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3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리처드 용재 오닐의 음반 눈물을 듣고...>









아...... 이 가슴떨리는 기분을 어떻게 말해야 할까...



정말 오랜만에 느껴보는 이 완벽한 몰입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비올라가 내 영혼을 이렇게 울릴줄이야.



바이올린처럼 세련되지도 첼로처럼 중후하지도 않은 단지 중간 음역을 받쳐주는 화음 정도로만 여겼던 비올라의 음색에 난 오늘 깊이 매료되었다.



그 완전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연주회에 가지 못한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주문한 리처드 용재 오닐의 음반 '눈물'을 한 곡 한 곡 들으면서 그 애절하면서도 포근한 음색에 난 위로받고 있었다.









그가 왜 비올라라는 악기에 매료되었고, 비올라를 선택했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는 것 같았다.



비올라의 소리는....



아이의 영혼을 가졌지만 어른이 되어버린 그의 어머니와 닮아 있기도 하고,



비올라의 소리는....



가슴이 뛰고 설레이는 연인의 품안이 아닌 위로받고 싶고 눈물 흘리고 싶을때 아무말없이 안아줄 수 있는 그 누군가의 품과 닮아 있다.









바이올린으로 연주하는 파가니니가 격랑을 휘돌아 바다에 다다른 물과 같다면



비올라로 들려주는 파가니니는 나뭇잎을 한 잎 싣고 너른 호수에 다다른 물의 여행 같다고나 할까?









첫곡 한스 에릭 필립의 '어부들' 모음곡 중 저녁의 노래부터 쇼스타코비치의 '더 갯 플라이', 브로흐의 '기도'를 거쳐 앵콜곡 '섬집아기'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 마음을 건드리지 않는 곡이 없었다.









앨범 한가운데 놓인 새장속에 새는 날아가고 없다.



새장 속에 가로놓인 나무 막대에는 조금전까지도 새가 날개짓을 한듯 새의 발자욱과 새똥의 흔적이 남아있다.



그 온기와 흔적 때문에 더욱 애처롭고 안타깝다.



아... 가을은 눈물이다.







2006년 시월의 마지막 날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6 문학예술 [문학일기 1] 칠레의 밤 / 로베르토 볼라뇨/ 열린책들 정광모 2010.09.28 2667
1255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 독서감상문 대회가 열립니다. 류지은 2010.08.31 1945
1254 경영경제 데이비드 케이 존스턴저 "프리런치" 1 장재훈 2010.08.14 2693
1253 자연과학 산소같은 여자라구? 그럼, 전자를 조심하라구! 5 신호순 2010.07.03 2936
1252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1 최윤배 2010.04.27 2900
1251 책 가지뻗기 -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 살아있는 글쓰기 3 지석연 2010.04.26 2539
1250 자연과학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4 신동찬 2010.03.22 3112
1249 기타 '내 짝꿍 최영대'를 읽고 조예진 2010.03.07 2838
1248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신동찬 2010.03.06 2857
1247 엄마를 부탁해 2 file 최윤배 2010.03.02 2614
1246 [더글러스 애덤스] '영혼의 길고 암울한 티타임' 1 김희정 2010.02.04 2269
1245 '정 성' 3 김희정 2010.02.03 2234
1244 [보살핌], 2008, 사이언스 북스 2 이중훈 2009.12.26 2418
1243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들]을 읽고 1 지석연 2009.12.25 2649
1242 누리야 누리야를 읽고... 최유현 2009.12.16 2297
1241 기타 우동 한 그릇을 읽고.... 최유현 2009.12.07 4059
1240 인문사회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있다>를 읽어가면서 신영호 2009.11.28 3529
1239 자연과학 기억을 찾아서 3 이대건 2009.11.27 2977
1238 인문사회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 노암 촘스키 1 조태윤 2009.11.16 3142
1237 <북배틀>, 김명철 지음, 왓북, 2009 이중훈 2009.11.16 2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