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93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말을 삼킨 책 세권이다.


태생은 볼품 없지만 남의 이야기를 잘 듣고 좋은 의견을 골라 쓸 줄 알았던 유방과, 좋은 집안에서 태어나 타고난 재주가 남달랐던 항우. 항우의 책사 범증, 유방의 전략가 장량, 총사령관 한신, 후방의 보급관 소하 등등 이들 모두가 소설에 생명을 불어넣어주고 책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어 준 인물들이다.


100번을 졌는데 한번 더 진들 뭐 두려울 게 있나이까.라며 궁지에 몰린 유방을 격려하던 장량의 대사는 소설 전체를 통틀어 가장 맘에 들었던 부분이다.


 


저자는 사기(史記)한서(漢書)를 참고로 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알게 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을 여행하며 쓸 거리들을 모아 이 책을 썼다고 한다. 항우가 죽은 70년 뒤에 사기를 쓰기 위해 항우의 흔적을 찾아 여행하던 사마천이나, 2200년 뒤 항우와 유방을 쓰기 위해 함가창(含嘉倉 : 곡물 저장용 굴)을 들여다 보고 있었을 시바료타로를 생각하니 이 책이 더욱 무겁게 느껴졌다.


 


세상엔 다양한 형태의 지도자들이 존재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지도자들은 스케일이 아주 크다. 100~1000명을 거느린 지도자는 지도자 대열에도 끼지 못하고, 적어도 10000명은 끌어야 그나마 지도자란 소리가 어울릴 것 같다. 나는 이 책에서 항우의 강한 자아가 만들어낸 리더쉽과, 허허로움의 극치로 표현되는 유방 리더쉽의 비교도 흥미로웠지만, 장량과 유방의 비교도 아주 재미있었다. 유방 최대의 장점이자 단점으로 일컬어지는 허허로움은 주변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그 틈을 채우도록 만드는 힘으로 작용해 조직을 돌아가게 만들지만, 이와는 반대로 모든 것을 철저히 자신이 직접 계획하고, 통제함으로써 주변의 모든 사람들을 장량의 지시만 기다리는 수동적인 사람으로 만들어버리는 장량의 리더쉽 또한 흥미로웠다.

삼국지와는 또 다르게 젊은이들을 격동케 하는 힘이 있는 소설인 듯 하다.

 

 

 

  • ?
    양경화 2007.05.14 16:21
    학교수업때문에 여기서 만나지는 못하지만, 재우씨가 책 읽는 모습이 눈에 보이는 것 같아요. 글이 올라오는 것을 볼 때마다 즐겁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6 공지 "철 도 원" 박종두 2004.02.08 1595
1395 인문사회 "통일은 대박이다"란 것만을 내세우는 우리사회에 대한 우문현답 코리안드림 wizy 2015.02.12 875
1394 공지 "하 늘 이 여 땅 이 여" 박종두 2004.02.08 1791
1393 공지 "하 늘 호 수 로 떠 난 여 행" 1 박종두 2004.02.08 1826
1392 "한글의 탄생" (노마 히데키;김진아 외 2명 옮김;돌베개,2011) 3 고원용 2012.08.06 2333
1391 "한치의 의심도 없는 진화이야기(Making of the Fittest)" 김병호 2009.04.07 2406
1390 공지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file 인윤숙 2006.09.01 1666
1389 "현대물리학, 시간과 우주의 비밀에 답하다"(숀 캐럴;김영태;다른세상 2012) 5 고원용 2012.07.08 2400
1388 공지 "호밑밭의 파수꾼" 박종두 2004.02.08 1750
1387 공지 "황 태 자 비 납 치 사 건" 박종두 2004.02.08 1820
1386 공지 ▪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전혜진 2006.09.12 1880
1385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김홍표 박용태 2018.09.27 357
1384 자연과학 <맥스 태그마크의 라이프 3.0> 박용태 2017.12.22 427
1383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김홍표 박용태 2017.01.04 570
1382 자연과학 <바이탈 퀘스쳔: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1 박용태 2016.12.21 566
1381 자연과학 <불멸의 원자-이강영>를 읽고 박용태 2016.08.09 913
1380 자연과학 <생명에서 생명으로> 베른트 하인리희 박용태 2017.01.01 1345
1379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박용태 2017.07.14 1661
1378 자연과학 <스핀> 이강영 1 박용태 2018.02.01 772
1377 인문사회 <이슬람 학교> 이희수 (1) 이재민 2015.12.09 19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