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02.09 09:00

[10]피터 드러커의 'Next Society'

조회 수 196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의 책을 읽으면서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사회를 생각해본다.



참 다행스럽게도 이책을 뒤늦게 읽는 바람에, 의도치 않게 그의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얼마나 맞았는지, 아닌지를 알아볼 기회가 생겼다. 내가 그와 같은 방식으로 그의 머릿속 사고를 따라갈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이와 같은 일은 마치 미래에 타임캡슐을 열어보는 것처럼 마냥 호기심이 생기는 일이 된다.



그의 말처럼 이제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21세기는 지식이 주류가 되어가는 과정을 겪고 있다. 농업혁명으로 몇 세기, 산업혁명으로 한 세기가 흐른 것처럼 지식혁명으로 또 얼마간의 '세기'가 흐를 것이다. 그 시기는 더 짧을수도 있고 (예상보다) 더 길 수도 있다. 또는 지식혁명으로 인한 사회변혁은 주어진 이 시대의 마지막 변화이고 최근 전세계적으로 암묵적으로 예상하는 지구의 종말이 다가올 수도 있다. (물론 난 종말론자이거나 종말론을 인정하지는 않는다. 역사적으로 그러한 일이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심을 해본 적은 있다.) 그러한 시대의 흐름 가운데 住人으로써 여러 사람들은 노력을 한다. 새로운 지식을 배우기 위해 독서도 하고 강연도 들으며 사교적 모임에서는 반드시 대화 가운데 서로의 의견을 묻고 더 나은 지식을 배우는 것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이 클럽도 그러한 사회로 가는 모습을 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예가 아닐까 싶다.



지식의 주류 말고도 그가 예측한 것 중 인구구조에 대한 것은 그의 생각보다 훨씬 더 급격하게 전세계의 정치, 사회, 경제 모든 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저출산으로 인한 가까운 미래에 닦칠 갑작스런 노령사회 진입과 그에 대비하지 못한 정부의 당황한 모습들이 현재 살아가는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면서 고민하고 있다.



이런 등등의 사회 모습들을 예측하면서 피터는 두가지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그 질문을 약간 스스로에게 적용시키면서 바꾸어보자면, "첫째, 다음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지금 내가 해야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둘째, 아직은 우리가 알지 못하고 있지만, 분명 앞으로 다가올 다른 큰 변화들은 무엇인가?" 이다.



미래는 과거, 현재와 마찬가지로 나에게, 그리고 누구에게나 (살아있는 존재라면,) 중요하다. 그것은 내가 앞으로 살아갈 현재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오늘날처럼 미래가 불분명한 시대에 살고 있다면, 미래를 아는 것은 경쟁력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은 준비할 수 있는 지혜가 되고 여유로운 내일을 만들 수 있는 가장 최선의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여러 분야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난 뒤, '가장 큰 변화들은 아직도 우리 앞에 그 증후를 나타내지 않고 있음이 거의 확실하다' 고 말하고 있다. 또한 책의 초반부에서 정보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것을 의심하게 하기 위해서라는 듯, '정보기술은 중요하지만, 그것은 다만 몇몇 중요한 새로운 기술 가운데 하나일 뿐' 이며, '미래 사회는 정보기술에 의해 지배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정보기술에 의해 그 모습이 결정되지도 않을 것' 이라고 했다.



그의 책을 덮으면서 스스로에게 여러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글을 쓰면서 한가지 단어로 마무리를 할 수 있었다.



- 혁신 -
  • ?
    이재우 2007.02.09 09:00
    피터 드러커를 참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그가 무엇을 썼는지, 왜 내가 그를 좋아하는지를 자신에게 물어보니 쉽게 대답을 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이 분 책을 주변인들에게 선물한 것만 해도 족히 5권은 넘는 것 같은데 머리속에는 남아 있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독후감을 뒤져봤는데 그것 또한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이동훤님의 독후감을 읽고 기록의 중요성과 제가 이제껏 얼마나 독서를 권수 채우기에 연연했는지를 돌아보고, 반성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6 공지 아홉살 인생 (★★★★★) 1 file 송윤종 2003.11.19 1877
1195 공지 맥킨지는 일하는 마인드가 다르다 (★★★) file 송윤종 2003.11.19 1996
1194 공지 데미안 /헤르만 헤세 (★★★★★) 2 file 송윤종 2003.11.19 2059
1193 공지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 file 송윤종 2003.11.19 1831
1192 공지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 / 류시화 (★★★★) file 송윤종 2003.11.19 1803
1191 공지 조금은 가난해도 좋다면 / 최용건 (★★★★★) file 송윤종 2003.11.19 1899
1190 공지 음악은 감정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카논>> 김선주 2003.11.21 1726
1189 공지 해결해 주는것은 단지 시간뿐이다. <녹색의 가르침> 김선주 2003.11.26 1725
1188 공지 가자! 일본 가자! 강지영 2003.11.28 1671
1187 공지 열정의 힘! 히딩크의 힘! 강지영 2003.11.28 1627
1186 공지 인간의 숨겨진 본성은 악한가? <괴물/ 이외수 > 강지영 2003.11.29 1824
1185 공지 <사람들은 나를 성공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김태연-> 강지영 2003.11.29 1816
1184 공지 <바보들은 항상 최선을 다했다고 말한다> 를 읽고 강지영 2003.11.29 1634
1183 공지 snow cat의 혼자놀기 이영명 2003.11.29 1696
1182 공지 잃는것or두배로 얻는것 박수경 2003.12.02 1677
1181 공지 스스로 지킬줄 아는자 1 박수경 2003.12.02 1731
1180 공지 9살 대학생 이야기. <나는 리클 아인슈타인을 이렇게 키웠다.> 강지영 2003.12.02 2057
1179 공지 닥터스1,2 김호영 2003.12.05 1721
1178 공지 진주귀고리 소녀 file 이영명 2003.12.19 1760
1177 공지 적의 화장법 이영명 2003.12.19 18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