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8.05.13 05:00

춤추는 뇌 -김종성-

조회 수 4398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반사적 성행위는 뇌간과 시상 하부가, 남녀 간의 기본적인 애정은 변연계가 담당한다. 하지만 정신적 교감을 근거로 하는 사랑, 일생 단 한번 하는 깊은 사랑은 신피질이 있기에 가능하다.(34)


 


헤르만 헤세의 말 이성은 감정을 지배한다에서 이성은 신피질을, 감정은 변연계를 말하는 것이고, 프로이트가 말한 초자아와 자아는 신피질이 이드(무의식적 본능)는 변연계와 뇌간이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사랑은 선택이고 결정이며 판단이라고 한 에리히 프롬의 말은 신피질적 사랑을 강조한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영원한 사랑이라는 말의 깊이와 무거움을 느낀다. 영원한 사랑은 아주 엄한 규율이고 원칙이며 신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부인과 사별한 서정주 시인이 곡기를 끊고 맥주로 연명하다 두달 후에 뒤를 따른 것을 그에 빗대는 것이 적절한 비유인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그들의 그런 사랑이 부럽다.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은 그 행동이 자신의 생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다. 하루에 밥을 세번 먹는다든지, 우습다는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적절한 대응법인 웃음을 작동시켜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어떤 종류의 사랑이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회자되며 변치 않는 관심사가 되는 것은 그것이 인류의 생존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서 말하는 사랑이란 변연계적 사랑을 바탕으로 한 신피질적 사랑이다.


 

나는 지금 오른팔을 앞으로 내밀었다. 그리고 오른쪽 다리는 뒤로 보냈다. 반면 왼쪽 다리는 앞으로 내밀고, 팔은 뒤로 휘둘렀다. 허리와 목은 꼿꼿하게 펴고 있다.(97)

 

위는 걷기의 복잡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걷기에 한정되는 복잡함이 아니다. 사랑하는 것, 보는 것, 듣는 것, 냄새 맡는 것 등등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모든 움직임과 느낌 하나하나는 아주 복잡한 여러 기관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아주 정교한 작업이다. 그 정교함이라 함은 현존하는 최고의 슈퍼 컴퓨터보다도 많은 부속들과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누가 이를 만들었는가는 내게 중요치 않다. 나는 존재하고 있고 그 존재를 끊임없이 이용함으로써 존재의 권리와 의무에 충실할 뿐이다. 존재는 축복이다. 나는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은 승자 중의 하나이다. 이 또한 내가 살아 있음으로써 인류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Prev 죽은 열정에게 보내는 젊은 Googler의 편지 죽은 열정에게 보내는 젊은 Googler의 편지 2008.05.11by 승건 탐독-이정우 Next 탐독-이정우 2008.05.21by 장현도
  • ?
    이병록 2008.05.13 05:00
    아직은 용어도 익숙하지 않고 무슨 의미인지 모르지만, 몇 개월 후에는 아하!하고 고개를 끄덕일 순간이 있겠지요....
  • ?
    엄준호 2008.05.13 05:00
    꾸준히 뇌과학 분야의 책을 읽고 계신 것 같네요. 반갑습니다. 가까이에 계시다면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나눌 수 있을 것 같은데 안타깝습니다. 감정은 의식적인 것과 무의식적인 것을 구분하여 이야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정도 생존에 유용하기 때문에 진화과정에서 출현했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문제는 의식적 감정의 존재 이유인 것 같습니다. 그것은 행동의 원인으로써 존재하는 것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1. 의식의 기원-줄리언 제인스

    Date2008.03.18 Category공지 By임성혁 Views2716
    Read More
  2. [38] 스테판 M. 폴란&마크 레빈, '2막'

    Date2008.03.18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541
    Read More
  3. [39] 조용헌,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Date2008.03.22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781
    Read More
  4.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새뮤얼 이녹 스텀프, 제임스 피저 지음 이광래 옮김)을 읽으면서

    Date2008.03.25 Category공지 By신영호 Views2944
    Read More
  5. 교사가 본 '깨진 유리창의 법칙'

    Date2008.03.29 Category공지 By이나라 Views3285
    Read More
  6.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를 읽으면서 - 2

    Date2008.04.01 Category공지 By신영호 Views3026
    Read More
  7. [40] 제프리 크레임스, '7인의 베스트 CEO'

    Date2008.04.06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761
    Read More
  8. [41] 김광규, '처음 만나던 때'

    Date2008.04.07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3094
    Read More
  9. [42] 제레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Date2008.04.19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3499
    Read More
  10. 시간의 놀라운 발견, 슈테판 클라인 지음, 웅진지식하우스,2007

    Date2008.04.28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497
    Read More
  11.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Date2008.05.02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712
    Read More
  12. <구들장의 독서일기1>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Date2008.05.09 Category공지 By류우정 Views3459
    Read More
  13. 로저 펜로스 "우주 양자 마음"

    Date2008.05.10 Category공지 By고원용 Views4683
    Read More
  14. 죽은 열정에게 보내는 젊은 Googler의 편지

    Date2008.05.11 Category공지 By승건 Views4151
    Read More
  15. 춤추는 뇌 -김종성-

    Date2008.05.13 Category공지 By이재우 Views4398
    Read More
  16. 탐독-이정우

    Date2008.05.21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734
    Read More
  17. 음악이 인생에게 주는 선물- 리처드 용재오닐의 ‘공감’

    Date2008.06.02 Category공지 By김세영 Views4411
    Read More
  18. 화성의 인류학자 -올리버 색스-

    Date2008.06.10 Category공지 By이재우 Views8606
    Read More
  19.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몰입"

    Date2008.06.21 Category공지 By최윤배 Views4491
    Read More
  20. 영교시 수업 -박성일-

    Date2008.07.29 Category공지 By이재우 Views317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