세포의 반란] / 로버트 와인버그 2 이낙원 2012.10.13 2746
91 "당신과 지구와 우주"(크리스토퍼 포터;전대호;까치 2010) 1 고원용 2012.10.28 2676
90 "원자와 우주 사이"(마크 호 2007;고문주;북스힐 2011) 고원용 2012.11.12 2053
89 인생, 리스본행 야간열차,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1 신동찬 2012.11.27 1977
88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 김동일 2012.12.02 1977
87 논어 – 부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 2 김동일 2012.12.10 1910
86 방콕 여행자, [여행하는 인문학자]를 만나다! 4 김령은 2013.01.02 1625
85 휴식 2 김령은 2013.01.03 1815
84 [기독교의 심장]/마커스보그 1 이낙원 2013.01.12 2144
83 <니체 극장 >을 읽고 1 최유미 2013.01.19 1996
82 주식회사 이데올로기 4 김동일 2013.03.23 1991
81 나는 죽을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1 최윤배 2013.05.20 1847
80 오래된 미래, 잡식동물의 딜레마 2 신동찬 2013.06.28 1705
79 디퍼런트 (문영미 지음, 박세연 옮김) 김동일 2013.07.10 1459
78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이소연 2013.07.12 1767
77 엄마, 일단 가고 봅시다. 김세영 2013.09.23 14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