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97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념이란 확실한 증거 없이 어떤 것의 존재나 진실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이다 라고 웹스터 사전은 정의 내린다. 신념이 증명할 수 없는 주장의 진실에 관한 주관적 확신이라고 한다면 기억은 신념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언가를 믿는다는 것은 어떤 대상에 대한 확신이기 때문에 그 대상을 가지고 있는 매개체는 기억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해를 돕고자 지식과 신념을 비교하면 지식이란 끊임없이 경험에 의해 교정되는 수정과 갱신을 거치는 기억의 한 형태이지만, 신념은 경험에 의해 교정되는 것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이는 또 다른 형태의 기억이다.


 


신념은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가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시각을 통해 전해진 정보를 해석해내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고, 일정 부분은 우리 마음의 판단에 따라 인지를 하게 된다. 지각은 부분적으로 사전지식의 기능이라는 말이다. 기억의 한 형태로 일컬어지는 사전지식은 흔히 신념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지각과 신념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까그라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신의 부모, 자식, 배우자, 형제 등과 같이 가까운 사람들을 가짜로 본다. 환자는 엄마가 매우 닮았지만 혹은 똑같이 생겼지만 진짜 엄마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는 얼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담당하는 곳에서 올바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기인한다. 어머니의 얼굴에서 풍기는 따뜻함이 제대로 인지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시각과 감정사이의 전달이다. 감정을 관장하는 변연계의 관문은 편도체이다. 편도체로 연결되는 청각피질과 시각피질은 그 형태가 다르다고 한다. 이는 우리에게 무언가를 본다는 상황이 인지된다는 것은 그것 자체에 우리의 감정이 녹아 든 주관적인 행동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사람은 현재 자신의 감정에 기반을 두고 과거의 감정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를 달리 말하면 현재 자신을 지배하고 있는 신념에 맞추어 기억이 재구성되어 왜곡되는 상황이 충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 왜곡된 기억이 또 다른 신념을 만들고 그 기억이 또 다시 왜곡되고 그렇게 반복되며 끊임없이 일그러지고 있는 삶 속에 우린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 ?
    임성혁 2007.10.22 06:05
    마지막 네줄은 "도 모른다"가 아니라 "거의 그렇다"로 고쳐 써도 무방 하지 않을까 싶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자연과학 305회차 후기 : 이명현의 별 헤는 밤 - 이명현 박사 file 신보람 2015.04.19 1058
1275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file 신보람 2015.05.04 1287
1274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김병용 2015.05.06 980
1273 문학예술 306회차 후기 :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 허나영 홍덕화 2015.05.03 1094
1272 공지 31. 뇌(하) - 베르나르 베르베르 정청미 2007.01.08 1767
1271 공지 3년후 당신의 미래 고윤의 2005.01.27 1602
1270 공지 3월7일 조준희 2004.03.07 1554
1269 공지 3천배...원성스님 윤석련 2003.06.25 3135
1268 공지 4.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 정청미 2005.09.24 1499
1267 공지 40대, 초조함을 버리고 전력투구하라(060204) 최병관 2006.02.05 2144
1266 공지 40대에 다시 쓰는 내 인생 이력서 6 현영석 2002.10.21 7263
1265 공지 4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060430) 최병관 2006.04.30 2889
1264 경영경제 4개의 통장 file 최윤배 2009.10.11 3439
1263 공지 5. 미운오리새끼의 출근 -매트 노가드 지음 정청미 2005.10.03 1514
1262 공지 500년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손기원 2003.06.25 2071
1261 인문사회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1 조태윤 2009.11.16 3139
1260 공지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송근호 2004.03.05 1570
1259 공지 5차원 독서법과 학문의 5단계를 읽고 26th file 송근호 2005.05.18 1781
1258 공지 6. 내 마음 그리스도의 집 -로버트 멍어 정청미 2005.10.03 2004
1257 공지 6가지 인간형 박동신 2004.10.23 16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