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09.02.27 08:46

<최초의3분>을 읽고.

조회 수 41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대체 이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지구는 어떻게 생겨났으며 더 나아가 우주는 어떻게 창조되었을까 하는 의문은 누구나 갖고 있을 것이다.   나 또한 늘 궁금해 해 왔고 나름 답을 구하기 위해 신화나 종교 속 이야기들을 들어보곤 했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만화같고 동화 같아서 그저 웃고 넘길 뿐 이었다.  그래서 신화나 종교를 벗어나 과학적으로 우주생성에 대한 답을 알아보고 싶었으나 여지껏 다른 책들은 너무 어려운 내용에 (물리 용어, 수학 계산 등등) 질려버려 뭔가를 알개는 커녕 의욕만 잃을 뿐 이었었다. 하지만 이 <최초의 3분>은 그나마 조금 쉽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진도를 나갈 수 있어 다행이었다. (진도만 나갔을 뿐 뭘 알게 된 건 아냐.)

 

책의 첫 부분은 고등학교 물리 시간에 배웠던 내용들이라 쉬웠지만 정작 빅뱅이후 최초 3분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 5장부터는 헤매기 시작했다. 일단 개념 잡기가 너무 어려워서 (무슨 비유라도 있으면 희미하나마 감이라도 잡힐텐데 ) 그야마로 혼돈의 세상에 홀로 서 있는 기분이었다. 대충 요약해 보면 대폭발 이후 온도는 급격히 내려갔고 그로 인해 원자들이 생겨났으며( 에너지가 물질이 된다. ) 우주의 팽창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라는 말인 듯 한데 이것이 알 듯도 하고 모를 듯도 해서 사람을 멍하게 만든다.  물론 이 이야기는 전부터 들어 왔던 이야기지만 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듣고자 읽었던 것인데 더 얻은 것 없이 결국 제자리에서 맴돈 듯 한 기분이다.  어렵도다.

 

하지만 8장, 우주의 미래 부분은 흥미로웠다. 우주의 밀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계속 팽창할 것이요, 크면 팽창은 멈추고 뒤이어 수축이 진행될 것이다 하는 이야기.  - 수축은 바로 팽창을 거꾸로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수축이 시작된 후 500억 년이 지나면 우주는 현재의 크기를 다시 갖게 되고, 그보다 100억 년 뒤에는 무한한 밀도의 특이상태에 접근할 것이다.  p.206  정말 그럴까.  저자도 확신하지 못 한다.  확신한다 해도 그 제시하는 수치의 규모가 너무나 커서 실감이 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런 연구를 왜 하는걸까. 이게 대체 무슨 소용이 있는 걸까. 이에 대해 저자는 이런 말로 답한다.  - 그러나 우리의 연구 성과가 아무런 위로가 되지 않는다 해도 우리는 적어도 연구 그 자체에서 어떤 위안을 느낀다. 과학자들은 신과 거인들의 이야기에 만족하지 못하며, 또 생각을 일상적인 일로 한정시키지도 못한다. 우주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인간의 삶을 광대극보다 좀더 나은 수준으로 높여주고 다소나마 비극적 품위를 주는 아주 드문 일 중의 하나이다. p.210 -라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6 공지 <못 말리는 헬리콥터 엄마>를 읽고 안태균 2009.03.28 2601
1235 공지 <뭉크뭉크> -화가의 존재는 그의 그림 속에서 발견 될 수 없다.- 오현주 2006.04.22 1697
1234 공지 <바보들은 항상 최선을 다했다고 말한다> 를 읽고 강지영 2003.11.29 1633
1233 <북배틀>, 김명철 지음, 왓북, 2009 이중훈 2009.11.16 2240
1232 자연과학 <빅뱅>을 읽고 1 최선희 2009.03.05 3215
1231 공지 <사람들은 나를 성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김태연-> 강지영 2003.11.29 1816
1230 공지 <생명의 허들> - 1리터의 눈물 어머니의 수기 1 퐁퐁이 2007.06.17 3136
1229 공지 <선학동 나그네>를 읽고 최선희 2009.03.30 2757
1228 공지 <신의 방정식>을 만난 날. 6 임석희 2008.03.04 3153
1227 공지 <열하광인> 문체반정, 정조의 본심은? 4 이정원 2007.11.13 3166
1226 공지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알랭드보통 1 맹아름 2007.02.28 2701
1225 공지 <우리 역사 최전선>읽고...... 1 이재철 2006.10.17 1848
1224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2 박용태 2014.02.05 2600
1223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3 3 박용태 2014.02.05 2174
» 자연과학 <최초의3분>을 읽고. 박희경 2009.02.27 4194
1221 공지 A.L. 바바라시의 "링크(Linked)"를 읽고... 송윤호 2003.08.15 1845
1220 공지 anger(화) 틴낫한 지음 최수민 옮김 이재권 2003.06.25 1910
1219 공지 Back to the BASICS 신원식 2006.08.16 1634
1218 공지 B급 좌파 오주학 2003.06.25 2765
1217 공지 C.E.O의 다이어리엔 뭔가 비밀이 있다. 채종국 2003.09.18 17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