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97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념이란 확실한 증거 없이 어떤 것의 존재나 진실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이다 라고 웹스터 사전은 정의 내린다. 신념이 증명할 수 없는 주장의 진실에 관한 주관적 확신이라고 한다면 기억은 신념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언가를 믿는다는 것은 어떤 대상에 대한 확신이기 때문에 그 대상을 가지고 있는 매개체는 기억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해를 돕고자 지식과 신념을 비교하면 지식이란 끊임없이 경험에 의해 교정되는 수정과 갱신을 거치는 기억의 한 형태이지만, 신념은 경험에 의해 교정되는 것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이는 또 다른 형태의 기억이다.


 


신념은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가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시각을 통해 전해진 정보를 해석해내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고, 일정 부분은 우리 마음의 판단에 따라 인지를 하게 된다. 지각은 부분적으로 사전지식의 기능이라는 말이다. 기억의 한 형태로 일컬어지는 사전지식은 흔히 신념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지각과 신념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까그라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신의 부모, 자식, 배우자, 형제 등과 같이 가까운 사람들을 가짜로 본다. 환자는 엄마가 매우 닮았지만 혹은 똑같이 생겼지만 진짜 엄마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는 얼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담당하는 곳에서 올바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기인한다. 어머니의 얼굴에서 풍기는 따뜻함이 제대로 인지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시각과 감정사이의 전달이다. 감정을 관장하는 변연계의 관문은 편도체이다. 편도체로 연결되는 청각피질과 시각피질은 그 형태가 다르다고 한다. 이는 우리에게 무언가를 본다는 상황이 인지된다는 것은 그것 자체에 우리의 감정이 녹아 든 주관적인 행동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사람은 현재 자신의 감정에 기반을 두고 과거의 감정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를 달리 말하면 현재 자신을 지배하고 있는 신념에 맞추어 기억이 재구성되어 왜곡되는 상황이 충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 왜곡된 기억이 또 다른 신념을 만들고 그 기억이 또 다시 왜곡되고 그렇게 반복되며 끊임없이 일그러지고 있는 삶 속에 우린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 ?
    임성혁 2007.10.22 06:05
    마지막 네줄은 "도 모른다"가 아니라 "거의 그렇다"로 고쳐 써도 무방 하지 않을까 싶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6 공지 색채 심리 1 이혜영 2003.07.15 2832
1275 공지 우동한 그릇- 구리료헤이 김미숙 2003.07.15 2216
1274 공지 겅호 송봉찬 2003.07.15 2042
1273 공지 메모의 기술 (사카코 켄지 저) 고민정 2003.07.16 2046
1272 공지 화, 힘 윤대문 2003.07.16 2424
1271 공지 [피천득]인연 이은경 2003.07.18 2606
1270 공지 [박완서]너무도 쓸쓸한 당신 이은경 2003.07.18 2220
1269 공지 독서의 역사 박수일 2003.07.18 2030
1268 공지 아이에게 행복을 주는 비결1 <스티브 비덜프 저> 1 고민정 2003.07.25 2118
1267 공지 화(anger) 송봉찬 2003.07.28 2358
1266 공지 1234 파라곤 2003.07.29 1706
1265 공지 틱낫한 의 화를 읽고 양희성 2003.07.31 2257
1264 공지 지선아 사랑해 김미숙 2003.07.31 2105
1263 공지 모두에게 해피엔딩 김미숙 2003.07.31 2054
1262 공지 폰더씨의 위대한 하루(요약) 1 고민정 2003.07.31 2783
1261 공지 자기 이름 찾기..... 김범일 2003.08.01 2084
1260 공지 [미치앨봄] 모리와함께한 화요일 이은경 2003.08.06 2019
1259 공지 [21세기연구회] 상식으로보는 문화사 이은경 2003.08.06 1937
1258 공지 [한창훈]섬,나는세상끝을산다 이은경 2003.08.06 1950
1257 공지 [츠지 히토나리] 냉정과 열정사이 이은경 2003.08.12 19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