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6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피터 조셉의 시대정신의 내용을 바탕으로 함.


옛 사람들은 태양을 숭배했다. 태양이 생명을 창조하는 원천임을 알았기 때문이다.


태양은 1년 주기로 12개의 주요 별자리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그 12개의 별자리를 황도 십이궁이라 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춘분의 일출이 대략 2,150년을 주기로 천궁도 상의 일어나는 위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았는데, 이것은 세차운동 때문이다. 고대인들은 세차가 천궁도의 12별자리를 모두


통과하기까지는 25,765년(2,150*12)이 걸린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주기를 플라톤년(Great Year)


이라하고 하나의 별자리를 통과하는 2,150년을 시대(Age, Aeon)라고 한다.


별자리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한다.


처녀자리(Virgo)는 '밀짚을 잡고 있는 처녀'를 나타낸다. 빵집과 밀의 상징은 추수의 계절인 8월과


9월, 베들레헴(히브리어로 빵집, 아랍어로 푸줏간)은 태양의 고향이다.


북반부에서 보면 동지로 갈수록 태양은 작아지고 빛은 약해진다. 태양은 6개월 동안


계속 낮아지다가 12월 22일이 되면 가장 낮은 지점에 이르고 3일(22~24일) 동안 태양은 남쪽으로의


이동을 멈춘 것처럼 보인다. 정지된 3일 동안 태양은 남쪽 십자 별자리(남십자성)에 머문다.


12월 24일 동쪽의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는 오늘날 '3명의 왕'이라 불리는 오리온 자리의 3개의 별과


일직선을 이룬다. 12월 25일이 되면 3명의 왕과 가장 밝은 시리우스는 모두 태양이 뜨는 자리로


이동하고 태양은 북쪽으로 1도쯤 이동함으로써 다시 이동을 시작한다.


태양은 12별자리와 함께 움직이며 만물을 소생시키는 기적을 행한다.


플라톤년으로 BC 4,300년 ~ BC 2,150년은 토러스 시대(황소 시대),


BC 2,150년 ~ AD 1년은 에리스 시대( 양 시대), AD 1년 ~ AD2,150년은 파이시스 시대(물고기 시대),


AD 2,150년 부터는 아쿠아리스 시대다.


황금 송아지(황소)를 숭배하던 시대가 끝날 때 새로운 시대(양 시대) 사람들은 구시대의 숭배 대상을


버려야만 했다. 양 시대가 지나면 물고기 시대로 넘어가게 된다.


물고기(또는 두마리 물고기)는 현 시대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물병을 든 한 남자를 만나게 될 것이니, 그를 따라 그가 들어가는 집으로 들어가라'는 


지시 같은 것이 없더라도 물병자리의 시대에 들어갈 것이다.


시대(Age)의 끝은 '종말'이 아니라 이처럼 다음 시대로 넘어가는 것이다.


하지만 전 시대의 '이야기'들은 모두 버려지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시대에 전해지기도 한다.


이야기들은 내게 너무나 흥미롭다. 어떤 이야기를 듣거나 읽는 일은 너무나 주관적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개인이 무엇인가를 믿고 안 믿고 또한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다. 피터 조셉의 이 책은 사람들이 보는 방식과는 색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관찰한 결과물이다.

사람들 사이의 문제는 너무나 복잡하다. 여러 사람들의 판단이 다르다면 현재의 제도로서 조정해야 하는데 이 조정의 결과는 나의 판단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TV같은 매체를 통해서 선전하는 어떤 소수 이익집단이 의도하는 대로 사람들이 생각하기 쉽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사람들 모두 다 분별력 있게 판단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씌여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포리스 카터

    Date2003.06.25 Category공지 By윤석련 Views3798
    Read More
  2. "아윈슈타인이 직접 쓴 물리이야기"를 읽고

    Date2009.07.01 Category자연과학 By표태수 Views3797
    Read More
  3. '스피노자의 뇌'를 읽고

    Date2007.07.24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3797
    Read More
  4. 제인 구달의 <희망의 밥상>을 읽고

    Date2007.02.13 Category공지 By김춘호 Views3741
    Read More
  5. '불편한 진실'을 읽고

    Date2007.08.05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3736
    Read More
  6. 탐독-이정우

    Date2008.05.21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734
    Read More
  7.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Date2008.05.02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710
    Read More
  8.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Date2005.10.27 Category공지 By임성빈 Views3708
    Read More
  9. 괴짜 경제학

    Date2008.01.11 Category공지 By김미순 Views3690
    Read More
  10. [59] 자오선 여행 (쳇 레이모)

    Date2008.12.21 Category공지 By서윤경 Views3676
    Read More
  11. 개밥바라기 별

    Date2008.11.13 Category공지 By박경희 Views3648
    Read More
  12. 부여족의 이동과 기원 고깔모자를 쓴 단군

    Date2007.01.01 Category공지 By이병록 Views3617
    Read More
  13. 호텔왕 힐튼 자서전을 읽고.. (45th)

    Date2007.06.25 Category공지 By송근호 Views3607
    Read More
  14. 태양과 별자리 이야기 - 시대정신을 읽고

    Date2009.09.26 Category기타 By신동찬 Views3606
    Read More
  15. 박완서 산문집 [두부] 소개 : 한겨거레신문 전재

    Date2002.12.15 Category공지 By현영석 Views3580
    Read More
  16. 최초의 3분

    Date2009.02.13 Category자연과학 By조태윤 Views3569
    Read More
  17. 뇌 생각의 출현 - 박문호

    Date2009.07.19 Category자연과학 By손진경 Views3568
    Read More
  18. 폼페이

    Date2009.02.03 Category문학예술 By조태윤 Views3533
    Read More
  19. 1월달의 나의 독서목록

    Date2003.06.25 Category공지 By안유선 Views3528
    Read More
  20. '초파리의 기억'을 읽고

    Date2007.06.18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352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