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문학예술
2009.02.03 10:20

폼페이

조회 수 353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자 로버트 해리스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마르쿠스 아틸라우스와 코렐리아만 빼고 거의 실존인물이었다는 것에 대해서
또한 흥미롭다.
수로교라는 로마의 기술적 업적물을 중심으로 폼페이 나아가서 인간들의 문명화된 모습의 뒷모습까지
묘사하는 작가의 능력에 또한 놀랐다.
읽으면서 폼페이의 구조에 대해서 궁금해서 인터넷에서 폼페이의 지도도 찾아보게 되었다.(아래사진)

이 당시에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였다.
그보다 이전인 고구려나 발해시대에도 우리도 훌륭한 궁궐을 가지고 있었다는데...
그 흔적도 없나?

<폼페이>는 4일 동안 일어난 일을 기술했으며, 기원후 79년 8월 넷째 주에 나폴리 만의 일출시각은
                 대략 오전 6시 20분이었다.

로마인들은
일출시각을 호라 프리마(Hora prima)에서
일몰시각을 호라 두오데키마(Hora duodecima)까지
낮을 12시간으로 구분.
밤은 자정 이전 시간을
       베스페라(Vespera), 프리마 팩스(Prima fax), 콘쿠비아(Concubia), 인템페스타(Intempesta)    
       자정 이후 시간을
       인클리나티오(Inclinatio), 갈리키니움(Gallicinium), 콘티키니움(Conticinium), 딜루클룸(Diluculum)
       총 8시간으로 구분.
일주일은
         문(Moon), 마르스(Mars), 메르쿠리(Mercury), 유피테르(Jupiter), 베누스(Venus),
         사투르누스(Saturn), 선(Sun)으로 구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
    김영이 2009.02.03 10:20
    얼마전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폼페이를 다녀왔습니다. ^^ 폼페이 관련 글을 보니 그때가 생각나네요 저책도 꼭 읽어봐야 겠어요
  • ?
    고소연 2009.02.03 10:20
    이 책 읽어봤는데, 나머지 인물들이 실존 인물들인 줄은 몰랐네요!!
  • ?
    정영옥 2009.02.03 10:20
    저도 꼭 한번 읽어보고 싶네요~
    폼페이 여행하면서 그곳에 대해 더 많이 알고싶다는 생각을 지울수 없었는데..
    이 책이 조금이나마 그 갈증을 풀어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6 공지 "철 도 원" 박종두 2004.02.08 1595
1395 인문사회 "통일은 대박이다"란 것만을 내세우는 우리사회에 대한 우문현답 코리안드림 wizy 2015.02.12 875
1394 공지 "하 늘 이 여 땅 이 여" 박종두 2004.02.08 1791
1393 공지 "하 늘 호 수 로 떠 난 여 행" 1 박종두 2004.02.08 1826
1392 "한글의 탄생" (노마 히데키;김진아 외 2명 옮김;돌베개,2011) 3 고원용 2012.08.06 2333
1391 "한치의 의심도 없는 진화이야기(Making of the Fittest)" 김병호 2009.04.07 2406
1390 공지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file 인윤숙 2006.09.01 1666
1389 "현대물리학, 시간과 우주의 비밀에 답하다"(숀 캐럴;김영태;다른세상 2012) 5 고원용 2012.07.08 2400
1388 공지 "호밑밭의 파수꾼" 박종두 2004.02.08 1750
1387 공지 "황 태 자 비 납 치 사 건" 박종두 2004.02.08 1820
1386 공지 ▪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전혜진 2006.09.12 1880
1385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김홍표 박용태 2018.09.27 357
1384 자연과학 <맥스 태그마크의 라이프 3.0> 박용태 2017.12.22 427
1383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김홍표 박용태 2017.01.04 570
1382 자연과학 <바이탈 퀘스쳔: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1 박용태 2016.12.21 567
1381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이강영>를 읽고 박용태 2016.08.09 917
1380 자연과학 <생명에서 생명으로> 베른트 하인리희 박용태 2017.01.01 1346
1379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박용태 2017.07.14 1664
1378 자연과학 <스핀> 이강영 1 박용태 2018.02.01 772
1377 인문사회 <이슬람 학교> 이희수 (1) 이재민 2015.12.09 19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