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292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금요일이면 대전에서 서울로 향한다.
 137억년 우주 진화 강연을 듣기 위해서다.
 저녁 7시 반에 시작하는 강연을 들으러 가는 길에는 ktx를 이용한다. 빠르니까.


 


 4월의 어느 금요일.
 유독 날씨가 좋은 봄날이었다.
 이 날은 기차를 타기 싫었다. ktx는 빠르지만  풍경을 감상하기가  어렵다.
 버스를 타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버스에서 보는 봄 풍경... 이 날은 그런 여유를 느끼고 싶었다.



 오후 3시에 조퇴를 하고 고속버스터미널로 향했다. 



 결론은
 강연장에 늦게 도착했다.


 


 강연장으로 향하는 지하철 안에서 시계를 보며 얼마나 많이 후회했는지 모른다.



 "버스를 타는게 아니었어..."
 "택시아저씨가 길을 잘못가지 않았었다면... "
 "터미널에 조금만 일찍 도착했다면..."



멀미 날 정도로 넘실거리는 후회의 물결 속에서 한참을 울렁증 느끼다가
 


 "에잇. 내가 고민한다고 빨리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다음부터는 꼭 ktx를 타고 오자. " 하고 종지부를 찍었다.



 IF.


 오늘 아침에도 If를 생각했다.
 "어제 저녁에 많이 먹는게 아니었는데..."



 '이랬어야 했는데, 저랬어야 했는데'라는 후회를 하다보면 나 자신이 싫어지기도 한다.
 <If 의 심리학>을 읽으며 날 멀미나게 만드는 이 감정과 생각의 실체를 알고 싶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이 책을 통해 마음에 위안을 받았다.



내가 만족스럽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생각'과 '감정'이 따라온다.
 "~ 했어야 하는데"  라는 사후 가정사고
그리고 후회하는 감정.


 


사후가정사고는 내가 한 행동을 다시 돌아보면서
다음에도 이러한 상황이 생길 때에는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상상하게 하여
더 나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감정은 이 행동이 어떤 것인지 즉각적으로 알게 해준다.
어떤 행동에 대한 판단을 머리로 하기 전에 이미 감정으로 팍~~ 느껴지도록.


 


이 두가지는 우리 에서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어떤 바보같은 일을 했을 때, 내가 굳이 그것을 돌이켜보려고 하거나 잘못된 것을 파악하려 하지 않아도
뇌에서 자동적으로 후회를 느끼고 사후가정사고를 한다니... 참 기특하다.


 



 비록 후회할 만한 행동을 했어도
 우리의 뇌는 '내가 행동'을 합리화 시키는 능력이 뛰어나서,
 어떤 수를 써서라도 좋은 쪽으로 생각하게끔 만들어준다고 한다.



   버스를 탄 그 금요일,
   비록 강연장에 늦긴 했지만 나는
   '괜찮아. 그래도 화창한 풍경은 봤잖아.
   강연에 늦긴 했지만 동영상으로 받아서 보면 돼.' 라면서 나를 위안했었다. ^-^ 



 그러나
'내가 하지 않은 행동'을 합리화 시키는 능력은 탁월하지 않아서 후회를 더 오래한다고 하니~


 이 책은 나에게 일을 우선 '저질러 보라'고 충고한다. ^-^


 저지른 행동이 바보같으면 나중에 합리화를 잘 해서 후회를 덜하게 될테고
 바보같은 일이 생길까봐 행동을 저지르지 않으면 ' 그 일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오래 후회할테니까...


 


 다행이다.
 나의 뇌가 ,
 나의 행동에 대해
 A/S 를 자동적으로 잘 해주어서.



 (궁금한건....
   똑같은 '사후 가정사고'를 매번 하면서도 , 똑같은 '바보같은 행동' 을 반복하는 경우...;;;;
   박문호 박사님께서 뇌과학 공부를 할 때 ' 왜 사람들은 운동이 좋은걸 알면서도 운동을 안할까?' 가 궁금하셨다던데,
  나도    '운동이 좋은 줄 알면서도  운동을 잘 안하는'   걸   '후회'   하면서도   
 '안하는'   나의 행동은 이유가 무엇일까 궁금하다. )

  • ?
    한성호 2009.05.01 17:29
    Bread & Sissel의 'If'란 흘러간 팝송과
    기네스 펠트로의 '슬라이딩도어즈'가 연상되는군요...
  • ?
    임성혁 2009.05.01 17:29
    발표면 발표 독후감이면 독후감...보미선생님 요즘말로 짱이십니다.
  • ?
    윤현식 2009.05.01 17:29
    재밌는 글이네요.
    특히 이 부분이..

    "저지른 행동이 바보같으면 나중에 합리화를 잘 해서 후회를 덜하게 될테고
    바보같은 일이 생길까봐 행동을 저지르지 않으면 ' 그 일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오래 후회할테니까..."
  • ?
    윤보미 2009.05.01 17:29


    주로 내용은 '사후가정사고'에 대해 다루지만
    그와 함께 '저질러보라'는 이야기가 여러번 나와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공지 연애의 정석(060418) 최병관 2006.04.18 3003
1275 공지 [28] 빌 게이츠, '생각의 속도' 1 이동훤 2007.07.31 2996
1274 공지 이것이 한국화다 - 류병학 1 양경화 2007.07.10 2995
1273 공지 브레인 스토리 -수전 그린필드(정병선)- (지호) 2 이재우 2007.07.29 2994
1272 경영경제 긍정이 걸작을 만든다. 최윤배 2009.10.11 2993
1271 공지 실크로드 이야기 - 수잔 휫필드 2 양경화 2008.01.28 2988
1270 공지 나는 걷는다 - 베르나르 올리비에 3 양경화 2007.06.17 2982
1269 공지 뇌와 기억, 그리고 신념의 형성 1 이재우 2007.10.22 2977
1268 백북스와 함께 읽는 책 관리자 2011.06.01 2976
1267 공지 사랑을 위한 과학 -토머스 루이스, 패리 애미니, 리처드 래넌(김한영)- (사이언스 북스) 4 이재우 2007.06.15 2974
1266 공지 "생각의 오류"를 읽고 1 엄준호 2007.12.24 2971
1265 공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1 조윤정 2007.10.10 2971
1264 자연과학 기억을 찾아서 3 이대건 2009.11.27 2970
1263 문학예술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전 중3입니다!><) 3 조민정 2009.08.06 2969
1262 공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051213) 최병관 2005.12.13 2966
1261 공지 니체의 위험한 책.... 을 읽고 임석희 2007.09.17 2964
1260 공지 "부의 미래"를 읽고 1 엄준호 2006.11.12 2958
1259 자연과학 '나쁜 유전자'를 읽고((바버라 오클리, 살림출판사) 2 정인성 2009.04.29 2954
1258 공지 원효의 대승철학 -김형효- (소나무) 3 이재우 2007.09.21 2953
1257 공지 거짓의 사람들, M. 스코트 펙 4 김민정 2008.10.22 29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