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12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육상으로 진출한 것은 균류, 동물, 식물이 아니라 바로 미생물이다. 과학기술의 힘을 빌려 달 표면에 도착한 것은 몇 명의 인간과 무수히 많은 미생물이다.





* 지난 해 갤럽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절반은 인간이 진화의 산물이 아니라 약 1만년 전 하나님이 지금의 형태로 만든 것이라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화당 대통령 후보 10명 가운데 3명은 최근 토론에서 진화를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 - 사이언스 타임즈





* 사람의 피부는 박테리아의 ‘버츄얼 동물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무려 250여 종이 넘는 박테리아가 사람의 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중 약 8%는 이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이라는 점이다. 또한 발견된 박테리아의 4분의 3은 개인에서만 발견되는 고유 종이었다. - 사이언스 타임즈





* 산모를 도우러 출산실에 들어갔다가 아이가 태어나는 것을 보고는 감동하여 울어버린 적이 있다. 지구 위에 첫 생명이 만들어졌을 때 이 우주에서 누가 울었을까...





린 마굴리스가 쓴 박사학위 논문은 세포 공생설에 대한 것이었다고 한다. 진핵세포는 저절로 진화하여 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박테리아들이 공생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가설이다.

당시 이 논문을 심사하던 교수들이 이 논문에 대해 반대의 의견조차 말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논할 가치조차 없는 바보 같은 생각이었으니까. 하지만 세월이 지나 많은 연구들이 마굴리스의 의견을 지지했다.


누렇게 바랜 20년 전의 이 책에서 생명의 탄생부터 미래의 인간까지 예측하는 저자의 단호하고 확신에 찬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책의 내용을 요약해서 말할 능력은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나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눈으로 세상을 보고 있다는 것이다. 겨우 책 두어 권 읽고? 너무 자만한 거 아냐? 조금은 그럴지도 모르지만, 새 눈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세상에는 나와 함께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생물계 동료들이 있다. 나는 그들 중의 어느 한 종과도 분리되어 살 수 없다. 그들이 죽으면 내가 죽지만, 내가 죽어도 그들은 번성할 것이다. 생물계에서 가장 의존적인 기생생물은 바로 나다.

생명의 기원에 대해 읽는다면 어느 누구도 자만할 수 없으며, 이 땅과 생명들을 예전처럼 무심하게 바라보지 못할 것이다.





* 숲길을 걷는 이의 뒷모습을 바라본다. 사방을 둘러싼 초록색 식물들, 부산히 제 일을 하고 있는 곤충들, 박테리아와 균류로 뒤범벅이 된 흙, 포자로 충만한 공기. 그 사이로 한 개체의 호모 사피엔스가 그들과 호흡을 교환하며 천천히 걷는다. 그는 지구 위의 모든 생명들과 하나가 된 것 같다.

완벽하게 아.름.답.다.

 

  • ?
    박문호 2007.06.06 07:25
    붉은 대지와 검푸른 하늘만 존재한 듯한 호주 사막에서 일주일간 오직 "마이크로 코스모스" 한 권의 책을 읽고 생각하고를 거듭하다, 몸 살나듯 생명이란 무엇인가? 를 되뇌었던 시절이 생각납니다. 같은 책을 읽고 공감한다는 사람을 보면 "공감의 의식"까지 가져다 준 "꿈 감으면 떠오르는 고향의 강(DNA)" 이 느껴집니다. 양경화님의 맹렬한 공부에 박수를 드립니다.

  1. <신의 방정식>을 만난 날.

    Date2008.03.04 Category공지 By임석희 Views3153
    Read More
  2. [문학일기 6] 엉클 텅스텐/ 올리버 색스/ 바다출판사

    Date2010.11.30 Category자연과학 By정광모 Views3152
    Read More
  3.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 한스 크리스천 폰 베이어

    Date2008.02.13 Category공지 By고원용 Views3150
    Read More
  4. 포커스 리딩

    Date2009.01.25 Category공지 By김주희 Views3145
    Read More
  5.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Date2009.11.16 Category인문사회 By조태윤 Views3139
    Read More
  6. <생명의 허들> - 1리터의 눈물 어머니의 수기

    Date2007.06.17 Category공지 By퐁퐁이 Views3136
    Read More
  7. 3천배...원성스님

    Date2003.06.25 Category공지 By윤석련 Views3135
    Read More
  8.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 노엄 촘스키 1999년

    Date2009.08.20 Category인문사회 By조태윤 Views3124
    Read More
  9. 어느 천재 정신분석가의 삶

    Date2009.06.23 Category자연과학 By김갑중 Views3122
    Read More
  10. 어 머 니..

    Date2004.02.08 Category공지 By박종두 Views3121
    Read More
  11. 마이크로 코스모스 -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Date2007.06.06 Category공지 By양경화 Views3120
    Read More
  12.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Date2010.03.22 Category자연과학 By신동찬 Views3111
    Read More
  13. The Power of Failure

    Date2003.06.25 Category공지 By문자란 Views3109
    Read More
  14. 흔들리는 나, 방황하는 나, 그 이유를 찾아 떠나다

    Date2009.09.08 By임석희 Views3098
    Read More
  15. 해마 (이케가야 유지,이토이 시게사토)

    Date2008.08.22 Category공지 By윤현식 Views3096
    Read More
  16.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 한비야

    Date2006.01.23 Category공지 By이상희 Views3096
    Read More
  17. 과학으로 생각한다

    Date2007.10.19 Category공지 By윤성중 Views3095
    Read More
  18. [41] 김광규, '처음 만나던 때'

    Date2008.04.07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3093
    Read More
  19. "신의 방정식"을 읽고

    Date2009.05.11 By표태수 Views3084
    Read More
  20. [32] 황선미, '마당을 나온 암탉'

    Date2007.12.23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308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