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01.07 09:00

'06-46 배려

조회 수 19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려 마음을 움직이는 힘. 한상복/위즈덤하우스

손차수에게 빌림.‘04’1706시 엄태국 승용차에서



●사회적 아스파거(social asperger):자신에게는 관대하고 남에게는 무자비

●요즘 젊은 세대들은 헨드폰 문자를 통해서 친구를 만남, 주객이 전도되어서 헨드폰이 진짜 친구고 친구는 헨드폰의 주인

●공자:내 자신을 심하게 탓하고 남을 가볍게 책망하면 원망을 멀리하게 된다

●공자:이해한다는 것은 좋아한다는 것만 못하다. 좋아한다는 것은 즐긴다는 것만 못하다

●일상은 날마다 당신이 선택해 입는 속옷과도 같다. 당신이 어떤 것을 고르느냐에 따라 당신의 하루가 바뀐다. 중요한 것은 당신의 선택이다.

●소통이란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다

●얼떨결에 내뱉어진 말이 때로는 제 멋대로 날뛸때가 있다

●사람들은 큰일에 감동하지 않는다. 예상 밖의 큰일이 생기면 오히려 놀랄뿐이다. 사람들은 이외로 작은 것ㅇ서 감동을 받는다.

●살아간다는 것은 책일 질 일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많은 사람을 만나가면서 인연을 맺고 그들에 대해 자신의 존재를 책임져야 하는 것이다.

●리더는 스스로 뛰어나다는 점을 굳이 입중할 필요 없다. 출중한 부하들에게 능력을 마음껏 펼칠수 있도록 기회만 만들어주면 된다. 유능한 부하들과 일한다는 것 자체가 뛰어난 리더라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보석은 마찰없이 가공될 수 없고, 사람은 시련없이 나아질 수 없다

●①스스로를 위한 배려-솔직하라-행복의 조건②너와 나를 위한 배려-상대방의 관점으로 보라-즐거움의 시작③모두를 위한 배려-통찰력을 가지라-진정한 성공

●우리의 인생을 바꾸는 것은 엄청나게 큰일들이 아니다. 평소에는 관심조차 기울이지 않던 사소한 것들이 때로는 삶의 방향을 좌우하는 중대변수로 등장한다.

●배려는 경쟁까지도 넘어설 수 있다. 경쟁자의 관점에서 보고, 경쟁자를 앞지르고, 마침내 경쟁자를 더 나은 길로 인도한다.

●배려와 경쟁은 이율배반적인 것이지만, 우리의 삶을 지탱시켜주는 게임의 기본룰이다. 마치 인내하고 포요하는 인(仁)의 정신과 판단하고 배척하는 의(義)의 정신이 공존해야 하듯

●배려는 선택이 아니다. 공존의 원칙이다...사람은 능력이 아니라 배려로 자신을 지킨다. 사회는 경쟁이 아니라 배려로 유지된다

●1.배려는 상대가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다

2.배려는 받기 전에 먼저 주는 것이다.

3..배려는 날마다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4..배려는 자연스럽고 즐거운 것이다.

5.배려는 사소하지만 위대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자연과학 '나쁜 유전자'를 읽고((바버라 오클리, 살림출판사) 2 정인성 2009.04.29 2954
75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5 엄준호 2007.05.14 3516
74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고 신동찬 2011.11.02 1894
73 공지 '교단일기'를 읽고 김미 2006.10.27 2087
72 공지 '같기도하고 아니같기도 하고' 중 '환원주의와의 싸움' 3 고원용 2008.12.01 6544
71 '가이아의 복수' / ' 긴 여름의 끝' 을 읽고.... 2 최유미 2011.11.24 2449
70 공지 '07-47 살라딘 십자군에 맞선 이슬람의 위대한 술탄 1 이병록 2007.01.07 2322
» 공지 '06-46 배려 이병록 2007.01.07 1970
68 ' 아파야 산다'/ '우리 몸은 석기시대' 을 읽고... 최유미 2011.11.28 2163
67 자연과학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김영사, 2015) 2 고원용 2015.10.03 6439
66 인문사회 <통찰의 시대> 에릭 캔댈 (2) 이재민 2015.12.09 1959
65 인문사회 <통찰의 시대> 에릭 캔댈 (1) 이재민 2015.12.09 2051
64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박용태 2017.06.20 244
63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박용태 2017.06.20 369
62 자연과학 <인간 존재의 의미>-에드워드 윌슨 박용태 2016.09.30 557
61 인문사회 <이슬람 학교> 이희수 (2) 3 이재민 2015.12.09 1991
60 인문사회 <이슬람 학교> 이희수 (1) 이재민 2015.12.09 1943
59 자연과학 <스핀> 이강영 1 박용태 2018.02.01 772
58 자연과학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박용태 2017.07.14 1661
57 자연과학 <생명에서 생명으로> 베른트 하인리희 박용태 2017.01.01 13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