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01.07 09:00

05-8 소리없는 소리

조회 수 17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리없는 소리/서암스님 가르침

호국사 기증/'05.5.27 37경비구역에서



◉우리의 마음자리는 참으로 묘한 것입니다. 몇 천만 년 전의 굴이나, 금방 만든 굴이나

불을 켜면 곧 바로 밝아집니다. 몇 천만 년 전의 굴이라 해서

몇 달 동안 불을 밝혀야 밝아지는 것이 아닙니다.

◉모양이 없는 마음에 충격을 받아 병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마음은 본시 병 붙을 자리가 없습니다. 우리 마음은 아무런 때도 없고 티도 없는데

거기에 병이 붙을 수 있겠습니까

◉많이 아는 것은 귀한 것이나, 그 보다 더 귀한 것은 다 털어 버리는 것이다.

많이 갖는 것은 부한 것이나, 그 보다 더 부한 것은 하나도 갖지 않는 것이다.

남을 이기는 것은 용기 있는 것이나, 그 보다 더 큰 용기는 남에게 져주는 것이다.

가득 찬 그릇에는 넘쳐 버리지만, 비어있는 그릇에는 담아지느니라.

넘쳐 버리는 곳에는 착오가 있으나, 비어있는 곳에는 정확함이 있는 것이다.

맑은 아침에 조용히 모든 상념에서 벗어나라, 마침내 시공을 넘어서 참 자기를 만나리라.

◉"기이하고 기이하구나! 모든 중생이 다 부처의 성품을 가지고 있구나" 부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부처님을 신앙하는 이나 부처님을 배제하는 이나 차별없이 마음 깨치면 성불할 수 있는 것입니다. 눈을 감으면 못 보다가 눈을 뜨면 보듯이 길고도 긴 꿈을 깨면 바로 그 자리가 진리인 것입니다.

◉남을 용서하는 인간성은 신명이 나는 것입니다. 너그러워지고 지혜가 생깁니다. 설사 상황이 어려워도 인생의 낙을 얻을 수 있거든요. 이해하고 용서함으로써 내 마음부터 녹아갑니다. 어느덧 어려움은 극복되고 좋은 일이 생깁니다.

◉세상사람들은 흔히 무슨 일을 했을 때, 그 일을 내 일로서가 아니라 남의 일을 해준 듯 생각하곤 합니다.

그래서 항상 그 수고에 대해 알아주기를 원하고, 인정을 받지 못할 때는 불만에 차서 괴로워하여 결국 복을 엊지 못하지요

내가 밥 먹어서 내 배가 부르듯 내가 하는 일이 바로 내 일이요, 나를 위한 일임을 알아야 합니다.

그 원리를 알아야 나 자신의 일을 하는 뜻도 알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설령 누가 칭찬을 안 해주거나 대가를 안줘도, 우주천지 인과의 원칙에 따라 대가를 받게 됨을 믿고 즐겁게 살게 되지요.

'남의 일'이라 생각하고 몇 푼의 이익과 칭찬에 끌리면 더 큰 진리를 얻지 못합니다.

자타가 따로 없어서 세상에 나의 일 아닌 것이 없습니다. 무슨 일을 하든지 내가 내 일을 하는 것이 되지요◉한가하고 마음 편한 사람이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답답하고 급한 사람이 하는 것이 공부입니다. 중생살이란 것이 우리가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우선 그 물에서 기어나오는 방법, 그것이 참선입니다. 따라서 생활을 여의고 참선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참선하는 이의 세 가지 요지는 대신심(大信心)대분심(大忿心)대의심(大疑心)이지. 다시 말하면 확고한 마음의 정립과 분통터지는 격렬한 의지, 그리고 고정관념에 끄달리지 않고 일으키는 진지한 의심이지. 대신심에 대해 말한다면 ....인간의 오욕락이나 세상을 등지고서 오로지 이 마음을 참선해서 찾아보겠다고 나섰으니까 신심은 이미 확립이 됐지. 그러면 대분심이란 뭐냐하면, 우리 인생이 주인공을 알지 못하면 항상 끌려오고 끌려가서 생사 물결속에 항상 떠내려가는 거야. 그러니 참 원통하고 분해. 올 때에도 내 맘대로 온 게 아니고, 사는 것도 내 맘대로 사는게 아니고, 그러니 가는 것도 내 맘대로 가는 게 아니야. 항상 소가 푸줏간에 끌려다니듯이 삼계육도에 끌려다니니 이보다 더 분통이 터지는 게 어디 있겠나?....인생이 송두리채 끌려가고 끌려오니 이보다 더 원통한 세상이 어디 있겠어

◉부처님이 알음알이 지식병을 깨트리기 위해서 49년간 팔만 사천 법문을 하신 게지만 결국은 팔만 사천 경전도 원점으로 모르는 데에 돌아오는 거야. 그러니 팔만 사천 법문이 참선하기 위해서, 다시 말해서 모르는 데까지 끌어오기 위해 설법해 놓은 거야. 그걸 부처님이 한 마디로 말씀하신 것이 "내가 한 마디도 말한 게 엇다."고 하신 것이 바로 그 말씀이거든. 금강경에 '만약에 부처가 법을 설했다고 하면 여래를 비방하는 소리'라 이말이지.

◉천도교는 혼돈에서 일기시생(一氣始生)이라 한 기운이 뻗쳐서 거기서 펼쳐서 팔괘가 생성하여 우주만상이 벌어졌습니다. 그래서 하나로 집중해서 통일을 하면 하나를 깨쳐 우주 전체를 압니다.-불교는 주체인 자기도 모르고 우주도 모르고 송두리채 모르는 것 뿐이요. 혼돈이고 뭐고 너절하게 가정해 놓은 게 없어. 전혀몰라. 바늘 끝 하나 세울 데 없이 송두리째 모르는 덩어리 그것을 타파하면 하나도 여지없이 다 알아버리는게 불교입니다..-자기는 혼돈이란 것을 결정해 놓고 의심해야되는데, 불교는 전부 모르는 것 뿐이다. 혼돈이고 뭐고 누가 정해 놓았는냐? 전부 모르는 걸 알면 전체을 알아버린다. 혼돈이니 음양이니 팔괘니 벌써 가정해 놓고 하는데 알아봐야 그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6 공지 펭귄뉴스 1 김미 2006.10.07 2085
1335 공지 페퍼민트 file 정희정 2005.07.12 1903
1334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역 3 최유미 2010.12.12 3320
1333 공지 파페포포 투게더 심유정 2006.01.16 1796
1332 공지 파페포포 메모리즈 김범일 2003.08.15 2038
1331 공지 파트리크쥐스킨스의 <향수> 1 이문환 2003.08.24 2060
1330 공지 파이란 이효원 2003.06.25 2393
1329 공지 파리의 조선 궁녀, 리심 - 김탁환- 김인경 2007.01.13 2010
1328 공지 팀장 리더십 신원식 2006.03.13 1775
1327 공지 틱낫한 의 화를 읽고 양희성 2003.07.31 2258
1326 공지 티티새 file 정희정 2005.10.01 1706
1325 공지 티베트 탐험기 - 스벤 헤딘 저, 윤준,이현숙 역 양경화 2007.08.26 2910
1324 공지 톨스토이 단편선 (★★★★★) file 송윤종 2003.11.19 1769
1323 공지 톨스토이 단편선 오연철 2003.06.25 2263
1322 공지 토지에 중독 되면 행복하다 윤석련 2003.09.18 1819
1321 토요일 4시간 - 신인철 - file 최윤배 2011.08.03 2177
1320 공지 토사구팽 당하라(207) -김용전- (미다스북스) 4 이재우 2006.12.10 1937
1319 공지 태양처럼 뜨겁게(이정은) file 오주열 2007.01.16 1982
1318 기타 태양과 별자리 이야기 - 시대정신을 읽고 신동찬 2009.09.26 3607
1317 공지 탐라 기행(205) -시바료타로(박이엽)- (학고재) 2 이재우 2006.12.01 19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