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93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말을 삼킨 책 세권이다.


태생은 볼품 없지만 남의 이야기를 잘 듣고 좋은 의견을 골라 쓸 줄 알았던 유방과, 좋은 집안에서 태어나 타고난 재주가 남달랐던 항우. 항우의 책사 범증, 유방의 전략가 장량, 총사령관 한신, 후방의 보급관 소하 등등 이들 모두가 소설에 생명을 불어넣어주고 책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어 준 인물들이다.


100번을 졌는데 한번 더 진들 뭐 두려울 게 있나이까.라며 궁지에 몰린 유방을 격려하던 장량의 대사는 소설 전체를 통틀어 가장 맘에 들었던 부분이다.


 


저자는 사기(史記)한서(漢書)를 참고로 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알게 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을 여행하며 쓸 거리들을 모아 이 책을 썼다고 한다. 항우가 죽은 70년 뒤에 사기를 쓰기 위해 항우의 흔적을 찾아 여행하던 사마천이나, 2200년 뒤 항우와 유방을 쓰기 위해 함가창(含嘉倉 : 곡물 저장용 굴)을 들여다 보고 있었을 시바료타로를 생각하니 이 책이 더욱 무겁게 느껴졌다.


 


세상엔 다양한 형태의 지도자들이 존재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지도자들은 스케일이 아주 크다. 100~1000명을 거느린 지도자는 지도자 대열에도 끼지 못하고, 적어도 10000명은 끌어야 그나마 지도자란 소리가 어울릴 것 같다. 나는 이 책에서 항우의 강한 자아가 만들어낸 리더쉽과, 허허로움의 극치로 표현되는 유방 리더쉽의 비교도 흥미로웠지만, 장량과 유방의 비교도 아주 재미있었다. 유방 최대의 장점이자 단점으로 일컬어지는 허허로움은 주변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그 틈을 채우도록 만드는 힘으로 작용해 조직을 돌아가게 만들지만, 이와는 반대로 모든 것을 철저히 자신이 직접 계획하고, 통제함으로써 주변의 모든 사람들을 장량의 지시만 기다리는 수동적인 사람으로 만들어버리는 장량의 리더쉽 또한 흥미로웠다.

삼국지와는 또 다르게 젊은이들을 격동케 하는 힘이 있는 소설인 듯 하다.

 

 

 

  • ?
    양경화 2007.05.14 16:21
    학교수업때문에 여기서 만나지는 못하지만, 재우씨가 책 읽는 모습이 눈에 보이는 것 같아요. 글이 올라오는 것을 볼 때마다 즐겁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자연과학 '나쁜 유전자'를 읽고((바버라 오클리, 살림출판사) 2 정인성 2009.04.29 2956
75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5 엄준호 2007.05.14 3517
74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고 신동찬 2011.11.02 1894
73 공지 '교단일기'를 읽고 김미 2006.10.27 2087
72 공지 '같기도하고 아니같기도 하고' 중 '환원주의와의 싸움' 3 고원용 2008.12.01 6562
71 '가이아의 복수' / ' 긴 여름의 끝' 을 읽고.... 2 최유미 2011.11.24 2458
70 공지 '07-47 살라딘 십자군에 맞선 이슬람의 위대한 술탄 1 이병록 2007.01.07 2323
69 공지 '06-46 배려 이병록 2007.01.07 1971
68 ' 아파야 산다'/ '우리 몸은 석기시대' 을 읽고... 최유미 2011.11.28 2181
67 자연과학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김영사, 2015) 2 고원용 2015.10.03 6440
66 인문사회 <통찰의 시대> 에릭 캔댈 (2) 이재민 2015.12.09 1969
65 인문사회 <통찰의 시대> 에릭 캔댈 (1) 이재민 2015.12.09 2057
64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박용태 2017.06.20 261
63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박용태 2017.06.20 383
62 자연과학 <인간 존재의 의미>-에드워드 윌슨 박용태 2016.09.30 566
61 인문사회 <이슬람 학교> 이희수 (2) 3 이재민 2015.12.09 2006
60 인문사회 <이슬람 학교> 이희수 (1) 이재민 2015.12.09 1954
59 자연과학 <스핀> 이강영 1 박용태 2018.02.01 797
58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박용태 2017.07.14 1671
57 자연과학 <생명에서 생명으로> 베른트 하인리희 박용태 2017.01.01 13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