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93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진화와 관련된 생각을 하다보니, 리처드 도킨스도 생각나고 그러다가 박사님의 뇌 생각의 출현도 다시 읽어보고... 그러다 꿈꾸는 기계의 진화도 읽어보고, 오늘은 또 미토콘드리아도 건드려보고... ^^
이러다 보니 마이클 셔머의 책도 눈에 들어왔다.

진화론 대 창조론 !!

이제 결정해야 한다. 진화냐 창조냐?
자연과학에 대해서 공부를 한 사람은 조금은 회의가 올 것이다.
거기다 우주의 기원까지 생각이 닿아 있다면...

그런데 책 내용에 일반 미국인중에서 엄밀한 자연주의적 관점을 가진 사람이 4%에 불과하다는 1991년 여론조사가 나온다. 과연 우리나라는 어떨까라는 생각이 든다. ( 미국보다는 낫겠지? 우린 근본주의자가 더 적으니)
게다가 미국의 사립학교가 아닌 공립학교에까지 창조론을 가르치자고 덤벼든단다...
미국도 참 고민이 되는 상황이 확실하다.
어느 학교장은 빅뱅이 나오는 부분을 풀로 두페이지를 붙이는 만행도 저지르고...

여기서 반성이 될 만한 생각이 든다.
그럼 과연 나는 진화에 대해서 얼마나 많이 아는가?
창조론자들과 논쟁에서 어느 정도 내 생각대로 반박할 수 있을까?
그래서 나는 아직 부족하다... 더 공부해야된다.
그냥 녹음기마냥 틀어지는 테이프가 되진 말자~~
라고..

지금은 머릿속이 정리가 안되고 개념이 아직도 명확하지가 않고...
우주의 기원부터 생명, 그리고 진화의 산물인 뇌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되는
그날을 그려본다.
만세~~ 잘 될거야~


P.S 셔머는 '회의 skepticism'를 제시한다.
      어떤 주장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그리고 내가 이러저러하다고 무엇을 주장하기
      이전에, 그 주장에 대해 '의심'을 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의심을 품는다는 것은, 과연 그 주장이
      타당한지 살피는 것을 말한다. 곧 내 눈에 들보가 있지는 않은지, 상대 눈에 티가 있지는 않은지
      찾아내는 것이다. 그런 회의가 가능한 근거가 무엇일까? 바로 이성일 것이다.
      <중략>
       '회의'란 '이성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길을 모색하는 방법'이라고 말해도 될 것이다.

  • ?
    송은경 2009.08.03 05:39
    제목이 갖는 매력이 큰 책이네요 ^-^
    좋은책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1. 이어령 창조학교 [생각]

    Date2009.10.30 By김윤아 Views2478
    Read More
  2. 4개의 통장

    Date2009.10.11 Category경영경제 By최윤배 Views3439
    Read More
  3. 긍정이 걸작을 만든다.

    Date2009.10.11 Category경영경제 By최윤배 Views2993
    Read More
  4. '생명 40억년의 비밀'을 읽고

    Date2009.10.11 Category자연과학 By신동찬 Views2913
    Read More
  5. 태양과 별자리 이야기 - 시대정신을 읽고

    Date2009.09.26 Category기타 By신동찬 Views3606
    Read More
  6. 미러링 피플 (mirroring people) 소개와 번역자에 대한 고마운 인사

    Date2009.09.17 By김갑중 Views3490
    Read More
  7. 만들어진 신을 읽고( 마음의 기원, 에티카를 참고하여)

    Date2009.09.13 By신동찬 Views2547
    Read More
  8. 어둠의저편

    Date2009.09.10 Category기타 By강미희 Views3195
    Read More
  9. 흔들리는 나, 방황하는 나, 그 이유를 찾아 떠나다

    Date2009.09.08 By임석희 Views3099
    Read More
  10. 연을쫒는아이 (중3입니다)★

    Date2009.08.20 Category기타 By이소영 Views5130
    Read More
  11.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 노엄 촘스키 1999년

    Date2009.08.20 Category인문사회 By조태윤 Views3124
    Read More
  12. 면장선거 -오쿠다 히데오-

    Date2009.08.09 Category문학예술 By최윤배 Views3040
    Read More
  13. 개밥바라기별 (황석영)

    Date2009.08.09 Category문학예술 By최윤배 Views4477
    Read More
  14.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전 중3입니다!><)

    Date2009.08.06 Category문학예술 By조민정 Views2969
    Read More
  15.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 마이클 셔머

    Date2009.08.03 Category자연과학 By조태윤 Views2931
    Read More
  16. 신우제 독서록

    Date2009.08.02 By박서현 Views2245
    Read More
  17. 뇌 생각의 출현 - 박문호

    Date2009.07.19 Category자연과학 By손진경 Views3569
    Read More
  18.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나린 저

    Date2009.07.16 Category경영경제 By김영훈 Views2737
    Read More
  19.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 템플 그랜딘

    Date2009.07.09 By손진경 Views2880
    Read More
  20. 프로페셔널의 조건 -피터 드러커-

    Date2009.07.01 Category경영경제 By이재우 Views307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