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2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 책을 읽고 있으면 목이 서서히 조인다는 느낌이 든다.

생물학과 유전공학 등 여기저기서 들은 기억이 있는 단어들이지만,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나의 삶에 이토록 가까이 다가왔다는 인식을 전에는 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앞으로의 시대가 게놈연구를 시작으로 하는 생물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중심으로 변하는 시기라고 한다면 나는 매우 많이 늦었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게 된 듯 싶다.


하지만, 아직도 기회는 있다. 저자의 말처럼, 미래에 일반인의 삶에 더 깊게 넓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그만큼 나에게 선택권이 생긴다는 말이다. 그것은 미리 현명하게 알고 선택할 줄 아는 지혜로움을 갖는 것이 선과제가 된다는 의미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에는. 대중민주주의의 발현과 더불어 대중이 정치를 비롯한 사회 각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로 두각을 나타내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과 같이, 내가 중요한 권리를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책에서 주의를 주는 부분인 유전학 또는 기타 현재 중시되고 있는 학문적, 연구적 분야의 방식에 너무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에는 나도 매우 동의한다. 나는 물론 창조론이 옳다고 보는 사람이지만, 인쇄술의 발명이 사회의 모든 것을 바꾸는 계기가 되어 그로부터 발현된 각 분야에서의 발달 시초는 현재의 사회가 되도록 하는 동력이었던 산업사회로의 이행을 이루었던 것처럼 생물학 및 기타 바이오 공학분야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이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고 이상을 실현하려는(비록 사람마다 매우 차이가 나겠지만) 의지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생물학이 나의 전공과는 거리가 있다고 하더라도(본인의 전공은 건축임) 여러 분야에 대한 앎은 매우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대를 쫒아가는 것이 과거보다 훨씬 더 어려워진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책은 내가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러한 책들을 더 열심히 읽고 사회의 흐름과 그 사회의 일원으로써의 나의 모습에 대한 고민을 충실히 해야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6 공지 느낌이 좋은 사람들의 99가지 방법 정청미 2005.01.30 1553
995 공지 구멍가게 -정근표- 정청미 2005.01.30 1711
994 공지 The diary - 니콜라스를 위한 수잔의 일기. 조금은 슬픈 책. 1 file 배소영 2005.01.30 1581
993 공지 Sorstalansag[운명없음]이 원제인 [운명] file 배소영 2005.01.30 1676
992 공지 Tuesdays With Morrie -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file 배소영 2005.01.30 1580
991 공지 The Blue Day Book - 나를 달래주는 책. file 배소영 2005.01.30 1556
990 공지 여행의 책 - 살아있는 책과의 대화 그리고 내면의 여행. file 배소영 2005.01.31 1592
989 공지 프린키피아의 천재 강신철 2005.01.31 1817
988 공지 인생을 바꾸는 웃음... file 방지선 2005.02.01 1537
987 공지 사랑을 위한 과학 서희정 2005.02.01 1650
986 공지 [4]신의 방정식 (아미르 D. 액설) 서윤경 2005.02.03 1582
985 공지 체 게바라 - 죽어서도 말하는 영웅 1 file 강신철 2005.02.04 1606
984 공지 냉정과 열정사이 - 두사람이 쓰는 하나의 이야기. 배소영 2005.02.05 1717
983 공지 낙하하는 저녁 - 소유에 대해 다시 한번 각성하기 file 배소영 2005.02.05 1585
982 공지 지난날... 송나리 2005.02.07 1528
981 공지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송나리 2005.02.07 1583
980 공지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최순이 2005.02.12 2516
979 공지 생활의 발견 - 지금 이 순간 바로 내 곁에 행복이 있다 강신철 2005.02.15 1528
978 공지 [5]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전시륜) 서윤경 2005.02.17 1518
977 공지 [6] 현의노래 (김훈) 서윤경 2005.02.17 16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