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38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구의 삶과 죽음', 린 마굴리스의 '공생자 행성', '기후의 반란' 3 권의 책을 읽었습니다. 지구를 다른 관점과 다른 시간 단위에서 다룬 책입니다.

'지구의 삶과 죽음'에서는 동물과 식물의 시대가 앞으로 끝나고 두번째 미생물의 시대를 지난 후 생명과 지구과 죽음을 맞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태양이 적색 거성으로 변해서 지구를 삼키기 훨씬 전에 이산화탄소가 감소하고 바다가 말라붙어서 동물과 식물의 시대는 막을 내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두 저자는 우주에서 지구와 같은 행성이 상당히 드물다는 책을 낸 적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도 지구의 생명이 다른 항성계로 옮겨가서 살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습니다.

1998년에 출간되었던 '공생자 행성'이 한국에는 작년에 번역되어 소개되었습니다. '연속 세포 내 공생 이론'과 함께 20살도 되기 전에 칼 세이건을 만나 결혼한 린 마굴리스의 개인적인 삶도 이 책에서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공생자 생성'을 읽고 나서 '지구의 삶과 죽음'을 읽어서 그런지 '지구의 삶과 죽음'은 생명을 다세포 동물의 관점에서만 보고 단세포 생물들의 관점을 무시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지구의 생명을 떠받치고 있는 것은 단세포 생물들인데도 말입니다.

'지구의 삶과 죽음'을 읽고 나서의 느낌은 어두웠습니다. 지구같은 행성이 드물어서 우주에 지적생명체가 인류뿐인데 10억년쯤 지나면 동물들이 모두 사라지고 지구에 미생물만 남을 것이라는 것은 분명 우울한 이야기입니다. '공생자 행성'을 읽고 나서의 느낌은 밝았습니다. 지구에 태어난 생명이 하나씩 연합해서 공생하며 지구의 모습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 결과 그 역사를 이해하는 생명도 탄생했다는 것은 성공담으로 읽힙니다.

지구과학이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삶과 죽음'에 쓰인 것 중에 고쳐지는 것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중심별에서 금성보다는 멀고 화성보다는 가까운 안성마춤 영역에서만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온 우주에 우리뿐만이 아닐 가능성이 이 저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는 높을 것입니다. 과학이 무엇이라고 직접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새 지식을 얻고 나서 미래에 대한 느낌이 달라지는 것은 사람으로서 어쩔 수 없는 일인듯합니다.

'기후의 반란'은 프랑스의 기자가 쓴 책입니다. 앞의 두 책에 비하면 지구에 관해 훨씬 짧은 기간, 지금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적힌대로 최근 잦아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기후 이변이 지구 온난화 때문인지를 확실히 결론을 내리려면 수십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 기간을 짧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언제 행동하기 시작할지 합의를 하는 것이 지금 어렵습니다. 인류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모르겠습니다. 한국에서는 지난 1~2년 사이에야 지구 온난화 문제를 그 자체로 다루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더 잘 먹고 더 잘 입게된다고 한국이 선진국이 되는 것은 아니고 전세계 10위권의 무역국, 에너지소비국으로서 그에 합당한 책임을 져야 선진국으로 대접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에도 이런 수준의 책을 쓸 수 있는 과학기자가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고원용


  • ?
    임석희 2008.12.06 22:03
    고박사님께서 제가 평소에 궁금해하는 화두를 계속 던져주시네요. ^^
    다음에 뵙게 되면, 또 얘기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태양이 지구를 삼킬때까지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지금 현재의 태양을 기준으로 했을때 금성과 화성사이의 지구가 인류가 사는 곳인것처럼,
    나중에 태양이 커지면, 혹시 모르죠... 화성과 토성사이의 목성에 사람이 살게 될 런지..
    혹은 적당한 거리에 있는 행성에 지구의 과거와 유사한 환경이 갖춰지는 곳이 있다면,(운석충돌과 같은 것도 있어야겠지요. 그래야, 어떤 압력와 온도조건에서 뿅!하는 반응이 생길 수 있을테니까요) 그 곳에 인류와는 또 다른 어떤 지적생명체가 탄생하게 될런지도요...
    어디까지나 시간이 충분히 길다고 봤을때(태양이 커지고, 유지하는 기간이 생명탄생이 가능한 시간을 보장한다는)의 추측입니다.

    고로, 저는 태양이 커진다고 했을때, 희망을 보았는데요... ^^*
    내 후손이 지구를 떠난 다른 행성(지구와 유사한 환경이 갖춰질 어느곳)에서 살게 되거나,
    인류는 여기서 막을 내려도, 무언가 지적생명체의 출현이 가능할 것으로... 여기에, 우리의 유전자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달된다면 더할나위 없을거구요. ^^*

    비약은 심합니다만... 앞으로 두고보려구요. 어떻게 달라지는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6 나는 죽을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1 최윤배 2013.05.20 1843
1355 주식회사 이데올로기 4 김동일 2013.03.23 1987
1354 <니체 극장 >을 읽고 1 최유미 2013.01.19 1995
1353 [기독교의 심장]/마커스보그 1 이낙원 2013.01.12 2142
1352 휴식 2 김령은 2013.01.03 1810
1351 방콕 여행자, [여행하는 인문학자]를 만나다! 4 김령은 2013.01.02 1625
1350 논어 – 부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 2 김동일 2012.12.10 1910
1349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 김동일 2012.12.02 1974
1348 인생, 리스본행 야간열차,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1 신동찬 2012.11.27 1973
1347 "원자와 우주 사이"(마크 호 2007;고문주;북스힐 2011) 고원용 2012.11.12 2048
1346 "당신과 지구와 우주"(크리스토퍼 포터;전대호;까치 2010) 1 고원용 2012.10.28 2674
1345 [세포의 반란] / 로버트 와인버그 2 이낙원 2012.10.13 2741
1344 Gazzaniga 교수의 책, [뇌로부터의 자유] 관련 이정모의 생각 2 이정모 2012.09.22 2444
1343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전세계가 주목한 코넬대학교의 인류 유산 프로젝트) 2 신동찬 2012.09.21 1815
1342 죽음과 섹스 3 신동찬 2012.09.20 1981
1341 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 이브 파칼레 지음 3 최유미 2012.08.23 2111
1340 Rush (지은이: 토드 부크홀츠) 1 김동일 2012.08.13 1818
1339 콰이어트, 수잔 케인 3 신동찬 2012.08.10 1967
1338 "한글의 탄생" (노마 히데키;김진아 외 2명 옮김;돌베개,2011) 3 고원용 2012.08.06 2335
1337 밝은방(사진에관한노트),롤랑바르트 2 박주한 2012.07.24 22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